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은 것이며 큰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생명을 구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소중하고 중요한 일임을 강조하지 않는다. 그는 단지 외팔의 노동자를 고용하고, 쉰들러가 그들의 목숨을 구한 것임을 은연중에 비추며 쉰들러 스스로 도덕적 양심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자극을 제공한 것이다. 이 역시 유태인인 이작 슈턴의 입장에서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그 이외에도 회계사는 얼마든지 있으며 쉰들러는 언제든 그를 해고하거나 죽음의 길로 내던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오히려 쉰들러가 그를 자신의 곁에 두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은 단지 이작 슈턴의 회계사로서의 능력이 뛰어나다기보다는 인간을 도덕적으로 교화시키고 자신의 양심과 이익 추구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는 자의 마음을 헤아릴 줄 아는 능력 때문이었을 것이다.
추천자료
진주교육대학 3학년 도덕교육과1 중간고사
도덕교육과 종교교육에 관한 보고서...
초등학교 도덕교육과 통합교육 교육과정 [발표자료]
도덕의 개념과 도덕교육
공동체주의 도덕교육의 기본원리와 실제적 교육방안
초등도덕교육 - 피아제의 도덕 교육론에 관하여....
유아 사회교육 도덕성교육 계획안
인도의 교육과 도덕교육
유아의도덕성발달과 도덕성발달교육방법 그리고 교사의역할
[수업관찰]수업관찰의 의미, 수업관찰의 유형별 접근, 수업관찰의 과정과 사회과(사회과교육)...
[교육철학] 도덕교육론
도덕교육의 구성 요소와 바람직한 도덕교육
[도덕과 교육Ⅰ] ‘소크라테스’로 알아본 초등 도덕교육의 미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