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에버랜드 소개
(1) 개요
(2) 연혁
(3) 입장객 추이
(4) 시설
(5) 성공요인
2. 산업 환경 분석
(1) 기존 기업 간의 경쟁
(2) 잠재적 진입자
(3) 대체품의 위협
(4) 구매자의 교섭력
(5) 공급자의 교섭력
3.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STP 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5. 7P 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5) People
(6) Physical Evidence
(7) Process
6. 문제점과 방안
(1) 문제점 분석
(2) 방안 제시
7. 최종 결론
(1) 개요
(2) 연혁
(3) 입장객 추이
(4) 시설
(5) 성공요인
2. 산업 환경 분석
(1) 기존 기업 간의 경쟁
(2) 잠재적 진입자
(3) 대체품의 위협
(4) 구매자의 교섭력
(5) 공급자의 교섭력
3.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4. STP 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5. 7P 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5) People
(6) Physical Evidence
(7) Process
6. 문제점과 방안
(1) 문제점 분석
(2) 방안 제시
7. 최종 결론
본문내용
을 이동시켜야 한다. 어트랙션과 관련한 꼼꼼한 소품처리와 공간조성은 줄을 서서 기다리는 시간에 고객이 뭔가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불만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미 다른 테마파크에서 사용하고 있는 ‘fastpass’를 이용하여 시설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브랜드파워를 높이기 위해 캐릭터사업에 대한 투자를 더욱 높여야 한다. 남녀노소 즐길 수 있는 수준 높은 캐릭터상품의 개발을 통해 에버랜드의 수준은 한층 높아져 세계적인 테마파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3) 홈브리지의 적극 활용 및 폭넓은 할인혜택 부여
우리나라의 에버랜드와 비슷한 테마파크인 디즈니랜드는 하루에 관람하기 힘든 코스이다. 그래서 디즈니랜드는 숙박시설을 이용해 방문객들이 여유를 가지고 디즈니랜드를 둘러볼 수 있도록 하였다. 에버랜드는 그 규모나 서비스 등 접근의 용이성을 제외한 모든 부문에서는 다른 국내 경쟁업체에 비해 월등히 앞선다. 이러한 접근의 용이성문제에 가장 큰 장애가 되는 것은 교통문제와 시간이다. 하지만 이 문제는 이곳에 지하철이 개통되기 전까지는 해결하기 힘든 과제이다. 그러므로 에버랜드는 이러한 교통과 시간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홈브리지를 적극 활용하여 고객들이 여유를 가지고 에버랜드를 방문함으로써 기업으로서도 경제적 이익의 효과를 얻도록 하고 고객들 또한 한번 방문이 후회가 되지 않는 경험이 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제휴사 카드의 할인은 입장료만 할인되는 경우다. 제휴를 맺고 할인되는 카드 종류가 많긴 하지만 입장료 할인혜택만이 아닌 식품구매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쿠폰을 발행하는 등의 프로모션을 개발하면 고객들은 에버랜드를 이용할 때 드는 비용부담을 상대적으로 덜 느끼면서 서비스에 대한 만족감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고객들의 재방문을 좀 더 활발히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7. 최종 결론
에버랜드는 국내 경쟁업체 간에서도 서울랜드, 롯데월드 등의 테마 파크에 비해 여러 가지 면에서, 특히 교통이나 입지면 등에서 출발점을 달리 하고 있어서 매우 불리한 출발을 보였다. 하지만 규모의 경제 측면에서 보면 다른 경쟁업체들에 비해 개발 가능한 넓은 부지라는 커다란 경쟁우위의 요소가 있었으며, 눈썰매 등의 아이템으로 사계절 모두 손님들에게 에버랜드를 오게 유도하는 훌륭한 대안을 마련하였다.
에버랜드의 성공의 열쇠는 에버랜드 임직원뿐만 아니라, 빠른 환경변화에 적절히 대응, 변화해 나간 허태학 CEO의 전혀 다른 개념의 서비스 지식경영의 힘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허태학 CEO의 WIN-WIN이란 경영철학으로 지금까지의 고객과 종업원의 개념인 상하계층을 수평계층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뒤바꾸고, 그럼으로 해서 타 경쟁업체와 차별화시켜 궁극적으로 좋은 결과로 냈다. 하지만 이러한 에버랜드도 몇 가지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우선 테마의 체험성이 낮다. 흔히 에버랜드를 놀이공원이라고들 한다. 그것은 바로 에버랜드가 내세우고 있는 다섯 가지 테마가 아직 방문자들에게는 진하게 체험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하겠다. 재미있고 즐겁게 해주려고 남다른 노력을 하고 있지만 가슴 울렁거리는 감동을 주지 못한다. 영상을 통한 엔터테인먼트도 부족하다. 디즈니사의 디즈니프로덕션, 워너브라더스사 식스플렉스 소속의 파크, 파라마운트영화사 소유 테마파크들이 지닌 공통점은 히트 영화를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에버랜드도 세계적인 영화사나 대형 엔터테인먼트 관련사와 전략적 제휴를 맺음으로써 영상산업과의 연계성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 크게 요구된다.
가격 시스템의 변경 역시 필요하다. 지금은 다양한 형태의 가격이 적용되고 있다. 가슴에 태그를 달고 다니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입장권 한 장만 들고 들어오는 방문자들도 있다. 테마파크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현재 1만8000원 선인 1인당 지출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우선 단일 가격제(one price system) 도입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테마파크는 균질의 상품을 통하여 박리다매를 추구하는 관광서비스산업 가운데서도 그 성격이 가장 집약적인 곳이다. 물품 판매비율 역시 30%대로 낮은 실정이다. 물론 고객들의 호주머니 사정이 주된 원인의 하나다. 그러나 기존 캐릭터인 라시언, 라이라 등에 대한 인지도가 높지 않은 게 더 큰 원인이다. 테마파크의 첫째 기능은 물품을 판매하는 것이다. 테마별 상품 판매를 위해 상품 판매 또한 쇼임을 직시하고 고객들이 쇼핑을 즐기게 하는 노력을 강화해야 하겠다.
현재 에버랜드 방문객의 95% 이상이 내국인 중심으로 되어 있는데, 중국과 대만을 비롯한 동남아시아와 세계인들을 대상으로 한 공격적인 마케팅 활동도 요구된다. 에버랜드에는 대중 골프장(9홀)과 통나무집 등이 있으나 아직 선진화된 리조트 시설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숙박시설이 부족하고, 특히 체험형 리조트 관련 시설이 좀 더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이 시점에서 외국자본 유치를 통해 공동으로 개발하는 방향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에버랜드는 테마파크시장에서 한국 최고의 마켓리더이다. 마켓리더는 남을 모방할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창의적인 연구 노력과 외국의 선진 시스템을 도입, 소화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참고자료>
www.everland.com
www.seri.org
www.mcst.go.kr
www.knto.or.kr
www.visitkorea.or.kr
www.tour.go.kr
www.fnnews.com
www.donga.com
www.joins.com
www.hankyung.com
레저백서 - 한국레저 산업 연구소, 2010
테마파크 공연이야기 - 이기호, 이야기꽃, 2009
맞수기업열전 - 정혁준, 에쎄, 2009
테마파크의 이해 - 김창수, 대왕사, 2007
고객가치를 경영하라 - 이유재, 21세기북스, 2007
테마파크의 이용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최지남, 단국대 대학원, 2003
에버랜드 서비스 리더십 - 삼성에버랜드 서비스아카데미, 21세기북스, 2001
N세대를 움직이는 마케팅의 귀재들 - 허윤정, 시공사, 2000
효과적인 테마파크 판매촉진방안에 관한 연구 - 이현룡, 1999
3) 홈브리지의 적극 활용 및 폭넓은 할인혜택 부여
우리나라의 에버랜드와 비슷한 테마파크인 디즈니랜드는 하루에 관람하기 힘든 코스이다. 그래서 디즈니랜드는 숙박시설을 이용해 방문객들이 여유를 가지고 디즈니랜드를 둘러볼 수 있도록 하였다. 에버랜드는 그 규모나 서비스 등 접근의 용이성을 제외한 모든 부문에서는 다른 국내 경쟁업체에 비해 월등히 앞선다. 이러한 접근의 용이성문제에 가장 큰 장애가 되는 것은 교통문제와 시간이다. 하지만 이 문제는 이곳에 지하철이 개통되기 전까지는 해결하기 힘든 과제이다. 그러므로 에버랜드는 이러한 교통과 시간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홈브리지를 적극 활용하여 고객들이 여유를 가지고 에버랜드를 방문함으로써 기업으로서도 경제적 이익의 효과를 얻도록 하고 고객들 또한 한번 방문이 후회가 되지 않는 경험이 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제휴사 카드의 할인은 입장료만 할인되는 경우다. 제휴를 맺고 할인되는 카드 종류가 많긴 하지만 입장료 할인혜택만이 아닌 식품구매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쿠폰을 발행하는 등의 프로모션을 개발하면 고객들은 에버랜드를 이용할 때 드는 비용부담을 상대적으로 덜 느끼면서 서비스에 대한 만족감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고객들의 재방문을 좀 더 활발히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7. 최종 결론
에버랜드는 국내 경쟁업체 간에서도 서울랜드, 롯데월드 등의 테마 파크에 비해 여러 가지 면에서, 특히 교통이나 입지면 등에서 출발점을 달리 하고 있어서 매우 불리한 출발을 보였다. 하지만 규모의 경제 측면에서 보면 다른 경쟁업체들에 비해 개발 가능한 넓은 부지라는 커다란 경쟁우위의 요소가 있었으며, 눈썰매 등의 아이템으로 사계절 모두 손님들에게 에버랜드를 오게 유도하는 훌륭한 대안을 마련하였다.
에버랜드의 성공의 열쇠는 에버랜드 임직원뿐만 아니라, 빠른 환경변화에 적절히 대응, 변화해 나간 허태학 CEO의 전혀 다른 개념의 서비스 지식경영의 힘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허태학 CEO의 WIN-WIN이란 경영철학으로 지금까지의 고객과 종업원의 개념인 상하계층을 수평계층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뒤바꾸고, 그럼으로 해서 타 경쟁업체와 차별화시켜 궁극적으로 좋은 결과로 냈다. 하지만 이러한 에버랜드도 몇 가지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우선 테마의 체험성이 낮다. 흔히 에버랜드를 놀이공원이라고들 한다. 그것은 바로 에버랜드가 내세우고 있는 다섯 가지 테마가 아직 방문자들에게는 진하게 체험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하겠다. 재미있고 즐겁게 해주려고 남다른 노력을 하고 있지만 가슴 울렁거리는 감동을 주지 못한다. 영상을 통한 엔터테인먼트도 부족하다. 디즈니사의 디즈니프로덕션, 워너브라더스사 식스플렉스 소속의 파크, 파라마운트영화사 소유 테마파크들이 지닌 공통점은 히트 영화를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에버랜드도 세계적인 영화사나 대형 엔터테인먼트 관련사와 전략적 제휴를 맺음으로써 영상산업과의 연계성을 강화해 나가는 것이 크게 요구된다.
가격 시스템의 변경 역시 필요하다. 지금은 다양한 형태의 가격이 적용되고 있다. 가슴에 태그를 달고 다니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입장권 한 장만 들고 들어오는 방문자들도 있다. 테마파크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현재 1만8000원 선인 1인당 지출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우선 단일 가격제(one price system) 도입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테마파크는 균질의 상품을 통하여 박리다매를 추구하는 관광서비스산업 가운데서도 그 성격이 가장 집약적인 곳이다. 물품 판매비율 역시 30%대로 낮은 실정이다. 물론 고객들의 호주머니 사정이 주된 원인의 하나다. 그러나 기존 캐릭터인 라시언, 라이라 등에 대한 인지도가 높지 않은 게 더 큰 원인이다. 테마파크의 첫째 기능은 물품을 판매하는 것이다. 테마별 상품 판매를 위해 상품 판매 또한 쇼임을 직시하고 고객들이 쇼핑을 즐기게 하는 노력을 강화해야 하겠다.
현재 에버랜드 방문객의 95% 이상이 내국인 중심으로 되어 있는데, 중국과 대만을 비롯한 동남아시아와 세계인들을 대상으로 한 공격적인 마케팅 활동도 요구된다. 에버랜드에는 대중 골프장(9홀)과 통나무집 등이 있으나 아직 선진화된 리조트 시설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숙박시설이 부족하고, 특히 체험형 리조트 관련 시설이 좀 더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이 시점에서 외국자본 유치를 통해 공동으로 개발하는 방향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에버랜드는 테마파크시장에서 한국 최고의 마켓리더이다. 마켓리더는 남을 모방할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창의적인 연구 노력과 외국의 선진 시스템을 도입, 소화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참고자료>
www.everland.com
www.seri.org
www.mcst.go.kr
www.knto.or.kr
www.visitkorea.or.kr
www.tour.go.kr
www.fnnews.com
www.donga.com
www.joins.com
www.hankyung.com
레저백서 - 한국레저 산업 연구소, 2010
테마파크 공연이야기 - 이기호, 이야기꽃, 2009
맞수기업열전 - 정혁준, 에쎄, 2009
테마파크의 이해 - 김창수, 대왕사, 2007
고객가치를 경영하라 - 이유재, 21세기북스, 2007
테마파크의 이용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최지남, 단국대 대학원, 2003
에버랜드 서비스 리더십 - 삼성에버랜드 서비스아카데미, 21세기북스, 2001
N세대를 움직이는 마케팅의 귀재들 - 허윤정, 시공사, 2000
효과적인 테마파크 판매촉진방안에 관한 연구 - 이현룡, 1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