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목차
-서론
-문헌고찰
-본론
-결론 및 평가
-참고문헌
-문헌고찰
-본론
-결론 및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00
100
50
36.2
68
20
-
8:00
110
80
36.5
70
20
-
10:00
120
70
36.8
88
20
-
① 미수행
(RN)
② 시행함
(SN)
교육적
① 침상안정을 하라고 교육한다.
어지러움을 예방하기 위해 침상안정 할 것을 교육한다.
② 빈혈식이에 대한 교육을 한다.
3/28 신선한 과일, 녹황색 채소, 간, 어류, 아스파라거스, 말린 콩, 시금치, 흰 빵을 먹도록 권유한다.
③ 철분제제 섭취에 대해 교육한다.
원 내 산모용 철분제제를 섭취할 것을 권유한다.
① 시행함
(RN, SN)
② 시행함
(RN)
③ 시행함
(RN)
간호평가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철분이 있는 음식을 섭취할 것이다.
(3/28 목표 달성)
단기목표 ②
3/30 : Hgb 수치가 9.3에서 12 이상으로 올라갈 것이다.
(목표 미달성)
장기목표 ①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어지러움이 없다고 말할 것이다.
(목표 미달성)
간호진단
2. 외과적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목표
단기목표
① 2일 이내 대상자의 NRS 통증 사정 점수가 0점으로 측정된다.
② 1일 이내 대상자는 통증을 줄이는 방법 2가지를 말할 수 있다.
장기목표
① 대상자의 통증이 완화된다.
계획된 간호활동
이론적 근거
진단적
① 3시간 마다 환자의 통증강도를 NRS를 이용하여 사정한다.
② 환자의 비언어적 통증 표현(표정, 울음, 신음, 의식상태 등)을 관찰한다.
③ 통증부위, 양상, 정도를 사정한다.
④ 진통제 투여로 인한 부작용의 증상이나 징후를 사정한다.
⑤ 통증을 완화, 증가시키는 요소를 사정한다. (피로, 지식부족, 자세 등)
① 통증 정도에 따라 질병의 악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통증 조절을 위한 알맞은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근거가 된다. NRS 통증 척도는 주관적인 통증을 객관화하여 평가할 수 있는 공인된 통증 평가 도구이다.
② 언어적 표현 뿐 아니라 비언어적 표현도 통증 사정의 도구가 될 수 있다.
③ 통증 정도에 따라 질병의 악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④ 수술 후 통증 조절을 위해 진통제, 소염제가 처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약물의 투약을 통해 염증을 완화시키고 통증을 경감시켜 준다.
⑤ 통증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치료적
① 처방된 진통제 Ketorolac Tromethamine과 Fentanyl citrate를 투여한다.
② 통증에 대해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③ 지나치게 밝은 빛이나 소음 등 해로운 자극을 제거하고 조용하고 부드러운 환경을 조성한다.
④ 심호흡을 격려한다.
① 수술 후 통증 조절을 위해 진통제, 소염제가 처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약물의 투약을 통해 염증을 완화시키고 통증을 경감시켜 준다.
② 대상자의 통증 정도를 알 수 있다.
③ 휴식을 취하는 것은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④ 심호흡은 통증의 감소를 촉진한다.
교육적
① 통증의 원인에 대하여 교육한다.
② 통증이 심해질 때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③ 사용하는 진통제의 작용과 부작용에 대해 교육한다.
④ 통증을 줄일 수 있는 비약물적인 이완요법을 교육한다.
① 수술 후 통증에 대해 알리고 빠른 중재를 취할 수 있다.
② 심한 통증을 호소할 시 의료진에게 빠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③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하여 대상자의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간호수행
시행여부
진단적
① NRS 점수를 사정하니 수술 당일보다 낮은 점수가 측정되었다. (10->8)
② 찡그린 표정을 보이다가 PM 14:00 평온한 표정으로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③ OP site에 쑤시는 양상의 통증을 확인했다.
④ 진통제 부작용 징후는 관찰되지 않았다.
⑤ 대상자의 피로감이 없고 편안한 자세, 주의환경을 사정했다.
① 시행함
(SN)
② 시행함
(SN)
③ 시행함
(RN)
④ 시행함
(RN)
⑤ 시행함
(SN)
치료적
① 처방된 진통제 Ketorolac Tromethamine과 Fentanyl citrate를 투여했다.
② 환자가 느끼는 통증에 대해 말로 표현하게 했다.
③ 병실의 불빛을 낮추고 커튼을 쳐 자극이 적은 환경을 조성했다.
④ 환자에게 통증이 있을 시 심호흡을 하도록 했다.
① 시행함
(RN)
② 시행함
(SN)
③ 시행함
(SN)
④ 시행함
(SN)
교육적
① 수술 부위에 통증이 있을 수 있음을 교육했다.
② 통증이 심해지면 간호사를 호출하도록 교육했다.
③ 처방된 진통제 Ketorolac Tromethamine과 Fentanyl citrate는 통증을 줄여주며 부작용으로 두통, 오심 등이 있음을 교육했다.
④ 찜질, 수술부위 청결, 충분한 수면, 심호흡을 교육했다.
① 시행함
(RN)
② 시행함
(RN)
③ 시행함
(RN)
④ 시행함
(SN)
간호평가
단기목표
① 2일 이내 대상자의 NRS 통증 사정 점수가 0점으로 측정된다.
(목표 미달성)
② 1일 이내 대상자는 통증을 줄이는 방법 2가지를 말할 수 있다.
(목표 부분적 달성)
장기목표
① 대상자의 통증이 완화된다.
(목표 미달성)
Ⅳ. 결론 및 평가
케이스 대상자 김**님은 Uterine myoma로 Lapascopy를 받고 5ward에 Admisson 중인 환자로 내원 전부터 평소와 다른 과다한 월경에 외래를 내원하였고 3/26에 Adm, 3/27일에 OP 하신 환자분이다. Lab data를 확인해보면 Hemoglobin 수치가 3/26에 9.9, 3/28에 9.3, RBC 수치가 3/26에 3.96, 3/28에 3.66, Hct 수치가 3/26에 30.6, 3/28에 28.5이며 드레싱 및 회진 때 환자를 뵈었을 때 핏기없고 어지러움을 호소하는 모습을 통해 자궁근종과 관련한 월경과다로 인한 철분결핍성 빈혈 증상을 알 수 있었다. 현재는 어지러움증과 수술로 인한 통증이 있다. 따라서 간호진단으로는 헤모글로빈 수치감소와 관련된 체액과다, 외과적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을 내렸다.
Ⅴ.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학1, 현문사, 233~237p
네이버 지식백과 ‘자궁근종’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858&cid=51007&categoryId=5100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100
50
36.2
68
20
-
8:00
110
80
36.5
70
20
-
10:00
120
70
36.8
88
20
-
① 미수행
(RN)
② 시행함
(SN)
교육적
① 침상안정을 하라고 교육한다.
어지러움을 예방하기 위해 침상안정 할 것을 교육한다.
② 빈혈식이에 대한 교육을 한다.
3/28 신선한 과일, 녹황색 채소, 간, 어류, 아스파라거스, 말린 콩, 시금치, 흰 빵을 먹도록 권유한다.
③ 철분제제 섭취에 대해 교육한다.
원 내 산모용 철분제제를 섭취할 것을 권유한다.
① 시행함
(RN, SN)
② 시행함
(RN)
③ 시행함
(RN)
간호평가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철분이 있는 음식을 섭취할 것이다.
(3/28 목표 달성)
단기목표 ②
3/30 : Hgb 수치가 9.3에서 12 이상으로 올라갈 것이다.
(목표 미달성)
장기목표 ①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어지러움이 없다고 말할 것이다.
(목표 미달성)
간호진단
2. 외과적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목표
단기목표
① 2일 이내 대상자의 NRS 통증 사정 점수가 0점으로 측정된다.
② 1일 이내 대상자는 통증을 줄이는 방법 2가지를 말할 수 있다.
장기목표
① 대상자의 통증이 완화된다.
계획된 간호활동
이론적 근거
진단적
① 3시간 마다 환자의 통증강도를 NRS를 이용하여 사정한다.
② 환자의 비언어적 통증 표현(표정, 울음, 신음, 의식상태 등)을 관찰한다.
③ 통증부위, 양상, 정도를 사정한다.
④ 진통제 투여로 인한 부작용의 증상이나 징후를 사정한다.
⑤ 통증을 완화, 증가시키는 요소를 사정한다. (피로, 지식부족, 자세 등)
① 통증 정도에 따라 질병의 악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통증 조절을 위한 알맞은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근거가 된다. NRS 통증 척도는 주관적인 통증을 객관화하여 평가할 수 있는 공인된 통증 평가 도구이다.
② 언어적 표현 뿐 아니라 비언어적 표현도 통증 사정의 도구가 될 수 있다.
③ 통증 정도에 따라 질병의 악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④ 수술 후 통증 조절을 위해 진통제, 소염제가 처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약물의 투약을 통해 염증을 완화시키고 통증을 경감시켜 준다.
⑤ 통증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치료적
① 처방된 진통제 Ketorolac Tromethamine과 Fentanyl citrate를 투여한다.
② 통증에 대해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③ 지나치게 밝은 빛이나 소음 등 해로운 자극을 제거하고 조용하고 부드러운 환경을 조성한다.
④ 심호흡을 격려한다.
① 수술 후 통증 조절을 위해 진통제, 소염제가 처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약물의 투약을 통해 염증을 완화시키고 통증을 경감시켜 준다.
② 대상자의 통증 정도를 알 수 있다.
③ 휴식을 취하는 것은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④ 심호흡은 통증의 감소를 촉진한다.
교육적
① 통증의 원인에 대하여 교육한다.
② 통증이 심해질 때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③ 사용하는 진통제의 작용과 부작용에 대해 교육한다.
④ 통증을 줄일 수 있는 비약물적인 이완요법을 교육한다.
① 수술 후 통증에 대해 알리고 빠른 중재를 취할 수 있다.
② 심한 통증을 호소할 시 의료진에게 빠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③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하여 대상자의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간호수행
시행여부
진단적
① NRS 점수를 사정하니 수술 당일보다 낮은 점수가 측정되었다. (10->8)
② 찡그린 표정을 보이다가 PM 14:00 평온한 표정으로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③ OP site에 쑤시는 양상의 통증을 확인했다.
④ 진통제 부작용 징후는 관찰되지 않았다.
⑤ 대상자의 피로감이 없고 편안한 자세, 주의환경을 사정했다.
① 시행함
(SN)
② 시행함
(SN)
③ 시행함
(RN)
④ 시행함
(RN)
⑤ 시행함
(SN)
치료적
① 처방된 진통제 Ketorolac Tromethamine과 Fentanyl citrate를 투여했다.
② 환자가 느끼는 통증에 대해 말로 표현하게 했다.
③ 병실의 불빛을 낮추고 커튼을 쳐 자극이 적은 환경을 조성했다.
④ 환자에게 통증이 있을 시 심호흡을 하도록 했다.
① 시행함
(RN)
② 시행함
(SN)
③ 시행함
(SN)
④ 시행함
(SN)
교육적
① 수술 부위에 통증이 있을 수 있음을 교육했다.
② 통증이 심해지면 간호사를 호출하도록 교육했다.
③ 처방된 진통제 Ketorolac Tromethamine과 Fentanyl citrate는 통증을 줄여주며 부작용으로 두통, 오심 등이 있음을 교육했다.
④ 찜질, 수술부위 청결, 충분한 수면, 심호흡을 교육했다.
① 시행함
(RN)
② 시행함
(RN)
③ 시행함
(RN)
④ 시행함
(SN)
간호평가
단기목표
① 2일 이내 대상자의 NRS 통증 사정 점수가 0점으로 측정된다.
(목표 미달성)
② 1일 이내 대상자는 통증을 줄이는 방법 2가지를 말할 수 있다.
(목표 부분적 달성)
장기목표
① 대상자의 통증이 완화된다.
(목표 미달성)
Ⅳ. 결론 및 평가
케이스 대상자 김**님은 Uterine myoma로 Lapascopy를 받고 5ward에 Admisson 중인 환자로 내원 전부터 평소와 다른 과다한 월경에 외래를 내원하였고 3/26에 Adm, 3/27일에 OP 하신 환자분이다. Lab data를 확인해보면 Hemoglobin 수치가 3/26에 9.9, 3/28에 9.3, RBC 수치가 3/26에 3.96, 3/28에 3.66, Hct 수치가 3/26에 30.6, 3/28에 28.5이며 드레싱 및 회진 때 환자를 뵈었을 때 핏기없고 어지러움을 호소하는 모습을 통해 자궁근종과 관련한 월경과다로 인한 철분결핍성 빈혈 증상을 알 수 있었다. 현재는 어지러움증과 수술로 인한 통증이 있다. 따라서 간호진단으로는 헤모글로빈 수치감소와 관련된 체액과다, 외과적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을 내렸다.
Ⅴ.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학1, 현문사, 233~237p
네이버 지식백과 ‘자궁근종’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858&cid=51007&categoryId=51007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