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문헌고찰
본론
결론
문헌고찰
본론
결론
본문내용
에 따라 다른 종류의 tube를 준비하고 사용 전 에서는 내부가 막혔는지 확인을 한다.
(- 기도유지기 : 체격과 연령 등에 맞게 준비한다. 평균적으로 성인남자 ; 2~3/ 성인여자 ; 3~4/ 소아 ; 2개의 size Air way 사용)
<수술과정>
- 3시 쯤에 모니터를 수술대 옆에 설치하고 수술을 시작한다. 배꼽 위 쪽을 좌우로 조금 절개한 후 그 부분으로 손으로 잡은 다음 조심하면서 verres침을 복강내로 삽입한다. 생리 식염수를 넣어 verres침이 복강 내로 제대로 들어간 것을 확인 한 다음에 CO2(탄산가스)를 주입한다. 가스로 기복을 형성한 다음에 침을 뽑고 내시경을 넣어 복강경으로 수술을 한다. (옆구리 부분을 자르고 기계를 삽입한다.) 담낭을 소작기를 사용해 간 아래쪽부터 잘라낸다.(지혈을 해가면서 자른다.) 담낭을 다 자른 후에는 forceps을 사용하여 밖으로 꺼낸다. 짜른 후에 다른 부위의 장기들이 출혈을 일으키는지 확인하고 출혈이 있을 시 석션을 하고 출혈이 없어지면 가스를 뽑는다. 4시 5분 쯤에 봉합을 한다. 마취에서 깨운 후에 회복실로 이동해서 1시간 정도 관찰 한 후 병실로 이동한다.
배액관 : T-tube
검 체 :
Count :
종 류
1차
2차
3차
Gauze
Pad
Instrument
Major "D" set
3ea Ok
3ea Ok
Needle
3ea
Ok
Ok
Implant/Prosthetic Devices
code no.
품 명
규 격
수 량
부 위
진료재료 처방
Maton 4-0
1
LT 200
3
Polysorb 2-0(s)
2
400
4
Sterix band 6×8
4
Eb 6"
1
복강경 재료대
1
Trocar (A) 12mm
2
Lap bag
1
5mm
2
결론
- 수술방법을 알아보고 케이스를 잡았던 것이 아니라서 그런지 처음에는 많이 어려웠던 것 같다. 처음 실습 나와서 많이 헷갈리는 부분들이 많았는데 하나의 수술을 할 때 사용되는 기계, 기구들이 너무나도 많았다. 복강경으로 수술하는 거라 쉬울 것 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오히려 조심조심 다른 장기들을 피해 잘라내야 돼서 손기술이 필요한 것 같다. 케이스를 잡으면서 그 수술에 빠져드는 것 같다. 그냥 볼 때에는 지루함 감이 없지 않아 있다. 그런데 케이스를 잡으면서 그 수술에 대해 궁금증이 마구 생겨난다. 저거 어떤 기구지?, 지금 어떤 곳을 소작하고 계시지?, 어디서 피가 나네, 등등 혼자 많은 생각들을 하면서 집중하게 된다. 또한 마취에서도 그렇다. 평상시에는 그냥 넘겼던 약품들인데 궁금해서 한번 가서 보고 오게 되는 것 같다. 솔직히 말해 아직까진 딱히 뭔가를 “알것 같다”라는 느낌은 아니지만, 더 열심히는 할 수 있을 것 같은 같은 느낌이다.
1. http://healthcare.joins.com/info/info_encyclopedia_article.asp?ecIDX=701
2. http://100.naver.com/100.nhn?docid=43303
3. 임상간호 매뉴얼 p. 955
4. 수술간호 p. 274
(- 기도유지기 : 체격과 연령 등에 맞게 준비한다. 평균적으로 성인남자 ; 2~3/ 성인여자 ; 3~4/ 소아 ; 2개의 size Air way 사용)
<수술과정>
- 3시 쯤에 모니터를 수술대 옆에 설치하고 수술을 시작한다. 배꼽 위 쪽을 좌우로 조금 절개한 후 그 부분으로 손으로 잡은 다음 조심하면서 verres침을 복강내로 삽입한다. 생리 식염수를 넣어 verres침이 복강 내로 제대로 들어간 것을 확인 한 다음에 CO2(탄산가스)를 주입한다. 가스로 기복을 형성한 다음에 침을 뽑고 내시경을 넣어 복강경으로 수술을 한다. (옆구리 부분을 자르고 기계를 삽입한다.) 담낭을 소작기를 사용해 간 아래쪽부터 잘라낸다.(지혈을 해가면서 자른다.) 담낭을 다 자른 후에는 forceps을 사용하여 밖으로 꺼낸다. 짜른 후에 다른 부위의 장기들이 출혈을 일으키는지 확인하고 출혈이 있을 시 석션을 하고 출혈이 없어지면 가스를 뽑는다. 4시 5분 쯤에 봉합을 한다. 마취에서 깨운 후에 회복실로 이동해서 1시간 정도 관찰 한 후 병실로 이동한다.
배액관 : T-tube
검 체 :
Count :
종 류
1차
2차
3차
Gauze
Pad
Instrument
Major "D" set
3ea Ok
3ea Ok
Needle
3ea
Ok
Ok
Implant/Prosthetic Devices
code no.
품 명
규 격
수 량
부 위
진료재료 처방
Maton 4-0
1
LT 200
3
Polysorb 2-0(s)
2
400
4
Sterix band 6×8
4
Eb 6"
1
복강경 재료대
1
Trocar (A) 12mm
2
Lap bag
1
5mm
2
결론
- 수술방법을 알아보고 케이스를 잡았던 것이 아니라서 그런지 처음에는 많이 어려웠던 것 같다. 처음 실습 나와서 많이 헷갈리는 부분들이 많았는데 하나의 수술을 할 때 사용되는 기계, 기구들이 너무나도 많았다. 복강경으로 수술하는 거라 쉬울 것 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오히려 조심조심 다른 장기들을 피해 잘라내야 돼서 손기술이 필요한 것 같다. 케이스를 잡으면서 그 수술에 빠져드는 것 같다. 그냥 볼 때에는 지루함 감이 없지 않아 있다. 그런데 케이스를 잡으면서 그 수술에 대해 궁금증이 마구 생겨난다. 저거 어떤 기구지?, 지금 어떤 곳을 소작하고 계시지?, 어디서 피가 나네, 등등 혼자 많은 생각들을 하면서 집중하게 된다. 또한 마취에서도 그렇다. 평상시에는 그냥 넘겼던 약품들인데 궁금해서 한번 가서 보고 오게 되는 것 같다. 솔직히 말해 아직까진 딱히 뭔가를 “알것 같다”라는 느낌은 아니지만, 더 열심히는 할 수 있을 것 같은 같은 느낌이다.
1. http://healthcare.joins.com/info/info_encyclopedia_article.asp?ecIDX=701
2. http://100.naver.com/100.nhn?docid=43303
3. 임상간호 매뉴얼 p. 955
4. 수술간호 p. 27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