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계의 구성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화기계의 구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소화기계의 구성

2.소화기계의 기능

◈ 구강 oral cavity

◈ 인두 pharynx

◈ 식도 esophagus

♣ 위 stomach

♣ 소장(작은 창자) small intestine

◈ 십이지장

◈ 공장

◈ 회장

◈췌장(이자, pancreas)

♣간과 담낭

♣ 대장(큰 창자) large intestine

◈ 결장 colon

◈ 직장 rectum

◈ 항문 anal canal

☀ Reference

본문내용

의하여 요소로 전환되는 반응
(3) 지질대사
- 인지질, 콜레스테롤 등의 합성이나 지방을 연소시켜 에너지가 생산되는 반응
3) 해독과정
- 음식물을 통해 들어온 각종독성물질을 화학적으로 변화시켜, 담즙을 거쳐 배설
- 모세혈관망에는 성상세포라는 특수한 내피세포가 있어 간으로 유입되는 유독성 물질,간
의 노후세포, 파괴된 적혈구 기타 이물질에 대해 세포내에서 식자용 및 무독화 시킴
4) 혈액량 조절 및 혈액응고 물질 등 혈장단백질의 합성
- 피브리노겐, 프로트롬빈, 헤파린을 생산하여 혈액응고 기전에 관여
- 혈액을 저장했다가 필요시 방출, 보충
- 조혈기능, 철분 저장
4. 담낭의 기능
- 담즙은 담즙색소, 담즙산염, 콜레스테롤 및 무기염등을 포함하는 알칼리성 액체
- 소화효소를 갖고 있지 않지만 담즙산염은 지질을 유화시켜 유화액을 만들어 지질의 표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리파제 작용 증진
- 소화된 지방산을 물에 잘 녹게 하여 소장에서 쉽게 흡수 되게 함
- 장간순환 (재활용)
- 양이 2~4g 정도고 전체량이 하루 6~10번 순환되며 하루 0.6g 정도가 대변으로 배설
≫≫ 담낭의 기능과 관련된 질환
- 일반적으로 콜레스테롤이 담석을 형성
♣ 대장(큰 창자) large intestine
1)구조
큰창자는 회장맹장판막에서 항문까지 연장되는 기관으로, 길이는
약 1.5-1.8m이고 지름은 약 5cm이다.
큰창자는 맹장, 결장, 직장 및 항문의 4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맹장에는 충수가 부착한다.
장막이 큰창자를 싸고 있으며, 근육층은 바깥쪽 세로근육층과 안쪽 돌림근육층으로 분류된다.
점막밑층(tela submucosa)에는 동맥, 정맥, 림프관 드이 있으며 이곳에서 점액을 분비한다.
(2)기능
소장에서 소화가 다 되고 난 뒤의 찌꺼기는 대장으로 내려간다. 대장에서는 소화 작용이 없고, 주로 물의 흡수가 일어난다. 즉, 소장에서 내려온 내용물은 수분 함량이 많은데, 이 물이 대장에서 흡수되어 찌꺼기는 점점 고형화 되면서 대변으로 굳어지는 것이다. 대장 속에는 무수히 많은 대장균이 서식하고 있어서 대장으로 내려온 소화되지 않은 것을 일부 분해하면서 살고 있다. 대장에서 굳어진 내용물은 직장으로 내려가서 뒤에 대변으로 배설된다.
큰창자의 주요 기능
수분, 염화물 및 나트륨을 흡수
유미즙의 양을 줄인다.
장 박테리아는 몇 가지의 비타민 B군과 비타민K 를 합성한다.
윤활제 역할을 하고 점막을 보호하는 점액을 분비한다.
분변을 형성하여 배변 시까지 저장한다.
신체로부터 대변을 배출한다.
◈ 맹장 cecum
대장의 첫 5~7.5cm부분으로 회장맹장판막에서 회장과 연결되어 있다. 맹장이 이완되면 회장의 내용물이 맹장으로 들어온다. 맹장의 말단은 맹낭으로 충수가 붙어 있으며 복부의 오른 아래 구역에 위치해 있다.
◈ 결장 colon
대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자결장으로 구분한다.
결장은 작은창자보다 지름이 크고 융모가 없으며 점액을 분비한다.
- 상행결장 : 맹장의 연속, 오른쪽 가장자리
- 횡행결장 : 간의 아래쪽에서 왼쪽으로 구부러짐
- 하행결장 : 복부의 아래쪽에서 왼쪽으로 구부러짐
- S상결장 : 하행결장 끝부분은 좌측장골와에서 내측 방향, 운
동성 있음
- 결장의 특징적 구조
(1)장의 길이와 방향을 따라 달리는 간막띠, 대망띠, 자유띠가 있음
(2)복막수가 있는데 장막의 주머니로서 안에 지방이 있고 결장띠에 매달려있음
◈ 직장 rectum
S자결장에서부터 항문까지 뻗어있으며 두 개의 조임근(속조임근, 바깥조임근)이 항문의 개구를 조절한다.
◈ 항문 anal canal
직장에서 이어지며 점막은 길이로 주름져있는 길이 2cm의 짧은 관이다. 관의 바깥벽에는 골격근으로 된 외괄약근과 평활근으로 된 내괄약근이 있어 항문의 수축에 관여한다.
3) 분비
큰창자의 점막에는 창자 움(crypts of Lieberkuhn)이 있으며 수분, 점액, 칼륨과 중탄산염 등의 알카리성액을 분비한다.
점액 : 내용물을 부드럽게 하여 대변이 장을 통과할 수 있게 하고 점막이 외상을 입지
않도록 보호하며 대변을 덩어리로 만든다.
부교감신경계에 의해 자극되고 세균, 기계적 또는 화학적 결장자극들에 의해 분
비량이 증가
4)운동 : 집단연동운동은 장이 비워질 때 일어나는 느리고 강력한 파동으로 위결장반사와
십이지장결장반사에 의하여 하루2-3회 발생한다. 이 운동은 보통 식사 후에 일어
나며 변의를 느끼게 한다.
5)장내균상 : 큰창자의 알카리성 분비액들은 남아 있는 단백질과 소화되지 않은 잔여물을
주로 부패시키고, E. coli, Aerobacter aerogenes, Clostridium perfringenes
및 Lac-tobacillus등의 유기체들을 증식한다.
6)흡수 : 나트륨, 염화물과 수분을 흡수.
그 결과 맹장에서의 500ml수분 양이 분변에서는 100ml로 감소
7)분변 : 3/4이 수분, 1/4이 고형물질
고형물질 : 소화되지 않은 음식잔여물, 소화효소들, 죽은 세포들, 담즙색소 및 점
액등
8)배변 : 배변반사 - 분변과 가스가 내림결장으로부터 직장으로 밀고 들어올 때 발생
직장 내의 압력이 높아지고 속, 바깥조임근이 이완됨에 따라 팽만은 배변반사를 일으킨다.배변은 수의적으로 골반저부(pelvic floor)의 가로무늬근과 바깥항문 조임근을 수축함으로써 억제될 수 있다.배변 욕구를 수의적으로 억제하면 직장이 이완되고 배변 욕구는 사라진다.
≫≫대장기능과 관련된 질환
1) 설사
- 설사는 소장 및 대장의 많은 Na+, K+ 및 수분을 잃게 함으로써 탈수
- 혈액량의 감소와 그로인한 쇼크, 심장장애
2) 충수염 및 기타 염증
- 충수염은 충수돌기의 염증
- 충수염은 외과적으로 충수돌기를 제거하지 않으면 그곳에 구멍이나고 세균 및 대장 내용물이 복강내로 들어가므로 복막염 일으킴
- 그 밖에 장티푸스균, 이질균, 결핵균 및 아메바 등에 의한 염증
Reference
♧ 인체생리학 . 김정현 외. 2006. KMS(구 고문사)
♧ 성인간호학 . 서문자 외 . 2004년 . 수문사
♧ 성인간호학 . 서문자 외. 2007 . 여섯째판 수문사

키워드

  • 가격3,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6.07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79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