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저자의 문제의식
2.접근방식
3.영향·의의
4.한계·비판
5.소감
6.한국사회의 시사점
2.접근방식
3.영향·의의
4.한계·비판
5.소감
6.한국사회의 시사점
본문내용
되는 단백질의 종류를 지령하는 생체 단위이다. ‘이기적 유전자’에서 저자 리처드 도킨스는 이 유전자의 본질이 이기적이라는 것을 끊임없이 이야기한다.
그렇다면, 왜 황우석 교수팀과 미즈메디병원의 연구원들은 이 DNA 연구에 모든 것을 걸었을까. DNA,즉 유전자는 책의 본문에도 나오듯이 개체안에 들어 있으면서 개체의 모든 것을 결정하는 역할이다. 유전자에도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이것들은 개체가 자라면서 없어지기도 하고 역할이 바뀌기도 하지만 거의 태어날 때 그 역할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그 태어날 때라는 시점 전 단계가 바로 배아줄기세포 단계이다. 배아줄기세포 단계에서 어떤 역할을 가질 지 정해져서 비로소 생겨나는 것이 유전자인 것이다. 즉, 배아줄기세포를 생산해 낼 수 있고, 또 그것을 어떠한 특정 유전자로 변화시킬 수 있다면 정말 의학계, 생물학계, 과학계를 통틀어 이보다 더 위대한 업적은 없을 것이다.
황우석 교수팀의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실패로 끝났지만, 앞으로 ‘이기적’ 유전자의 모든 성질이 밝혀지고 유전자를 컨트롤(물론 법적 조치 등 올바른 컨트롤 제도가 필요하다)할 수 있게 되는 날이 온다면 지금의 삶보다 더 나은 삶을 우리는 살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왜 황우석 교수팀과 미즈메디병원의 연구원들은 이 DNA 연구에 모든 것을 걸었을까. DNA,즉 유전자는 책의 본문에도 나오듯이 개체안에 들어 있으면서 개체의 모든 것을 결정하는 역할이다. 유전자에도 여러 종류가 있는데 이것들은 개체가 자라면서 없어지기도 하고 역할이 바뀌기도 하지만 거의 태어날 때 그 역할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그 태어날 때라는 시점 전 단계가 바로 배아줄기세포 단계이다. 배아줄기세포 단계에서 어떤 역할을 가질 지 정해져서 비로소 생겨나는 것이 유전자인 것이다. 즉, 배아줄기세포를 생산해 낼 수 있고, 또 그것을 어떠한 특정 유전자로 변화시킬 수 있다면 정말 의학계, 생물학계, 과학계를 통틀어 이보다 더 위대한 업적은 없을 것이다.
황우석 교수팀의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실패로 끝났지만, 앞으로 ‘이기적’ 유전자의 모든 성질이 밝혀지고 유전자를 컨트롤(물론 법적 조치 등 올바른 컨트롤 제도가 필요하다)할 수 있게 되는 날이 온다면 지금의 삶보다 더 나은 삶을 우리는 살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