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간호과정
Ⅱ. 문헌고찰
Ⅲ. 간호과정
본문내용
였다.
8. 환자와 보호자에게 hemovac, foley,
L-tube를 하고 있는 이유와 관이 빠지게
되면 피부가 손상될 수 있다는 점과 만
약에 빠지게 되었을 경우 어떠한 처치가
우선되어야 하는지를 교육하였다.
9. 가습기 사용하는 이유, 트는 방법과 가습
기 조절 방법, 물가는 방법, 청소하는 방
법을 설명하고 청소를 하지 않을 경우
이 또한 호흡기계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교육하였다.
10. 처방에 따라 Trizel, Jetiam을 투여하
였다.
1. 감염 시 맥박, 호흡, 체온
이 증가한다.
2. 감염 증상의 조기 발견은
치료의 극대화를 돕는다.
3. 출혈이 있을 경우 intake
보다 output이 더 많다.
4. 감염 증상이 있으면 배액
량도 많아지고 냄새도 나
며 배액에 농이 섞이게
된다.
5. 손씻기는 교차 감염을 최
소화하며 감염조절에 영
향을 미칠 수 있다.
6. 시술시의 무균법 유지는
감염조절에 영향을 미친
다.
7. 대상자의 안위를 증진시
킬 수 있다.
8. 교육을 통해 감염을 예방
할 수 있고 자가 간호가
가능해진다.
9. 가습기의 올바른 사용은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10. 염증상태가 개선된다.
평
가
1. 복부절개한 부분 드레싱을 하루에 2회 정도하고 있으며 출혈양상도 없고 주
위피부도 양호한 편이나 hemovac주위의 피부는 환자분이 창가쪽으로 자리
를 옮기면서 춥다고 입은 내복과 속옷으로 인하여 압박을 받아 약간의
ozzing현상을 보이고 있고 욱씬거리면서 땡기는 느낌이 있다고 하신다.
그 외에 별다른 감염 증상 없이 잘 지내고 계신다.
2. 10월 25일자로 L-tube와 suction기 제거하였고, 28일에 foley와 O2 mask
remove한 상태로 hemovac만 keep되어 있으며 침습적인 시술이 많이 줄어
감염의 위험이 감소된 상태이다.
현재 컨디션이 향상되어 곧잘 운동도 하시고 주위 분들과 대화하시는 등 건
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계신다.
임상검사치(20xx년 10월 30일)
WBC
Neut
Lymph
CEA
hemovac
정상치
4.6-10K/uL
40-74%
19-48%
5.0ng/ml 이하
검사치
5.43
69.1
18.9(L)
2.4
20
(3) 간호과정 Ⅲ
간
호
사
정
S : “치질이 생겨서 치질 수술하러 입원한거야.” (대상자)
“의사가 금식하라고 하니깐 금식하고 있지.” (대상자)
O : 질병에 대한 질문 시 어리둥절해 하는 모습이 관찰됨.
수술전후 자가간호에 대해 알고 있는 사실이 없음.
수술 후에 수술부위인 복부에 압박을 주는 행위를 취하고 계심.
간호진단
질병 및 수술전후 간호와 관련된 지식부족.
목표
1. 대상자 자신의 병명에 대해 정확히 말할 수 있다.
2. 수술전후 간호의 필요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간호 계획
간호 수행
임상적 의의
1. 질병 및 수술전후
간호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2. 잘못된 질병에 대
한 지식을 대상자
가 이해하도록 설
명한다.
3. 수술전후에 절차
에 대해 설명한다.
4. 수술전후에 제공
되는 간호의 필요
성과 목적에 대해
알아듣기 싶게 설
명한다.
5. 자가간호 행위법
을 환자에게 교육
하고 시범을 보인
다.
6. 질병과 수술전후
간호에 관련된 책
자를 제공한다.
1. 대상자에게 현재 자신이 앓고 있는 질환
이 무엇이고 어떠한 증상이 있어서 본원
에 입원하게 되었는지, 어떤 수술을 받게
되는지, 수술하고 나서 어떠한 간호가 필
요한지 아느냐고 질문하고 대상자가 알
고 있는 것에 대해 사정하였다.
2. 어떠한 질환으로 입원하게 되었는지 환자
에게 물어보고 환자의 차트와 비교하여
차이점을 보이는 부분에 대해 설명하고
대상자가 이해했는지 설명하게 함으로써
이해정도를 파악하였다.
3. 대상자에게 시행되게 될 수술은 무엇이며
어떠한 방법으로 할 것인지에 대해 설명
하고 수술 전에는 금식과 관장을 함으로
써 속을 비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하
고 수술을 하고 난 후에 기침과 심호흡
을 해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4. 수술전에 왜 금식과 관장이 중요한 것인
지에 대해 설명하고, 수술후엔 왜 기침과
심호흡이 중요한지에 대해 설명을 하고
지금 현재 이러한 교육을 왜하고 있는지
에 대해서 대상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이해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역으로 다시 대상자가 설명하게 하였다.
5. 수술이 끝나고 나서 어떤 종류의 자가간
호가 있으며 어떻게 자가간호를 시행하
여야 하며 자가간호 수행시 주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 설명하고 시범을 보인 뒤
바로 대상자에게 해보도록 권하고 수정
해 주었다.
6. 병원에 배치되어 있는 팜플렛을 제공하였
다.
1. 대상자의 지식정도를 사
정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
공하기 위함이다.
2. 올바른 질병에 대한 이해
는 환자의 질병이행을 높
인다.
34.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간
호수행의 이해를 돕는다.
5. 시범을 보이고 따라하게
함으로써 대상자의 이해
력을 높일 수 있다.
6. 정보가 필요할 때에 정보
에 대한 강화와 정확성을
제공해준다.
평
가
1. 처음 간호사정을 하러 대상자를 만났을 때는 차트와 다른 질환을 알고 계셨
고 대상자의 자제분들이 대상자의 질환을 알고 있는 상황에서도 대상자에게
정확히 얘기하지 않은 것으로 미뤄보아 정확한 병명에 대해선 설명하지 못
하였으나 어느 부분에 어떠한 시술을 하게 되는지 설명하였다.
이로 인해 대상자는 확실한 자기 병명은 모르고 있으나 자신이 받은 수술에
대해선 설명할 수 있는 상태이다.
2. 수술 전과 후에 행하여지는 절차를 의사가 시키는 것으로만 알고 계시던 대
상자에게 전후 간호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을 드리고 수술후 교육한 내용을
시행하게 하였다.
그 결과 전후 간호의 필요성에 대해 알게 되었다고 하시며 자가간호를 수행
하는 모습이 간간히 관찰되고 있다.
※ 참고문헌
김금순 외 (2016).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변영순 외 (2018). 『최신임상간호매뉴얼』, 현문사
대한대장항문학회 (Korean Society of Coloproctology). (2020). \"대장암 진료지침“
이은옥 외 (2017). 『간호진단과 중재』, 현문사
8. 환자와 보호자에게 hemovac, foley,
L-tube를 하고 있는 이유와 관이 빠지게
되면 피부가 손상될 수 있다는 점과 만
약에 빠지게 되었을 경우 어떠한 처치가
우선되어야 하는지를 교육하였다.
9. 가습기 사용하는 이유, 트는 방법과 가습
기 조절 방법, 물가는 방법, 청소하는 방
법을 설명하고 청소를 하지 않을 경우
이 또한 호흡기계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교육하였다.
10. 처방에 따라 Trizel, Jetiam을 투여하
였다.
1. 감염 시 맥박, 호흡, 체온
이 증가한다.
2. 감염 증상의 조기 발견은
치료의 극대화를 돕는다.
3. 출혈이 있을 경우 intake
보다 output이 더 많다.
4. 감염 증상이 있으면 배액
량도 많아지고 냄새도 나
며 배액에 농이 섞이게
된다.
5. 손씻기는 교차 감염을 최
소화하며 감염조절에 영
향을 미칠 수 있다.
6. 시술시의 무균법 유지는
감염조절에 영향을 미친
다.
7. 대상자의 안위를 증진시
킬 수 있다.
8. 교육을 통해 감염을 예방
할 수 있고 자가 간호가
가능해진다.
9. 가습기의 올바른 사용은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10. 염증상태가 개선된다.
평
가
1. 복부절개한 부분 드레싱을 하루에 2회 정도하고 있으며 출혈양상도 없고 주
위피부도 양호한 편이나 hemovac주위의 피부는 환자분이 창가쪽으로 자리
를 옮기면서 춥다고 입은 내복과 속옷으로 인하여 압박을 받아 약간의
ozzing현상을 보이고 있고 욱씬거리면서 땡기는 느낌이 있다고 하신다.
그 외에 별다른 감염 증상 없이 잘 지내고 계신다.
2. 10월 25일자로 L-tube와 suction기 제거하였고, 28일에 foley와 O2 mask
remove한 상태로 hemovac만 keep되어 있으며 침습적인 시술이 많이 줄어
감염의 위험이 감소된 상태이다.
현재 컨디션이 향상되어 곧잘 운동도 하시고 주위 분들과 대화하시는 등 건
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계신다.
임상검사치(20xx년 10월 30일)
WBC
Neut
Lymph
CEA
hemovac
정상치
4.6-10K/uL
40-74%
19-48%
5.0ng/ml 이하
검사치
5.43
69.1
18.9(L)
2.4
20
(3) 간호과정 Ⅲ
간
호
사
정
S : “치질이 생겨서 치질 수술하러 입원한거야.” (대상자)
“의사가 금식하라고 하니깐 금식하고 있지.” (대상자)
O : 질병에 대한 질문 시 어리둥절해 하는 모습이 관찰됨.
수술전후 자가간호에 대해 알고 있는 사실이 없음.
수술 후에 수술부위인 복부에 압박을 주는 행위를 취하고 계심.
간호진단
질병 및 수술전후 간호와 관련된 지식부족.
목표
1. 대상자 자신의 병명에 대해 정확히 말할 수 있다.
2. 수술전후 간호의 필요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간호 계획
간호 수행
임상적 의의
1. 질병 및 수술전후
간호에 대한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2. 잘못된 질병에 대
한 지식을 대상자
가 이해하도록 설
명한다.
3. 수술전후에 절차
에 대해 설명한다.
4. 수술전후에 제공
되는 간호의 필요
성과 목적에 대해
알아듣기 싶게 설
명한다.
5. 자가간호 행위법
을 환자에게 교육
하고 시범을 보인
다.
6. 질병과 수술전후
간호에 관련된 책
자를 제공한다.
1. 대상자에게 현재 자신이 앓고 있는 질환
이 무엇이고 어떠한 증상이 있어서 본원
에 입원하게 되었는지, 어떤 수술을 받게
되는지, 수술하고 나서 어떠한 간호가 필
요한지 아느냐고 질문하고 대상자가 알
고 있는 것에 대해 사정하였다.
2. 어떠한 질환으로 입원하게 되었는지 환자
에게 물어보고 환자의 차트와 비교하여
차이점을 보이는 부분에 대해 설명하고
대상자가 이해했는지 설명하게 함으로써
이해정도를 파악하였다.
3. 대상자에게 시행되게 될 수술은 무엇이며
어떠한 방법으로 할 것인지에 대해 설명
하고 수술 전에는 금식과 관장을 함으로
써 속을 비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하
고 수술을 하고 난 후에 기침과 심호흡
을 해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4. 수술전에 왜 금식과 관장이 중요한 것인
지에 대해 설명하고, 수술후엔 왜 기침과
심호흡이 중요한지에 대해 설명을 하고
지금 현재 이러한 교육을 왜하고 있는지
에 대해서 대상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이해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역으로 다시 대상자가 설명하게 하였다.
5. 수술이 끝나고 나서 어떤 종류의 자가간
호가 있으며 어떻게 자가간호를 시행하
여야 하며 자가간호 수행시 주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 설명하고 시범을 보인 뒤
바로 대상자에게 해보도록 권하고 수정
해 주었다.
6. 병원에 배치되어 있는 팜플렛을 제공하였
다.
1. 대상자의 지식정도를 사
정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
공하기 위함이다.
2. 올바른 질병에 대한 이해
는 환자의 질병이행을 높
인다.
34.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간
호수행의 이해를 돕는다.
5. 시범을 보이고 따라하게
함으로써 대상자의 이해
력을 높일 수 있다.
6. 정보가 필요할 때에 정보
에 대한 강화와 정확성을
제공해준다.
평
가
1. 처음 간호사정을 하러 대상자를 만났을 때는 차트와 다른 질환을 알고 계셨
고 대상자의 자제분들이 대상자의 질환을 알고 있는 상황에서도 대상자에게
정확히 얘기하지 않은 것으로 미뤄보아 정확한 병명에 대해선 설명하지 못
하였으나 어느 부분에 어떠한 시술을 하게 되는지 설명하였다.
이로 인해 대상자는 확실한 자기 병명은 모르고 있으나 자신이 받은 수술에
대해선 설명할 수 있는 상태이다.
2. 수술 전과 후에 행하여지는 절차를 의사가 시키는 것으로만 알고 계시던 대
상자에게 전후 간호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을 드리고 수술후 교육한 내용을
시행하게 하였다.
그 결과 전후 간호의 필요성에 대해 알게 되었다고 하시며 자가간호를 수행
하는 모습이 간간히 관찰되고 있다.
※ 참고문헌
김금순 외 (2016).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변영순 외 (2018). 『최신임상간호매뉴얼』, 현문사
대한대장항문학회 (Korean Society of Coloproctology). (2020). \"대장암 진료지침“
이은옥 외 (2017). 『간호진단과 중재』, 현문사
추천자료
결장암케이스스터디(간호사례연구)
회복실 케이스 (결장암)
colon ca. case
간호학 결장암Case study
결장암
성인간호학 실습 결장암 케이스스터디 A+자료 간호과정보고서 간호학과
s상결장암 케이스 스터디 (s상결자암 직장결장암 케이스 간호과정 sigmoid colon cancer case...
결장암 케이스 스터디 (결장암 케이스 스터디 직장S상결장 접합부 암 Rectosigmoid junction ...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결장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A+,성인간호,성인간호학,성인간호케이스,성인간호학케이스,성인간호케이스스터디,성인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