노인의 가정 내 안전사고 예방교육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의 가정 내 안전사고 예방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가정 내의 안전사고 실태

2. 가정에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

3. 일반적 안전수칙

4. 욕실·화장실 안전사고 및 예방

5. 계단 안전사고 및 예방

6. 부엌 안전사고 및 예방

7. 방·거실 안전사고 및 예방

본문내용

자리는 전등 스위치 가까운 곳으로 한다. 스위치가 잠자리 가깝게 있어야 야간에 화장실 등을 갈 때 발을 헛디뎌 넘어지는 사고를 막는다. 화재 예방을 위하여 이부자리나 침대 근처에는 라이터·재떨이 같은 물품을 두지 않는다. 전기 담요를 사용할 때에는 위쪽에 다른 이불이나 방석 등을 올려놓지 않는다. 전기담요를 접거나 담요 위에 이불을 덮어 두면 과도한 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다. 긴급한 상황 발생시에 자리를 옮기지 않고 전화를 걸거나 잠을 자다가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전화기를 잠자리 가까이 둔다.
- 방거실의 안전사고
○ 전등스위치는 노인의 잠자리는 가까운 곳으로 한다.
○ 이부자리나 침대 근처에는 라이터·재떨이 등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물품을 두지 않는다.
○ 소파 및 의자는 팔걸이가 있는 것으로 모서리가 날카롭지 않은 것을 배치한다.
○ 벽에는 무거운 물건을 걸지 않는다.
○ 바닥은 표면이 미끄럽지 않은 것으로 처리한다.
○ 침대의 높이는 침대에 앉았을 때 발바닥이 닿는 정도의 높이가 적당하다.
○ 카페트나 깔개는 끝이 말리지 않는 것으로 깐다.
○ 작은 힘에도 넘어질 수 있는 가벼운 가구는 방에 두지 않는다.
○ 전기담요를 접거나 담요 위에 이불을 덮어 두지 않는다.
○ 긴급한 상황 발생시에 쉽게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도록 전화기를 잠자리 가까이 두거나 비상연락장치를 설치한다.
- 창문발코니의 안전사고
○ 창문 보호대나 난간을 반드시 설치한다.
○ 침대나 가구를 창문 가까이에 배치하지 않는다.
○ 발코니의 바닥은 미끄럽지 않은 재질을 사용하거나 미끄럽지 않게 처리한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3.06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17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