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본론
1. 계몽주의 영향과 확산
2. 18세기 프랑스 사회에서의 계몽주의와 혁명
1) 계몽주의의 발생원인과 사회적 의의
2) 프랑스 혁명의 발생원인과 의의
3. 루소가 프랑스 사회에 미친 영향과 그의 사상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계몽주의 영향과 확산
2. 18세기 프랑스 사회에서의 계몽주의와 혁명
1) 계몽주의의 발생원인과 사회적 의의
2) 프랑스 혁명의 발생원인과 의의
3. 루소가 프랑스 사회에 미친 영향과 그의 사상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육론 에밀등의 대작을 차례로 출판하였는데, 특히 신 엘로이즈의 성공은 대단하였다. 그러나 에밀이 출판되자 파리대학 신학부가 이를 고발, 파리 고등법원은 루소에 대하여 유죄를 선고함과 동시에 체포령을 내려 스위스영국 등으로 도피를 하였다. 영국에서 흄과 탁월한 논쟁을 일으킨 후, 프랑스로 돌아와 각지를 전전하면서 자전적 작품인 고백록을 집필하였다.
1768년에 1745년 이래 함께 지내온 테레즈 르바쇠르와 정식으로 결혼하였다. 그 후 파리에 정착한 루소는 피해망상으로 괴로워하면서도 자기변호의 작품 루소, 장자크를 재판하다를 쓰고, 고독한 산책자의 몽상을 쓰기 시작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파리 북쪽 에르므농빌에서 죽었다. 그가 죽은 지 11년 후에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는데, 그의 자유민권 사상은 혁명지도자들의 사상적 지주가 되었다. 1794년 유해를 팡테옹(위인들을 合祀하는 파리의 성당)으로 옮겨 볼테르와 나란히 묻혔다.
평생 동안 많은 저서를 통하여 지극히 광범위한 문제를 논의하였으나, 그의 일관된 주장은 ‘인간 회복’으로, 인간의 본성을 자연 상태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인간은 자연 상태에서는 자유롭고 행복하지만, 자신의 손으로 만든 사회제도나 문화에 의하여 부자유스럽고 불행한 상태에 빠졌기 때문에 다시 참되 인간의 모습을 발견하여 인간을 회복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루소는 18세기 프랑스 사회와 문화를 비판 하였으며, 그 문제를 제기 방법도 매우 현대적이었다. 또한, 그의 작품 속에서 자신의 고백이나 아름다운 자연 묘사는 19세기 프랑스 낭만주의의 문학에 기틀을 마련하였다.
Ⅲ. 결론
18세기 프랑스는 계몽사상의 고향으로 유럽문화의 중심이 되었으나, 사회적으로는 가장 철저한 절대 군주제와 엄격한 신분제가 유지되고 있었다. 이러한 18세기 프랑스 사회의 시대적 배경으로 인해 루소라는 인물이 탄생되지 않았나 싶다. 루소가 없었다면 과연 지금의 프랑스가 존재할 수 있었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했다.
현대 리버럴리즘의 대가였으며, 하버드대 정치학부에서 정치철학과 법철학을 가르쳤던 슈클라(Judith Shklar)는 루소에게 깊은 감화를 받았다. 그는 루소를 플라톤 이래로 가장 예리한 문명비판가로 꼽았고, ‘천재적인 부정의의 수집가’, 그리고 ‘패자(loser)들을 호머’라고 불렀다.
그는 ‘로크의 개인주의’와 ‘루소의 개인주의’를 구분하였습니다. 전자는 강자의 개인주의이고 후자는 약자의 개인주의라는 것이다. 말하자면 로크의 리버럴리즘은 사회 엘리트의 입장에서 합리적 국가 원리를 구성하려는 시도였다면, 루소의 리버럴리즘은 없는 자들, 고통받는 자들의 입장에서 새로운 사회에 대한 염원을 표출하는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루소의 사상이 프랑스 혁명, 구체제의 전복과 연결되는 것은 오히려 당연한 것인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것은 체제의 변혁 이전에 인간성의 변화, 인간 동류(同類)성의 회복을 뜻하는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탁월한 작품은 훌륭한 인격에서만 나오는 것은 아닐 것이며, 인권은 도덕적 인격에게만 인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루소는 우리와 같은 인간, 우리가 좋아하고 또 미워하는 우리 곁에 있는 인간이었다’는 얘기는 참으로 루소 사상의 역사적 의의에 대하여 적확한 해명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홍승오 역, 참회록, 동서문화사, 제2판, 2010
김중현 역, 에밀, 한길사, 2009
이태일 역, 사회계약론 외, 범우사, 증보판, 1991
주경복/고봉만 역, 인간불평등기원론, 책세상, 2005
서익원 역, 신엘로이즈, 1-2, 한길사, 2008
염기용 역, 고독한 산보자의 꿈, 1978
진형준 역, 루소의 식물사랑, 살림출판사, 2008
1768년에 1745년 이래 함께 지내온 테레즈 르바쇠르와 정식으로 결혼하였다. 그 후 파리에 정착한 루소는 피해망상으로 괴로워하면서도 자기변호의 작품 루소, 장자크를 재판하다를 쓰고, 고독한 산책자의 몽상을 쓰기 시작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파리 북쪽 에르므농빌에서 죽었다. 그가 죽은 지 11년 후에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는데, 그의 자유민권 사상은 혁명지도자들의 사상적 지주가 되었다. 1794년 유해를 팡테옹(위인들을 合祀하는 파리의 성당)으로 옮겨 볼테르와 나란히 묻혔다.
평생 동안 많은 저서를 통하여 지극히 광범위한 문제를 논의하였으나, 그의 일관된 주장은 ‘인간 회복’으로, 인간의 본성을 자연 상태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인간은 자연 상태에서는 자유롭고 행복하지만, 자신의 손으로 만든 사회제도나 문화에 의하여 부자유스럽고 불행한 상태에 빠졌기 때문에 다시 참되 인간의 모습을 발견하여 인간을 회복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루소는 18세기 프랑스 사회와 문화를 비판 하였으며, 그 문제를 제기 방법도 매우 현대적이었다. 또한, 그의 작품 속에서 자신의 고백이나 아름다운 자연 묘사는 19세기 프랑스 낭만주의의 문학에 기틀을 마련하였다.
Ⅲ. 결론
18세기 프랑스는 계몽사상의 고향으로 유럽문화의 중심이 되었으나, 사회적으로는 가장 철저한 절대 군주제와 엄격한 신분제가 유지되고 있었다. 이러한 18세기 프랑스 사회의 시대적 배경으로 인해 루소라는 인물이 탄생되지 않았나 싶다. 루소가 없었다면 과연 지금의 프랑스가 존재할 수 있었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했다.
현대 리버럴리즘의 대가였으며, 하버드대 정치학부에서 정치철학과 법철학을 가르쳤던 슈클라(Judith Shklar)는 루소에게 깊은 감화를 받았다. 그는 루소를 플라톤 이래로 가장 예리한 문명비판가로 꼽았고, ‘천재적인 부정의의 수집가’, 그리고 ‘패자(loser)들을 호머’라고 불렀다.
그는 ‘로크의 개인주의’와 ‘루소의 개인주의’를 구분하였습니다. 전자는 강자의 개인주의이고 후자는 약자의 개인주의라는 것이다. 말하자면 로크의 리버럴리즘은 사회 엘리트의 입장에서 합리적 국가 원리를 구성하려는 시도였다면, 루소의 리버럴리즘은 없는 자들, 고통받는 자들의 입장에서 새로운 사회에 대한 염원을 표출하는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루소의 사상이 프랑스 혁명, 구체제의 전복과 연결되는 것은 오히려 당연한 것인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것은 체제의 변혁 이전에 인간성의 변화, 인간 동류(同類)성의 회복을 뜻하는 것이었다고 생각한다. 탁월한 작품은 훌륭한 인격에서만 나오는 것은 아닐 것이며, 인권은 도덕적 인격에게만 인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루소는 우리와 같은 인간, 우리가 좋아하고 또 미워하는 우리 곁에 있는 인간이었다’는 얘기는 참으로 루소 사상의 역사적 의의에 대하여 적확한 해명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홍승오 역, 참회록, 동서문화사, 제2판, 2010
김중현 역, 에밀, 한길사, 2009
이태일 역, 사회계약론 외, 범우사, 증보판, 1991
주경복/고봉만 역, 인간불평등기원론, 책세상, 2005
서익원 역, 신엘로이즈, 1-2, 한길사, 2008
염기용 역, 고독한 산보자의 꿈, 1978
진형준 역, 루소의 식물사랑, 살림출판사, 2008
추천자료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고전주의시대문학
루소의 고독한 산책자에 나타난 18세기 프랑스 사회 모습
문학의 분류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예술 비교
[고전주의 문학][프랑스문학][독일문학]고전주의 문학의 개념, 고전주의 문학의 특징, 고전주...
[A+] 계몽주의 사상이 프랑스 대혁명에 끼진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계몽주의 사상이 프랑스 대혁명에 끼진 영향에 대하여 설명.
세계의 역사 ) 1 두 차례에 걸친 중국 국공합작의 과정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2
[철학의이해] 2024년 2학기 기말과제물, 1. 교재와 강의 8장을 공부하고, 고대 그리스 아테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