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ntroduction
(1) CJ제일제당
(2) 햇반
2. 환경 분석
(1) 사회적 환경
(2) 기술적 환경
(3) 법적, 정치적 환경
3. 경쟁사 분석
(1) 동원F&B
(2) 오뚜기
(3) 농심
4.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5. STP 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6. 4P 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7. 향후 개선 방향
(1) 새로운 기술 개발
(2) 새로운 시장 창출
8. 최종 결론
(1) CJ제일제당
(2) 햇반
2. 환경 분석
(1) 사회적 환경
(2) 기술적 환경
(3) 법적, 정치적 환경
3. 경쟁사 분석
(1) 동원F&B
(2) 오뚜기
(3) 농심
4.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5. STP 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6. 4P 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7. 향후 개선 방향
(1) 새로운 기술 개발
(2) 새로운 시장 창출
8. 최종 결론
본문내용
던 이미지를 재고시켜 더욱 많은 즉석밥 판매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2) 자체발열 기술이 접목된 즉석밥
현재 시중이 출시되고 있는 즉석밥들은 모두 전자레인지 혹은 끓는 물에 데워서 먹어야만 했다. 하지만 낚시, 산, 여행 등 레저를 즐기러 집을 떠났을 때에는 전자레인지를 사용할 수 없고, 물을 뜨겁게 데우는 일이 매우 번거로울 수 있다. 즉석밥에 비상식량에 적용하는 자체발열 기술을 접목시킨다면, 차가운 물과 그릇만 있으면 즉석밥을 데워 먹을 수가 있다.
이를 사용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그릇에 차가운 물을 부은 상태에서 즉석밥을 넣고 즉석밥 겉에 표시된 버튼을 누르면 저절로 물이 끓으면서 밥이 데워진다. 이러한 레저용 즉석밥에는 포장지 겉에 온도계 (밥이 다 데워 졌을 때만 색깔이 드러나는 특수잉크로 프린트)를 붙여 고객들이 밥을 가장 맛있는 타이밍에 먹을 수 있도록 도와주도록 한다.
새롭게 개발될 수 있는 레저용 즉석밥은, 집이 아닌 야외에서 즉석밥을 즐길 수 있도록 개발하였기 때문에 꾸준히 레저를 즐기는 사람들 혹은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시장을 창출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즉석밥을 데우는데 있어 기존보다 훨씬 간편해졌기 때문에 조금 더 비싸더라도 간편한 것을 좋아하는 20대 젊은 층에게서도 구매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전략이 될 것이다.
(2) 새로운 시장 창출
1) 외국인 시장 공략
햇반이 또 어떠한 전략을 쓸 수 있을까? 예로부터 한국에서는 신토불이라 하여 우리 땅에서 난 농산물이 우리 몸에 좋다는 인식이 있어왔다. 그래서 지금도 우리나라에서 나는 농산물이면 해외에서 들여온 것을 쓰지 않고 우리 것을 먹는 것이 좋다는 인식이 널리 자리 잡고 있다. 때문에 가공된 제품을 구입할 때에도 국산 원재료를 많이 사용하거나 국산 원재료만을 사용한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보다 비싼 값을 치르더라도 그러한 비용을 감수할 의향이 소비자에게 충분히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을 거꾸로 외국의 소비자에게 적용해 보면 어떨까? 요즘은 한식이 세계로 알려져 타국에서도 쌀 소비가 늘어나고 있고 이는 앞으로 더욱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또한 쌀을 주식으로 하는 나라는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가까운 일본을 비롯한 많은 나라들이 있다. 햇반은 우리나라를 소비자를 타겟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이기 때문에 국산쌀을 이용한 제품만을 선보여 왔지만 새로운 시장을 찾아 해외로 눈을 돌리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냥 해외 시장을 공략하는 것이 아니라 그 나라에서 생산된 쌀을 사용하여 햇반을 만들면 더욱 그 시장의 소비자를 위한 제품이 될 것이다. 그 시장의 쌀을 원재료로 하여 햇반을 만들게 되면, 햇반 생산 업체인 CJ는 모르는 소비자이더라도 본토의 쌀을 이용했다는 점을 통해 본토의 소비자에게 좀 더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으며, 한국에서 생산한 쌀로 만들어 수출할 때보다 그 나라 사람들의 입맛에 맞는 제품을 만들 수 있고 가격 경쟁력 상으로 더 우월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2) 저칼로리 시장 공략
웰빙 바람과 더불어 현대를 흔들고 있는 것은 미용에 대한 관심이다. 외모도 스펙이 되는 세상에서 예쁜 얼굴과 더불어 아름다운 몸매를 갖고 싶어 하는 것은 성별과 연령을 뛰어넘은 전 세계인의 관심사일 수밖에 없다. 때문에 이러한 사회의 분위기와 맞물려 많은 저칼로리 제품이 시장에 선을 보여 왔고 큰 인기를 끌어왔다. 햇반도 이 열풍에 동참하는 것은 어떨까? 아직 상품밥 시장에는 저칼로리 제품은 존재하지 않는다. 환자를 위한 저단백 햇반을 CJ에서 선보인 바는 있으나 이는 환자식의 일환이지 저칼로리 제품임을 표방하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이 아이디어와 기술을 도입하여 맛에서는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저칼로리인 햇반을 출시한다면 미용에 많은 신경을 쓰는 현대인에게, 특히 여성들에게 많은 지지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환자식과는 달리 저단백이 아닌 저탄수화물 제품을 내놓는다면 높은 탄수화물 수치 때문에 다이어트에 돌입하기만 하면 밥을 아예 외면하고 닭가슴살과 샐러드에만 눈길을 돌렸던 소비자들에게서 신선한 반응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8. 최종 결론
햇반은 현대인의 변화하는 식생활 문화 및 라이프스타일에 착안해 밥을 상품화함으로서 성공한 제품이다. 햇반은 도시화로 인해 빠르게 식사하기를 원하던 수요에 맞춰 패스트푸드가 범람하던 시장에서, 한국인의 주식인 밥의 편의성을 해결해 줄 수 있는 햇반을 개발하여 틈새시장을 개척했다. 이 상품은 96년 12월 출시된 후 뛰어난 품질을 바탕으로 광고, 시식회 등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펼쳐 시장을 키워왔다. 브랜드명인 \'햇반\' 은 햅쌀밥, 청결, 정성 등의 이미지를 전달하는데 성공을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용기 또한 신상품의 콘셉트와 편리성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1인분용의 둥근 형태로 만들었다. 또한 전자레인지에 데워서 쉽게 먹을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한 용기를 도입하였다. 가격은 일반 음식점에서 한 그릇이 천원인 점을 고려해 1.150원에서 출발하였다. 제품 유통은 초기 단계에서 집중력을 강화하기 위해 젊은 층들이 많이 찾는 편의점을 주로 공략했다. 이후 대도시 등의 중대형 매장을 중심으로 시식행사 등을 갖고 백화점, 병원, 기업체, 기숙사까지 다양한 곳으로 판로를 개척했다. 소비자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전략은 고품격, 고품질이라는 상품 가치를 알리는데 주력했다.
했반이 나오기 전에 시장에는 래토르트밥, 냉동밥, 등이 소개됐으나 품질수준이 미흡하여 시장에서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밥맛에 관한한 누구보다 높은 기대 수준을 갖고 있는 국내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한 것이다. \'햇반\'은 향상된 품질을 바탕으로 기존의 상품 밥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인 인식을 전환시키는데 성공하였다. \'햇반\'의 성공은 틈새시장을 개척하는데 무엇보다 마케팅 활동에 주력한 노력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앞으로 위에서 우리조가 제시한 다양한 아이디어 등을 활용하여, 현재 광고나 홍보 분야에서 미흡했던 점들을 개선한다면 점점 경쟁이 치열해져가는 즉석 밥 시장에서 지금과 같은 우위를 계속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2) 자체발열 기술이 접목된 즉석밥
현재 시중이 출시되고 있는 즉석밥들은 모두 전자레인지 혹은 끓는 물에 데워서 먹어야만 했다. 하지만 낚시, 산, 여행 등 레저를 즐기러 집을 떠났을 때에는 전자레인지를 사용할 수 없고, 물을 뜨겁게 데우는 일이 매우 번거로울 수 있다. 즉석밥에 비상식량에 적용하는 자체발열 기술을 접목시킨다면, 차가운 물과 그릇만 있으면 즉석밥을 데워 먹을 수가 있다.
이를 사용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그릇에 차가운 물을 부은 상태에서 즉석밥을 넣고 즉석밥 겉에 표시된 버튼을 누르면 저절로 물이 끓으면서 밥이 데워진다. 이러한 레저용 즉석밥에는 포장지 겉에 온도계 (밥이 다 데워 졌을 때만 색깔이 드러나는 특수잉크로 프린트)를 붙여 고객들이 밥을 가장 맛있는 타이밍에 먹을 수 있도록 도와주도록 한다.
새롭게 개발될 수 있는 레저용 즉석밥은, 집이 아닌 야외에서 즉석밥을 즐길 수 있도록 개발하였기 때문에 꾸준히 레저를 즐기는 사람들 혹은 여행을 즐기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시장을 창출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즉석밥을 데우는데 있어 기존보다 훨씬 간편해졌기 때문에 조금 더 비싸더라도 간편한 것을 좋아하는 20대 젊은 층에게서도 구매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전략이 될 것이다.
(2) 새로운 시장 창출
1) 외국인 시장 공략
햇반이 또 어떠한 전략을 쓸 수 있을까? 예로부터 한국에서는 신토불이라 하여 우리 땅에서 난 농산물이 우리 몸에 좋다는 인식이 있어왔다. 그래서 지금도 우리나라에서 나는 농산물이면 해외에서 들여온 것을 쓰지 않고 우리 것을 먹는 것이 좋다는 인식이 널리 자리 잡고 있다. 때문에 가공된 제품을 구입할 때에도 국산 원재료를 많이 사용하거나 국산 원재료만을 사용한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보다 비싼 값을 치르더라도 그러한 비용을 감수할 의향이 소비자에게 충분히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을 거꾸로 외국의 소비자에게 적용해 보면 어떨까? 요즘은 한식이 세계로 알려져 타국에서도 쌀 소비가 늘어나고 있고 이는 앞으로 더욱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또한 쌀을 주식으로 하는 나라는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가까운 일본을 비롯한 많은 나라들이 있다. 햇반은 우리나라를 소비자를 타겟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이기 때문에 국산쌀을 이용한 제품만을 선보여 왔지만 새로운 시장을 찾아 해외로 눈을 돌리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냥 해외 시장을 공략하는 것이 아니라 그 나라에서 생산된 쌀을 사용하여 햇반을 만들면 더욱 그 시장의 소비자를 위한 제품이 될 것이다. 그 시장의 쌀을 원재료로 하여 햇반을 만들게 되면, 햇반 생산 업체인 CJ는 모르는 소비자이더라도 본토의 쌀을 이용했다는 점을 통해 본토의 소비자에게 좀 더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으며, 한국에서 생산한 쌀로 만들어 수출할 때보다 그 나라 사람들의 입맛에 맞는 제품을 만들 수 있고 가격 경쟁력 상으로 더 우월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2) 저칼로리 시장 공략
웰빙 바람과 더불어 현대를 흔들고 있는 것은 미용에 대한 관심이다. 외모도 스펙이 되는 세상에서 예쁜 얼굴과 더불어 아름다운 몸매를 갖고 싶어 하는 것은 성별과 연령을 뛰어넘은 전 세계인의 관심사일 수밖에 없다. 때문에 이러한 사회의 분위기와 맞물려 많은 저칼로리 제품이 시장에 선을 보여 왔고 큰 인기를 끌어왔다. 햇반도 이 열풍에 동참하는 것은 어떨까? 아직 상품밥 시장에는 저칼로리 제품은 존재하지 않는다. 환자를 위한 저단백 햇반을 CJ에서 선보인 바는 있으나 이는 환자식의 일환이지 저칼로리 제품임을 표방하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이 아이디어와 기술을 도입하여 맛에서는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저칼로리인 햇반을 출시한다면 미용에 많은 신경을 쓰는 현대인에게, 특히 여성들에게 많은 지지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환자식과는 달리 저단백이 아닌 저탄수화물 제품을 내놓는다면 높은 탄수화물 수치 때문에 다이어트에 돌입하기만 하면 밥을 아예 외면하고 닭가슴살과 샐러드에만 눈길을 돌렸던 소비자들에게서 신선한 반응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8. 최종 결론
햇반은 현대인의 변화하는 식생활 문화 및 라이프스타일에 착안해 밥을 상품화함으로서 성공한 제품이다. 햇반은 도시화로 인해 빠르게 식사하기를 원하던 수요에 맞춰 패스트푸드가 범람하던 시장에서, 한국인의 주식인 밥의 편의성을 해결해 줄 수 있는 햇반을 개발하여 틈새시장을 개척했다. 이 상품은 96년 12월 출시된 후 뛰어난 품질을 바탕으로 광고, 시식회 등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펼쳐 시장을 키워왔다. 브랜드명인 \'햇반\' 은 햅쌀밥, 청결, 정성 등의 이미지를 전달하는데 성공을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용기 또한 신상품의 콘셉트와 편리성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1인분용의 둥근 형태로 만들었다. 또한 전자레인지에 데워서 쉽게 먹을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한 용기를 도입하였다. 가격은 일반 음식점에서 한 그릇이 천원인 점을 고려해 1.150원에서 출발하였다. 제품 유통은 초기 단계에서 집중력을 강화하기 위해 젊은 층들이 많이 찾는 편의점을 주로 공략했다. 이후 대도시 등의 중대형 매장을 중심으로 시식행사 등을 갖고 백화점, 병원, 기업체, 기숙사까지 다양한 곳으로 판로를 개척했다. 소비자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전략은 고품격, 고품질이라는 상품 가치를 알리는데 주력했다.
했반이 나오기 전에 시장에는 래토르트밥, 냉동밥, 등이 소개됐으나 품질수준이 미흡하여 시장에서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밥맛에 관한한 누구보다 높은 기대 수준을 갖고 있는 국내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한 것이다. \'햇반\'은 향상된 품질을 바탕으로 기존의 상품 밥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인 인식을 전환시키는데 성공하였다. \'햇반\'의 성공은 틈새시장을 개척하는데 무엇보다 마케팅 활동에 주력한 노력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앞으로 위에서 우리조가 제시한 다양한 아이디어 등을 활용하여, 현재 광고나 홍보 분야에서 미흡했던 점들을 개선한다면 점점 경쟁이 치열해져가는 즉석 밥 시장에서 지금과 같은 우위를 계속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기업의 경영 사례] CJ 기업의 마케팅 전략 알아복, 그 성공전략에 대해 분석한 뒤 문제점과...
[유통관리]할인점의 PB확대 정책이 유통구조에 미치는 영향 (리포트)
히트상품 햇반의 새로운 마케팅전략
[마케팅원론]CJ '햇반' 마케팅전략 분석 및 경쟁력강화 방안
[농심 새우깡][해태제과 에이스크래커][대상 청정원][CJ제일제당][삼양][동양제과]농심 새우...
CJ 햇반 마케팅전략분석과 햇반 새로운 마케팅전략 제안과 나의견해
CJ 햇반의 전략적 마케팅 계획 분석
외식상품개발 전개과정
CJ제일제당 기업분석,CJ제일제당 마케팅,CJ제일제당 경영전략,CJ의 역사,CJ의 시장현황,햇반 ...
소비자행동론 ) 국내 및 해외에서도 세대 간 차이에 대한 사회적 담론이 증가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