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모의 인지
2. 타인의 친생자로 추정되는 자에 대한 인지의 부정
3. 출생신고와 인지
4. 인지의 소급효
5. 재판상 인지에 대한 인지이의의 소
6. 인지청구권의 포기
7. 부의 사망과 인지청구의 상대방
8. 인지무효의 소
1). 의의
2). 임의인지
2. 타인의 친생자로 추정되는 자에 대한 인지의 부정
3. 출생신고와 인지
4. 인지의 소급효
5. 재판상 인지에 대한 인지이의의 소
6. 인지청구권의 포기
7. 부의 사망과 인지청구의 상대방
8. 인지무효의 소
1). 의의
2). 임의인지
본문내용
판결 기타의 절차에 의하지 아니하고도, 또 누구에 의하여도 그 무효를 주장할 수 있는 것이다.
1). 의의
혼인외의 자에 대하여 생부 또는 생모가 자기의 아이라고 인정하거나(임의 인지) 재판에 의하여 부 또는 모를 확인하는 것(강제인지)을 인지라고 한다. 모의 인지는 의사표시를 요소로 하는 법률행위라기보다는 출생확인의 사실적 요소가 더욱 강하다(기아 절도 등 드물게 발생한다). 반면에 부의 인지는 사실확인의 측면보다 법률적 의사를 표시함으로써 부자관계를 형성하는 측면이 강하다.
2). 임의인지
아버지나 어머니가 임의로 친자관계를 인정하는 신분행위를 임의인지라고 한다. 인지는 인지자의 일방적 의사표시를 요소로 하는 신분행위인데 민법의 신고주의에 따라 호적법에 정한 바에 의하여 신고함으로써 생긴다.
1). 의의
혼인외의 자에 대하여 생부 또는 생모가 자기의 아이라고 인정하거나(임의 인지) 재판에 의하여 부 또는 모를 확인하는 것(강제인지)을 인지라고 한다. 모의 인지는 의사표시를 요소로 하는 법률행위라기보다는 출생확인의 사실적 요소가 더욱 강하다(기아 절도 등 드물게 발생한다). 반면에 부의 인지는 사실확인의 측면보다 법률적 의사를 표시함으로써 부자관계를 형성하는 측면이 강하다.
2). 임의인지
아버지나 어머니가 임의로 친자관계를 인정하는 신분행위를 임의인지라고 한다. 인지는 인지자의 일방적 의사표시를 요소로 하는 신분행위인데 민법의 신고주의에 따라 호적법에 정한 바에 의하여 신고함으로써 생긴다.
추천자료
[일반물리학] 비탈면에서의 가속도 측정 - 실험목적, 관련이론, 계획, 결과 및 고찰
사회복지 정책을 결정할 때 어떤 과정이 일반적이고 합리적인가에 대해 학자들 간에 다소 차...
일반생물학실험,효소활동에 온도,ph미치는영향,실험이론,실험목표
가족규칙과 일반체계 이론의 주요 개념
일반물리학) 구면의 곡률 반지름 측정 - 목적, 기구, 이론, 방법, 계산과정, 결론 및 고찰
[일반화학 실험] 05- 착물화법 적정 : 착물화법 적정을 통해 착물화법을 이해하고 적정을 해...
아동 성폭력에 대해 생태학적 관점의 거시체계를 중심으로 현황과 영향, 사회적 배경과 원인(...
[일반물리실험] 강체의 회전운동 : 강체의 세차 운동 비율을 측정하고 이론값과 비교한다. 그...
[일반물리실험] (결과보고서) 관성 모멘트 측정 : 원반과 링의 회전운동을 통하여 각각의 관...
[유아문학]읽기에 대한 일반적인 지침과 적용의 이론적 근거 - 그림책 읽어주기 방법, 글 없...
아동상담이론 - 상담과 심리치료의 차이를 이해하고 아동상담과 일반상담의 차이를 통해 아동...
통합적 접근의 등장배경을 설명하고 통합적 접근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일반체계적 관점과 생...
사회학개론)학교는 인간의 사회화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제도이다. 일반적으로 사회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