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혈종 Case Study
1. 건강력 및 일반적 정보
2. 암환자 사정자료
3. 입원시 및 현재상태
4. 진단과정 및 치료과정과 관련된 정보
5. 간호문제 및 간호과정
* 간호문제 (Problem List) *
# 1.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 2.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자가 간호 결핍(세발)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자가 간호 결핍(구강간호)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자가 간호 결핍(목욕간호)
# 3. PEG 시술부위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 참고자료 (보호자 교육자료) *
1-1. 퇴원 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해결점
2-1 음식물 주입방법
3-1. 피부 소독 방법
1. 건강력 및 일반적 정보
2. 암환자 사정자료
3. 입원시 및 현재상태
4. 진단과정 및 치료과정과 관련된 정보
5. 간호문제 및 간호과정
* 간호문제 (Problem List) *
# 1.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 2.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자가 간호 결핍(세발)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자가 간호 결핍(구강간호)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자가 간호 결핍(목욕간호)
# 3. PEG 시술부위 관리와 관련된 지식부족
* 참고자료 (보호자 교육자료) *
1-1. 퇴원 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해결점
2-1 음식물 주입방법
3-1. 피부 소독 방법
본문내용
개봉 후 6-8시간이 지나기 전에 주입하고 오래 보관하지 않습니다.
-개봉된 용액을 24시간 이상 냉장고에 보관하지 않습니다.
-위루관이나 용액을 다루기 전에 항상 손을 닦습니다.
-주입용기는 항상 청결하게 유지합니다.
-2일 이상 설사가 계속되면 병원으로 연락합니다.
-설사시에는 탈수되지 않도록 물이나 이온음료 등을 삽입해 줍니다.
변비
-물을 많이 주입합니다
-주치의에게 진료 후 변 완화제를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활동량을 늘립니다.
피부자극
-위루관 주위의 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합니다.
-삽입부위에 열감, 붉어지거나, 튜브주위에 새는 곳이 곳이 있는지 확인하고 이런 경우 즉시 병원에 알립니다.
위루관 막힘
-사용 전후로, 혹은 간헐적으로 50~100ml의 물로 관을 씻어 줍니다.
-약물은 20ml이상의 물로 충분히 용해시키고 투여 전후로 50~100ml의 물로 관을 씻어 줍니다
-만일 위루관으로 주입이 잘 안 될 때에는 약간 미지근한 무롤 gqm입과 삽입을 번갈아 살짝 압력을 가해봅니다. 이 때 절대 무리하지 말고 병원으로 연락합니다.
위루관 빠짐
-깨끗한 거즈로 빠진 부위를 빈틈없이 막고 바로 병원으로 연락합니다.
관주위군살 형성
-위루관이 움직이면서 주위로 자극이 되어 군살이 자라나는 것으로 다음 외래 진료시 문의합니다.
목욕
-자극적인 비누나 기타 바디클린저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물로 샤워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샤워 전에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상처보호 투명비닐 테잎 등을 이용하여 위루관을 덮어 보호하고 샤워 후 바로 물기를 깨끗하게 말린 후 뒤에서 소개되는 피부 소독을 시행합니다.
①비누 등을 이용하여 손을 깨끗이 씻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②자세 유지
-위에 주입된 음식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입 전에 상체를 45~90°세운 앉은 자세를 유지합니다.
-주입하는 동안과 주입 후 한 시간 동안은 위의 자세를 유지합니다.
③주입 전 확인사항
-매 음식물 주입 시 위루관 삽입 부위로부터 길인의 변화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위루가 막히거나 중간에 새게 되면 복강 내에 염증이 생기게 되므로 구토, 발열, 복통 증상이
있는지, 주위 피부에 이상은 없는 지 관찰합니다.
④위 내용물 확인
-주입 전에 위루관에 50cc 주사기를 연결하여 위 내용물이 있는 지 흡인 해보고 흡인되어지는 것이 없는 경우 주입을 시작합니다.
-잔여량이 50~100cc 이상인 경우 음식물 주입을 중지하고 재확인하여 50~100cc이상 계속되면
의사와 상의합니다.
⑤음식물 주입
-주입전과 주입 후로 50~100ml의 물을 주입합니다.
-주입bag에 유동식을 부어 위루관과 연결 후 주입bag을 연결부위보다 40cm가량 높이로 유지해
서서히 주입되도록 조절기로 조절합니다.
-1일 주입량은 총 1800~2000cc까지 가능하나 1회에 250ml이상 주입하지 않도록 합니다.
-주입시간은 1시간 이상 소요되지 않도록 합니다.
-주입하는 음식물이 너무 차거나 뜨겁지 않도록 실온의 상태에서 주입합니다.
-주입하는 음식물의 보관은 냉장고에 보관하나 개봉된 것은 냉장보관한 것이라도
24시간 이후에는 사용하면 안됩니다.
-음식물 주입 시 복부 팽만감,오심,구토 등의 증상이 있으면 속도를 줄여보고 증상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주입을 중지합니다.
-주입시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⑥투약시
-주입전과 주입 후로 50~100ml의 물을 주입합니다.
-약을 주입할 때는 곱게 갈아 30~50cc의 미지근한 물에 희석하여 주입하고 점도가 짙은 현탄액인 경우 물에 희석하여 주입합니다.
⑦세척
-주입백과 사용도구들은 사용 후 깨끗하게 중성 세제를 사용하여 따뜻한 물로 세척 후 햇빛에
말리고 사용 도구들은 1주일에 1회씩 새 것으로 교환합니다.
2-1 음식물 주입방법
원인
-위액은 강산이기 때문에 위산으로부터 피부 및 기타 장기를 보호하기 위해 위벽에 풍선을 만들어 위관루를 고정하여 좌우 및 안팎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합니다.
-움직임을 예방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위루관 자체에 고정 장치를 두어 움직임에 의해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합니다.
-위루관 삽입부는 항상 깨끗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감염의 증상(붉어지거나, 통증, 부종,여감,초록빛이나 노란빛의 삼출액 등) 및 누수를 관찰하여 이상 시에는 병원으로 연락합니다.
관리
-시술 후 1주일간은 세균 감염에 의한 합병증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기간이므로 매일 소독을 시행하고 삽입부에 이상이 있는지 주위깊게 관찰하여야 합니다. 이후에는 문제가 없는 경우 3일마다 한번씩 시행합니다.
①손을 씻습니다.
②소독된 드레싱 세트와 소독 장갑을 준비합니다.
③기존 드레싱을 주의하여 제거한 후 주위피부를 관찰하여 이상 증상이 없는 지 확인합니다.
④소독 장갑을 착용합니다.
⑤삽입부위가 지저분할 경우는 드레싱 전에 멸균된 생리 식염수로 주위를 닦아 냅니다.
⑥포비돈 용액을 소독된 면봉에 묻혀 삽입부위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원을 그리며 닦습니다.
⑦고정장치 주 이때 위루관위 및 아래에도 같은 방법으로 시행합니다.
⑧이 때 당기지 않도록 가볍게 잡고 시행합니다.
⑨포비돈이 마르면 Y자형 거즈를 위루관 사이에 끼워 넣고 위에 거즈로 덮은 후 고정합니다.
⑩이 당기지 않도록 가볍게 잡고 시행합니다.
⑪위루관이 움직이지 않도록 반창고로 고정합니다.
⑫시행 후 삽입부위부터 위루관의 길이를 재어 변화가 있는 지 확인합니다.
-삽입부위에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매일 드레싱을 하며 분비물이 많은 경우는 거즈가 분비물에 젖을 때마다 새로 교환해야 합니다. 삽입 부위에 발적과 분비물이 있다면 병원으로 연락을 취해야 합니다.
3-1. 피부 소독 방법
참고문헌)
1. 간호방법, 서울대학교병원 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2. 기본간호중재와 수기, 임난영 외 12인, 수문사, 2002
3.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홈페이지 (PEG관리방법)
4. http://www.kalsa.org 한국 ALS협회
5. http://entsmc.com/information/head_disease12.html
6. http://www.alsfree.org 한국루게릭병연구소
-개봉된 용액을 24시간 이상 냉장고에 보관하지 않습니다.
-위루관이나 용액을 다루기 전에 항상 손을 닦습니다.
-주입용기는 항상 청결하게 유지합니다.
-2일 이상 설사가 계속되면 병원으로 연락합니다.
-설사시에는 탈수되지 않도록 물이나 이온음료 등을 삽입해 줍니다.
변비
-물을 많이 주입합니다
-주치의에게 진료 후 변 완화제를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활동량을 늘립니다.
피부자극
-위루관 주위의 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합니다.
-삽입부위에 열감, 붉어지거나, 튜브주위에 새는 곳이 곳이 있는지 확인하고 이런 경우 즉시 병원에 알립니다.
위루관 막힘
-사용 전후로, 혹은 간헐적으로 50~100ml의 물로 관을 씻어 줍니다.
-약물은 20ml이상의 물로 충분히 용해시키고 투여 전후로 50~100ml의 물로 관을 씻어 줍니다
-만일 위루관으로 주입이 잘 안 될 때에는 약간 미지근한 무롤 gqm입과 삽입을 번갈아 살짝 압력을 가해봅니다. 이 때 절대 무리하지 말고 병원으로 연락합니다.
위루관 빠짐
-깨끗한 거즈로 빠진 부위를 빈틈없이 막고 바로 병원으로 연락합니다.
관주위군살 형성
-위루관이 움직이면서 주위로 자극이 되어 군살이 자라나는 것으로 다음 외래 진료시 문의합니다.
목욕
-자극적인 비누나 기타 바디클린저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물로 샤워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샤워 전에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상처보호 투명비닐 테잎 등을 이용하여 위루관을 덮어 보호하고 샤워 후 바로 물기를 깨끗하게 말린 후 뒤에서 소개되는 피부 소독을 시행합니다.
①비누 등을 이용하여 손을 깨끗이 씻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②자세 유지
-위에 주입된 음식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입 전에 상체를 45~90°세운 앉은 자세를 유지합니다.
-주입하는 동안과 주입 후 한 시간 동안은 위의 자세를 유지합니다.
③주입 전 확인사항
-매 음식물 주입 시 위루관 삽입 부위로부터 길인의 변화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위루가 막히거나 중간에 새게 되면 복강 내에 염증이 생기게 되므로 구토, 발열, 복통 증상이
있는지, 주위 피부에 이상은 없는 지 관찰합니다.
④위 내용물 확인
-주입 전에 위루관에 50cc 주사기를 연결하여 위 내용물이 있는 지 흡인 해보고 흡인되어지는 것이 없는 경우 주입을 시작합니다.
-잔여량이 50~100cc 이상인 경우 음식물 주입을 중지하고 재확인하여 50~100cc이상 계속되면
의사와 상의합니다.
⑤음식물 주입
-주입전과 주입 후로 50~100ml의 물을 주입합니다.
-주입bag에 유동식을 부어 위루관과 연결 후 주입bag을 연결부위보다 40cm가량 높이로 유지해
서서히 주입되도록 조절기로 조절합니다.
-1일 주입량은 총 1800~2000cc까지 가능하나 1회에 250ml이상 주입하지 않도록 합니다.
-주입시간은 1시간 이상 소요되지 않도록 합니다.
-주입하는 음식물이 너무 차거나 뜨겁지 않도록 실온의 상태에서 주입합니다.
-주입하는 음식물의 보관은 냉장고에 보관하나 개봉된 것은 냉장보관한 것이라도
24시간 이후에는 사용하면 안됩니다.
-음식물 주입 시 복부 팽만감,오심,구토 등의 증상이 있으면 속도를 줄여보고 증상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주입을 중지합니다.
-주입시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⑥투약시
-주입전과 주입 후로 50~100ml의 물을 주입합니다.
-약을 주입할 때는 곱게 갈아 30~50cc의 미지근한 물에 희석하여 주입하고 점도가 짙은 현탄액인 경우 물에 희석하여 주입합니다.
⑦세척
-주입백과 사용도구들은 사용 후 깨끗하게 중성 세제를 사용하여 따뜻한 물로 세척 후 햇빛에
말리고 사용 도구들은 1주일에 1회씩 새 것으로 교환합니다.
2-1 음식물 주입방법
원인
-위액은 강산이기 때문에 위산으로부터 피부 및 기타 장기를 보호하기 위해 위벽에 풍선을 만들어 위관루를 고정하여 좌우 및 안팎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합니다.
-움직임을 예방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위루관 자체에 고정 장치를 두어 움직임에 의해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합니다.
-위루관 삽입부는 항상 깨끗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감염의 증상(붉어지거나, 통증, 부종,여감,초록빛이나 노란빛의 삼출액 등) 및 누수를 관찰하여 이상 시에는 병원으로 연락합니다.
관리
-시술 후 1주일간은 세균 감염에 의한 합병증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기간이므로 매일 소독을 시행하고 삽입부에 이상이 있는지 주위깊게 관찰하여야 합니다. 이후에는 문제가 없는 경우 3일마다 한번씩 시행합니다.
①손을 씻습니다.
②소독된 드레싱 세트와 소독 장갑을 준비합니다.
③기존 드레싱을 주의하여 제거한 후 주위피부를 관찰하여 이상 증상이 없는 지 확인합니다.
④소독 장갑을 착용합니다.
⑤삽입부위가 지저분할 경우는 드레싱 전에 멸균된 생리 식염수로 주위를 닦아 냅니다.
⑥포비돈 용액을 소독된 면봉에 묻혀 삽입부위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원을 그리며 닦습니다.
⑦고정장치 주 이때 위루관위 및 아래에도 같은 방법으로 시행합니다.
⑧이 때 당기지 않도록 가볍게 잡고 시행합니다.
⑨포비돈이 마르면 Y자형 거즈를 위루관 사이에 끼워 넣고 위에 거즈로 덮은 후 고정합니다.
⑩이 당기지 않도록 가볍게 잡고 시행합니다.
⑪위루관이 움직이지 않도록 반창고로 고정합니다.
⑫시행 후 삽입부위부터 위루관의 길이를 재어 변화가 있는 지 확인합니다.
-삽입부위에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매일 드레싱을 하며 분비물이 많은 경우는 거즈가 분비물에 젖을 때마다 새로 교환해야 합니다. 삽입 부위에 발적과 분비물이 있다면 병원으로 연락을 취해야 합니다.
3-1. 피부 소독 방법
참고문헌)
1. 간호방법, 서울대학교병원 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8
2. 기본간호중재와 수기, 임난영 외 12인, 수문사, 2002
3.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홈페이지 (PEG관리방법)
4. http://www.kalsa.org 한국 ALS협회
5. http://entsmc.com/information/head_disease12.html
6. http://www.alsfree.org 한국루게릭병연구소
추천자료
뇌경색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 모두이루어져있습니다. 간호진단은 2개내려...
위암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간호진단은 3개로 구성됩...
척추관 협착증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간호진단은 3개 ...
[아동간호학] 고위험신생아 case study 간호과정
[지역사회간호학] Chapter2. 지역사회 간호과정 요약 정리
폐결핵케이스스터디 폐결핵약물종류 폐결핵진단검사 폐결핵병태생리 폐결핵문헌고찰 폐결핵간...
[성인간호학 case] 간암 대상자 간호과정 케이스 case study - 간세포성 암종 (Hepatocellula...
모성 전치태반 케이스 및 간호과정, 간호진단 3개 case study
견인 간호(피부견인, 골격견인, 간호과정)
[모성간호학] 자궁근종(myoma uteri) 간호과정 (Case Study)
[성인간호학A+] 대동맥박리 대상자의 간호과정 (ICU) CASE STUDY
모성간호학 실습, 제왕절개 케이스, c/s (제왕절개 간호과정)
모성간호A+ [자궁근종(myoma of uterus)-간호과정(case study)]
[간호학] 물질관련 장애 - 알코올 장애 -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