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되면 총생산은 감소함.
21. 어떤 기업의 생산량을 100단위로 하였을 때, 평균가변비용은 30원, 한계비용은 40원, 평균비용은 50원이었다. 이 공장의 고정비용은 얼마인가? 3
① 6,000원 ② 4,000원 ③ 2,000원 ④ 1,000원 ⑤ 500원
☞
22. 생산요소의 가격비가 한계기술대체율(MRTS)보다 크다면 생산자는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1
① 자본의 투입을 증가시켜야 한다.
② 노동의 투입을 증가시켜야 한다.
③ 노동과 자본의 투입을 증가시켜야 한다.
④ 노동과 자본의 투입을 감소시켜야 한다.
⑤ 답 없음
☞ 생산요소의 가격비 , 한계기술대체율
이면 임. 즉 자본구입에 1원을 지출했을 때가 노동구입에 1원을 지출했을 때보다 생산을 더 늘림. 따라서 자본의 구입에 지출을 늘리고 노동의 구입에 지출을 줄이는 것이 비용을 극소화하면서 생산량을 최대로 하는 방법임.
23. 이윤이 극대화되는 생산량의 수준에 대한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2
①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같아지는 생산량의 수준이다.
② 판매수입곡선이 극대점에 이르는 생산량의 수준이다.
③ 총수입곡선과 총비용곡선 사이의 수직거리가 가장 커지는 생산량의 수준이다.
④ 매출액을 극대화시키는 모형에서의 생산량 수준보다 적다.
⑤ 답 없음
☞ 판매수입곡선이 극대점에 이르는 생산량 수준은 MR=0 이 되는 생산량 수준으로 이윤극대화가 아닌 매출액 극대화가 이루어지는 생산량임.
24. 평균비용(AC)과 한계비용(M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① 평균비용곡선이 수평이면 그 곡선자체가 한계비용곡선이 된다.
② 한계비용곡선은 평균비용곡선의 최저점을 통과한다.
③ 평균비용이 감소하면 한계비용곡선은 평균비용곡선 아래에 위치한다.
④ 총비용곡선이 수평이면 평균비용곡선과 한계비용곡선은 다같이 수평의 형태를 보인다.
⑤ 답 없음
☞ 총비용곡선이 수평이면 생산량이 증가하더라도 총비용은 불변임. 즉, 가변비용이 존재하지 않는 특수한 경우임. 이 경우에는 산출량이 증가하더라도 총비용이 변화하지 않으므로 한계비용은 0이고, 평균비용은 계속해서 감소하므로 평균비용곡선은 직각쌍곡선의 형태가 됨.
25. 어떤 기업이 100만원의 임대료를 내고 기계를 1년 동안 임대하였는데, 임대기간 중간에는 임대계약을 취소할 수 없으며, 반환도 불가능하다고 하자. 그리고 이 기계는 다른 기업에 70만원의 임대료를 받고 다시 빌려 줄 수 있다면 이 기계를 사용함에 따르는 기회비용과 매몰비용은? 3
① 기회비용 100, 매몰비용 100만원 ② 기회비용 30, 매몰비용 30
③ 기회비용 70, 매몰비용 30 ④ 기회비용 70, 매몰비용 100
⑤ 기회비용 170, 매몰비용 100
☞ 이 기업이 기계를 사용할 때 70만원의 임대수입을 포기해야 하므로 기계사용에 따른 기회비용은 70만원임. 그리고 매몰비용은 회계학적 비용인 100만원에서 다른 기업에 임대를 통해서 회수할 수 있는 70만원을 뺀 금액임, 즉 다른 기업에 임대를 통해서도 회수가 불가능한 30만원이 매몰비용이 됨.
21. 어떤 기업의 생산량을 100단위로 하였을 때, 평균가변비용은 30원, 한계비용은 40원, 평균비용은 50원이었다. 이 공장의 고정비용은 얼마인가? 3
① 6,000원 ② 4,000원 ③ 2,000원 ④ 1,000원 ⑤ 500원
☞
22. 생산요소의 가격비가 한계기술대체율(MRTS)보다 크다면 생산자는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1
① 자본의 투입을 증가시켜야 한다.
② 노동의 투입을 증가시켜야 한다.
③ 노동과 자본의 투입을 증가시켜야 한다.
④ 노동과 자본의 투입을 감소시켜야 한다.
⑤ 답 없음
☞ 생산요소의 가격비 , 한계기술대체율
이면 임. 즉 자본구입에 1원을 지출했을 때가 노동구입에 1원을 지출했을 때보다 생산을 더 늘림. 따라서 자본의 구입에 지출을 늘리고 노동의 구입에 지출을 줄이는 것이 비용을 극소화하면서 생산량을 최대로 하는 방법임.
23. 이윤이 극대화되는 생산량의 수준에 대한 설명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2
①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같아지는 생산량의 수준이다.
② 판매수입곡선이 극대점에 이르는 생산량의 수준이다.
③ 총수입곡선과 총비용곡선 사이의 수직거리가 가장 커지는 생산량의 수준이다.
④ 매출액을 극대화시키는 모형에서의 생산량 수준보다 적다.
⑤ 답 없음
☞ 판매수입곡선이 극대점에 이르는 생산량 수준은 MR=0 이 되는 생산량 수준으로 이윤극대화가 아닌 매출액 극대화가 이루어지는 생산량임.
24. 평균비용(AC)과 한계비용(M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
① 평균비용곡선이 수평이면 그 곡선자체가 한계비용곡선이 된다.
② 한계비용곡선은 평균비용곡선의 최저점을 통과한다.
③ 평균비용이 감소하면 한계비용곡선은 평균비용곡선 아래에 위치한다.
④ 총비용곡선이 수평이면 평균비용곡선과 한계비용곡선은 다같이 수평의 형태를 보인다.
⑤ 답 없음
☞ 총비용곡선이 수평이면 생산량이 증가하더라도 총비용은 불변임. 즉, 가변비용이 존재하지 않는 특수한 경우임. 이 경우에는 산출량이 증가하더라도 총비용이 변화하지 않으므로 한계비용은 0이고, 평균비용은 계속해서 감소하므로 평균비용곡선은 직각쌍곡선의 형태가 됨.
25. 어떤 기업이 100만원의 임대료를 내고 기계를 1년 동안 임대하였는데, 임대기간 중간에는 임대계약을 취소할 수 없으며, 반환도 불가능하다고 하자. 그리고 이 기계는 다른 기업에 70만원의 임대료를 받고 다시 빌려 줄 수 있다면 이 기계를 사용함에 따르는 기회비용과 매몰비용은? 3
① 기회비용 100, 매몰비용 100만원 ② 기회비용 30, 매몰비용 30
③ 기회비용 70, 매몰비용 30 ④ 기회비용 70, 매몰비용 100
⑤ 기회비용 170, 매몰비용 100
☞ 이 기업이 기계를 사용할 때 70만원의 임대수입을 포기해야 하므로 기계사용에 따른 기회비용은 70만원임. 그리고 매몰비용은 회계학적 비용인 100만원에서 다른 기업에 임대를 통해서 회수할 수 있는 70만원을 뺀 금액임, 즉 다른 기업에 임대를 통해서도 회수가 불가능한 30만원이 매몰비용이 됨.
추천자료
고려대학교 질문 50선
[입학자료] 고려대학교 전기전자전파공학부 학업계획서
[입학자료] 고려대학교 사회계열 학업계획서 BEST 예문 4가지
[입학자료]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면접구술고사 최신 기출문제(질문)
[입학자료]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 경영대학 면접구술고사 최신 기출문제(질문)
[입학자료]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면접구술고사 최신 기출문제(질문)
[입학자료]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 인문대학 면접구술고사 최신 기출문제(질문)
(고려대학교 교직원 자기소개서 - 2019년 합격서류) 고려대학교 국제교류실 합격예문 [BEST ...
[대학원학업계획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수학교육학과 수학교육전공 학업계획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