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직비디오][뮤직비디오제작][보는 음악][독자적인 영역으로서 뮤직비디오]뮤직비디오의 분류, 뮤직비디오의 유래, 뮤직비디오의 제작과정, 보는 음악 위주의 뮤직비디오, 독자적인 영역으로서의 뮤직비디오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뮤직비디오][뮤직비디오제작][보는 음악][독자적인 영역으로서 뮤직비디오]뮤직비디오의 분류, 뮤직비디오의 유래, 뮤직비디오의 제작과정, 보는 음악 위주의 뮤직비디오, 독자적인 영역으로서의 뮤직비디오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뮤직비디오의 분류

Ⅲ. 뮤직비디오의 유래

Ⅳ. 뮤직비디오의 제작과정

Ⅴ. 보는 음악 위주의 뮤직비디오

Ⅵ. 독자적인 영역으로서의 뮤직비디오

참고문헌

본문내용

청소년 팬들의 열광적인 사랑을 받고 있다. 이것이 영상 세대가 만들어낸 문화다. 이를 반영해 음악전문 케이블TV m.net은 영상음악대상을 열기도 했다. 이 시상식에서 영화감독, 음악평론가, 문화평론가 등의 심사위원들이 15개 부문별로 그해 최고의 뮤직비디오를 뽑았다. 여기에 2만 6천여 명의 네티즌들도 인터넷을 통해 순위 선정에 참여했다. 뿐만 아니라 음악전문 케이블TV m.net은 원하는 음악을 선택해 들을 수 있는 인터넷 맞춤방송 마이디오(MyDio)를 개국하기도 했다. 마이디오(MyDio)는 국내 최초의 인터넷 전용 뮤직비디오 채널로 m.net 홈페이지의 마이디오코너에 들어가면 24시간 내내 국내 인기 가수들의 뮤직비디오를 무료로 볼 수 있다. 이처럼 뮤직 비디오는 이제 하나의 독자적인 장르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참고문헌
미크 포스터 / 제2미디어의 시대, 민음사, 1998
앤 카플란 / 뮤직비디오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나래, 1996
정우숙 / 한국 뮤직비디오의 극화방식
최성식 / 영상으로 말하기(셔례이드, 미장센, 내러티브분석)
최대실 / 뮤직비디오에 관한 연구: 유희적 특성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 논문, 1999
  • 가격5,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3.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2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