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력(Nursing History)
2.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3. 대상자의 간호과정(Nursing Process for This Case)
(1) 초기사정자료(Initial Data 간호력)
(2) 간호과정(Nursing Process)
#1. 혈액흐름장애와 관련된 조직관류변화
#2. 신경근육장애와 관련된 배뇨장애
#3.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4. 투약(Medication and Fluid Administration)
5. 임상 병리적 검사결과(Lab Data)
6. 참고문헌(references)
2.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3. 대상자의 간호과정(Nursing Process for This Case)
(1) 초기사정자료(Initial Data 간호력)
(2) 간호과정(Nursing Process)
#1. 혈액흐름장애와 관련된 조직관류변화
#2. 신경근육장애와 관련된 배뇨장애
#3.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4. 투약(Medication and Fluid Administration)
5. 임상 병리적 검사결과(Lab Data)
6. 참고문헌(references)
본문내용
시트가 젖은 경우에 즉시 교환해준다.
3. 배변 후 항문주위 피부를 물로 깨끗이 닦고, 부채질을 해주어서 건조하게 유지한다.
4. 항문주위 피부에 보호용 크림이나 바셀린을 발라준다.
5. 억제대 적용 부위의 뼈 돌출부위나 피부에는 패드를 대어주고, 보호자가 상주하고 있는 경우에는 억제대를 풀어주도록 한다.
6. 2시간마다 왼쪽, 똑바로 누운 자세, 오른쪽으로 번갈아가면서 체위를 변경한다.
7. 체위변경시 욕창이 생기기 쉬운 부위(엉덩이, 뼈 돌출부위)를 마사지해준다.
8. 4시간마다 피부상태를 사정하면서 손상부위를 관찰하고, 베타딘으로 소독해준 뒤 duoderm을 붙여준다.
1. 피부상태를 정확히 사정해야 적절한 중재를 수행할 수 있다.
2. 옷이나 침구에 구김이 있으면 욕창이 생기기 쉽다.
3. 대변 내 독소가 피부에 자극을 주는 것과 습기로 인한 세균번식을 막기 위함이다.
4. 항문주위 피부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5. 억제대에 의해 피부나 조직의 마찰이 발생하고 욕창이 생길 수 있다.
6. 잦은 체위변경은 한 부위에 지속되는 압력을 제거하여 욕창을 예방해준다.
7. 엉덩이 등 비활동성 부위와 뼈돌출부위에 욕창이 자주 발생한다. 경미한 발적은 충분한 마사지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면 효과적이다.
8. 상처를 깨끗이 하고 치유과정을 빠르게 한다.
* 단기평가 :
피부발적 및 욕창이 생기지 않았다.
* 장기평가 :
정상적인 피부상태를 유지하였다.
#3.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파란색 표시=도와드렸거나 직접 시행한 간호중재)
약품명
효능·효과
용법·용량
금기
부작용
Hydralazine
[혈압강하제]
응급성고혈압(고혈압성 발증) 등 중증의 본태성 고혈압
성인 : 1회 20mg
소아 :
1회 0.5~1mg/kg
이 약에 과민증 및 그 병력이 있는 환자, 관동맥질환 환자, 허혈성 심질환·심부전 환자, 두개내 급성 출혈 환자,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LE) 및 관련 질환 환자, 기계적 폐쇄(대동맥·승모판협착 또는 교착성 심낭염 등)에 의한 심근부전 환자, 중증의 빈맥 환자, 해리성 동맥류 환자
발열, 홍반, 관절통, 흉통, 빈맥, 심계항진, 협심증, 울혈성 심부전, 기립성 저혈압
Nimodipine
[칼슘채널차단제]
1. 동맥류로 인한 지주막하출혈후 뇌혈관경련에 의한 허혈성 신경장애 예방 및 치료
2. 뇌혈관에 기인한 뇌기능장애에 의한 집중력결핍, 기억력감퇴, 우울, 불안의 개선
1. 뇌혈관 경련에 의한 허혈성 신경장애 : 1회 60mg을 4시간간격으로 1일 6회 7일간
2. 뇌기능장애 : 1회 30mg을 1일 3회 복용
1.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 환자, 임부 및 가임부, 수유부
2. 중증의 간기능장애 환자(간경화 환자), 리팜피신을 투여받고 있는 환자
3. 페노바르비탈, 페니토인, 카르바마제핀과 같은 항간질약을 투여받고 있는 환자
변비, 설사, 고창, 두통, 현기증, 저혈압, 혈관확장, 혈소판감소, 피부 발진
Trimebutine
[위장운동조절 및 진경제]
1. 식도역류 및 열공헤르니아, 위십이지장염, 위십이지장궤양의 동통
2. 복통, 소화불량, 구역, 구토, 과민성대장증후군, 경련성 결장
3. 소아의 습관성 구토, 변비, 설사, 멀미
1일 3회 식전, 1회에 100~200mg
갈락토오스 불내성,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
1. 변비, 설사, 구역, 구토, 소화장애, 구갈
2. 심계항진, 졸음, 발진, GOT/GPT 상승
Methylphenidate
[중추신경 흥분제]
6세 이상의 소아 및 청소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의 치료
1일 1회 아침식전에 20mg 복용이 권장된다. 용량은 매주 20mg씩 증량해서 최대 60mg/일까지 증량 투여할 수 있다
1. 중증의 불안, 긴장, 흥분 환자
2. 이 약 및 이 약의 다른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3. 녹내장 환자
4. 뚜렛 증후군으로 진단받았거나 가족력이 있는 환자 및 운동성 틱장애 환자
5. MAO 저해제 투여 중이거나, MAO 저해제 투여 중단 후 최소 14일 이내의 환자
두통, 복통(위통), 식욕부진(식욕 감퇴), 불면
Atorvastatin
[고지혈증 치료제]
HMG-CoA reductase 경쟁적 저해제 : 고지혈증 치료제
1일 1회 10~80mg
1. 이 약 성분에 과민한 환자, 근질환 환자, 임부, 수유부
2. 피임제를 사용하지 않는 가임 여성, 활동성 간질환 환자
3. 혈청 트랜스아미나제치의 상승이 정상 상한치의 3배 이상 상승된 환자
무력감, 소화불량, 오심, 변비, 설사, 복통, 두통, 불면증, 근육통
HEMO-Q
[철분제제 & 빈혈약]
철결핍성 빈혈의 예방 및 치료, 급·만성 혈액손실, 감염, 임신, 수유로 인한 철결핍 치료
1회 2정씩 1일 1-2회 식전 복용
1. 이 약에 과민성이 있는 환자
2. 헤모시데린침착증, 혈소증 환자
3. 재생불량성, 용혈성 및 철불응성 빈혈 환자
4. 만성 췌장염 환자
5. 간경변환자
1. 구역, 구토, 식욕부진, 복통, 설사, 변비
2. 두드러기, 가려움증, 광선과민증
4. 투약(Medication and Fluid Administration)
5. 임상 병리적 검사결과(Lab Data)
검사일시
검사항목
수치
단위
정상범위
2012.2.23
Hemoglobin
▼9.2
gdL
13.6-17.4
Hematocrit
▼26.5
%
40.4-51.3
Monocyte
▲10.4
%
1.7-8.0
ESR
▲44
mm/hr
0-22
(1)일반혈액검사
(2) 일반화학검사
검사일시
검사항목
수치
단위
정상범위
2012.2.23
Creatinine
▼0.38
mg/dl
0.6-1.1
BUN&Creatinine ratio
▲28.4
mg/dl
13.3-20.0
Estimated GFR
▲161
mL/min
60-150
CI
▼96
mml/l
98-110
CRP
▲1.57
mg/de
0-0.3
6. 참고문헌(references)
-포널스 포켓시리즈 간호진단, 김정애 지음, 포널스출판사
-성인간호학, 김영숙, 수문사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드러그인포 약품요약정보 www.druginfo.co.kr
3. 배변 후 항문주위 피부를 물로 깨끗이 닦고, 부채질을 해주어서 건조하게 유지한다.
4. 항문주위 피부에 보호용 크림이나 바셀린을 발라준다.
5. 억제대 적용 부위의 뼈 돌출부위나 피부에는 패드를 대어주고, 보호자가 상주하고 있는 경우에는 억제대를 풀어주도록 한다.
6. 2시간마다 왼쪽, 똑바로 누운 자세, 오른쪽으로 번갈아가면서 체위를 변경한다.
7. 체위변경시 욕창이 생기기 쉬운 부위(엉덩이, 뼈 돌출부위)를 마사지해준다.
8. 4시간마다 피부상태를 사정하면서 손상부위를 관찰하고, 베타딘으로 소독해준 뒤 duoderm을 붙여준다.
1. 피부상태를 정확히 사정해야 적절한 중재를 수행할 수 있다.
2. 옷이나 침구에 구김이 있으면 욕창이 생기기 쉽다.
3. 대변 내 독소가 피부에 자극을 주는 것과 습기로 인한 세균번식을 막기 위함이다.
4. 항문주위 피부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5. 억제대에 의해 피부나 조직의 마찰이 발생하고 욕창이 생길 수 있다.
6. 잦은 체위변경은 한 부위에 지속되는 압력을 제거하여 욕창을 예방해준다.
7. 엉덩이 등 비활동성 부위와 뼈돌출부위에 욕창이 자주 발생한다. 경미한 발적은 충분한 마사지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면 효과적이다.
8. 상처를 깨끗이 하고 치유과정을 빠르게 한다.
* 단기평가 :
피부발적 및 욕창이 생기지 않았다.
* 장기평가 :
정상적인 피부상태를 유지하였다.
#3.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파란색 표시=도와드렸거나 직접 시행한 간호중재)
약품명
효능·효과
용법·용량
금기
부작용
Hydralazine
[혈압강하제]
응급성고혈압(고혈압성 발증) 등 중증의 본태성 고혈압
성인 : 1회 20mg
소아 :
1회 0.5~1mg/kg
이 약에 과민증 및 그 병력이 있는 환자, 관동맥질환 환자, 허혈성 심질환·심부전 환자, 두개내 급성 출혈 환자,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LE) 및 관련 질환 환자, 기계적 폐쇄(대동맥·승모판협착 또는 교착성 심낭염 등)에 의한 심근부전 환자, 중증의 빈맥 환자, 해리성 동맥류 환자
발열, 홍반, 관절통, 흉통, 빈맥, 심계항진, 협심증, 울혈성 심부전, 기립성 저혈압
Nimodipine
[칼슘채널차단제]
1. 동맥류로 인한 지주막하출혈후 뇌혈관경련에 의한 허혈성 신경장애 예방 및 치료
2. 뇌혈관에 기인한 뇌기능장애에 의한 집중력결핍, 기억력감퇴, 우울, 불안의 개선
1. 뇌혈관 경련에 의한 허혈성 신경장애 : 1회 60mg을 4시간간격으로 1일 6회 7일간
2. 뇌기능장애 : 1회 30mg을 1일 3회 복용
1.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 환자, 임부 및 가임부, 수유부
2. 중증의 간기능장애 환자(간경화 환자), 리팜피신을 투여받고 있는 환자
3. 페노바르비탈, 페니토인, 카르바마제핀과 같은 항간질약을 투여받고 있는 환자
변비, 설사, 고창, 두통, 현기증, 저혈압, 혈관확장, 혈소판감소, 피부 발진
Trimebutine
[위장운동조절 및 진경제]
1. 식도역류 및 열공헤르니아, 위십이지장염, 위십이지장궤양의 동통
2. 복통, 소화불량, 구역, 구토, 과민성대장증후군, 경련성 결장
3. 소아의 습관성 구토, 변비, 설사, 멀미
1일 3회 식전, 1회에 100~200mg
갈락토오스 불내성,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
1. 변비, 설사, 구역, 구토, 소화장애, 구갈
2. 심계항진, 졸음, 발진, GOT/GPT 상승
Methylphenidate
[중추신경 흥분제]
6세 이상의 소아 및 청소년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의 치료
1일 1회 아침식전에 20mg 복용이 권장된다. 용량은 매주 20mg씩 증량해서 최대 60mg/일까지 증량 투여할 수 있다
1. 중증의 불안, 긴장, 흥분 환자
2. 이 약 및 이 약의 다른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3. 녹내장 환자
4. 뚜렛 증후군으로 진단받았거나 가족력이 있는 환자 및 운동성 틱장애 환자
5. MAO 저해제 투여 중이거나, MAO 저해제 투여 중단 후 최소 14일 이내의 환자
두통, 복통(위통), 식욕부진(식욕 감퇴), 불면
Atorvastatin
[고지혈증 치료제]
HMG-CoA reductase 경쟁적 저해제 : 고지혈증 치료제
1일 1회 10~80mg
1. 이 약 성분에 과민한 환자, 근질환 환자, 임부, 수유부
2. 피임제를 사용하지 않는 가임 여성, 활동성 간질환 환자
3. 혈청 트랜스아미나제치의 상승이 정상 상한치의 3배 이상 상승된 환자
무력감, 소화불량, 오심, 변비, 설사, 복통, 두통, 불면증, 근육통
HEMO-Q
[철분제제 & 빈혈약]
철결핍성 빈혈의 예방 및 치료, 급·만성 혈액손실, 감염, 임신, 수유로 인한 철결핍 치료
1회 2정씩 1일 1-2회 식전 복용
1. 이 약에 과민성이 있는 환자
2. 헤모시데린침착증, 혈소증 환자
3. 재생불량성, 용혈성 및 철불응성 빈혈 환자
4. 만성 췌장염 환자
5. 간경변환자
1. 구역, 구토, 식욕부진, 복통, 설사, 변비
2. 두드러기, 가려움증, 광선과민증
4. 투약(Medication and Fluid Administration)
5. 임상 병리적 검사결과(Lab Data)
검사일시
검사항목
수치
단위
정상범위
2012.2.23
Hemoglobin
▼9.2
gdL
13.6-17.4
Hematocrit
▼26.5
%
40.4-51.3
Monocyte
▲10.4
%
1.7-8.0
ESR
▲44
mm/hr
0-22
(1)일반혈액검사
(2) 일반화학검사
검사일시
검사항목
수치
단위
정상범위
2012.2.23
Creatinine
▼0.38
mg/dl
0.6-1.1
BUN&Creatinine ratio
▲28.4
mg/dl
13.3-20.0
Estimated GFR
▲161
mL/min
60-150
CI
▼96
mml/l
98-110
CRP
▲1.57
mg/de
0-0.3
6. 참고문헌(references)
-포널스 포켓시리즈 간호진단, 김정애 지음, 포널스출판사
-성인간호학, 김영숙, 수문사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드러그인포 약품요약정보 www.druginfo.co.kr
추천자료
지주막하출혈 : SAH(subarachnoid hemorrhage) case study
지주막하출혈+ 수두증
지주막하 출혈(SAH : subarachnoid hemorrhage) case study
[Conference] 지주막하 출혈 Subarachnoid Hemorrhage , SAH
[성인간호학][SAH][지주막하출혈]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Subarachnoid Hemorrhage]
지주막하출혈 SAH(Subarachnoid hemorrhage) 간호과정 신경외과 중환자실 케이스 case study
[성인간호학] ICU 외상성 지주막하 출혈 케이스 Traumatic Subarachnoid Hemorrhage; T-SAH C...
지주막하 출혈 SAH (subarachnoid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진단명: SAH(Suba...
간호,case study,성인(응급실),T-SAH (traumatic subarachnoid hemorrhage), 외상성 지주막하...
A급 자료 지주막하 출혈 SAH(Subarachnoid Hemorrhage)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