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자료개관
1)유적
2)유물
2.문화콘텐츠 개발 현황
* 축제 세계대백제전
1)공연
2)영상
3)전시· 학술 프로그램
4)체험
3.문제점과 발전방향
1)유적
2)유물
2.문화콘텐츠 개발 현황
* 축제 세계대백제전
1)공연
2)영상
3)전시· 학술 프로그램
4)체험
3.문제점과 발전방향
본문내용
거나 취소된 경우도 있었다. 수상공연을 지속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이어나갈 계획이 필요하다. 또한 공연의 취소에 있어 공연 관계자들의 늑장으로 인해 공연 40분 직전에 취소를 알려 관람객들이 피해를 보았다.
대백제전 이후의 과제도 남는다. 앞으로 개최되는 백제문화제는 관 주도에서 탈피해 민간 주도의 축제로 승화돼야 하고 이를 위해선 재정적 뒷받침과 함께 백제문화의 진면목을 지속적으로 전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구축과 다양한 콘텐츠의 확보가 요구된다. 2011년 백제문화제부터는 민간 주도의 축제 개최를 시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발전방향
1. 모두가 체험할 수 있는 단체 전통놀이 개발
-이번 축제에서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즐길 수 있는 놀이가 없었다. 축제의 규모가 크고 많은 관광객이 모여들기 때문에 일종의 축제 프로그램의 한 부분으로 이러한 단체 전통놀이를 개발하여 즐길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윷놀이, 연날리기, 투호 던지기 등과 같은 단체 전통놀이를 함으로써 내국인 관광객 뿐 만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들도 함께 즐길 수 있게 될 것이다.
2. 공주를 집중적으로 개발
-부여에서 재현한 사비궁과 같이 공주에서도 그와 비슷한 볼거리를 개발하는 쪽으로 나아가야 한다. 예를 들어 웅진궁이라하여 궁궐 재현을 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그러므로 공주에 예산을 더 투자하여 규모를 넓혀야 한다. 시설이나 공연, 프로그램 등을 더욱 다양하고 집중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축제 유지에 도움이 될 것이다.
3. 깊이 있는 설명이 담긴 영상과 책자 개발
-대백제전을 더욱 심도 있게 관람하기 위해서는 백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져야 한다. 좀더 자세하면서도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정리된 책자를 만들고 20분짜리의 짧은 디지털 복원 영상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백제의 역사와 문화, 유적, 유물 등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다큐멘터리형식과 같은 영상을 개발한다면 대백제전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즐길 수 있다.
4. 음식문화 및 숙박시설 개발
-공주와 부여 주위에는 지역적 특색이 반영된 음식문화가 부족하므로 이를 개발하도록 한다. 그리고 짧은 기간에 많은 인파가 몰릴 것이라는 계획 하에 기존의 숙박 시설을 확대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장기적 기안이 필요하다.
5. 세계역사도시전 기획구성의 다양화
- 우리 역사에서 백제가 지니고 의미만큼 다른 국가에서 그 도시가 지니고 있는 역사적 의미를 충분히 연구하여 도시를 지정할 필요가 있다. 결국 사적 의미를 지닌 도시와 백제를 연결시켜 이를 통해 백제의 존재를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6. 세계인의 축제
-세계대백제전이라는 타이틀에 맞게 외국인과 함께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좀 더 다양한 매체를 통해 광고할 필요성이 보인다. 우리나라의 각 지방자치 단체에서 기획하는 많은 축제들이 과연 우리나라 밖에서는 얼마나 홍보되고 있는지에 관한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7. 공연 유지
-수상공연이 매년 유지되기 위해서는 자연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공연장소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가 오면 공연이 취소 될 수밖에 없으므로 관람석과 무대만이라도 방수하는 구조물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8. 민간 주도의 축제 개최
-현재는 관 주도이나 이에서 탈피하여 민간 주도의 축제로 나아갈 수 있도록 모두의 협조가 필요하다. 관에서는 예산 투자와 지원을 지속적으로 보장해야만 할 것이고, 축제의 개최 측은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백제에 관련된 교육적 프로그램의 개발, 또한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장을 열어 민간 주도의 축제로 점차 성장할 수 있게 해야만 할 것이다.
대백제전 이후의 과제도 남는다. 앞으로 개최되는 백제문화제는 관 주도에서 탈피해 민간 주도의 축제로 승화돼야 하고 이를 위해선 재정적 뒷받침과 함께 백제문화의 진면목을 지속적으로 전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구축과 다양한 콘텐츠의 확보가 요구된다. 2011년 백제문화제부터는 민간 주도의 축제 개최를 시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발전방향
1. 모두가 체험할 수 있는 단체 전통놀이 개발
-이번 축제에서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즐길 수 있는 놀이가 없었다. 축제의 규모가 크고 많은 관광객이 모여들기 때문에 일종의 축제 프로그램의 한 부분으로 이러한 단체 전통놀이를 개발하여 즐길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윷놀이, 연날리기, 투호 던지기 등과 같은 단체 전통놀이를 함으로써 내국인 관광객 뿐 만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들도 함께 즐길 수 있게 될 것이다.
2. 공주를 집중적으로 개발
-부여에서 재현한 사비궁과 같이 공주에서도 그와 비슷한 볼거리를 개발하는 쪽으로 나아가야 한다. 예를 들어 웅진궁이라하여 궁궐 재현을 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그러므로 공주에 예산을 더 투자하여 규모를 넓혀야 한다. 시설이나 공연, 프로그램 등을 더욱 다양하고 집중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축제 유지에 도움이 될 것이다.
3. 깊이 있는 설명이 담긴 영상과 책자 개발
-대백제전을 더욱 심도 있게 관람하기 위해서는 백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져야 한다. 좀더 자세하면서도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정리된 책자를 만들고 20분짜리의 짧은 디지털 복원 영상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백제의 역사와 문화, 유적, 유물 등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다큐멘터리형식과 같은 영상을 개발한다면 대백제전을 더욱 깊이 이해하고 즐길 수 있다.
4. 음식문화 및 숙박시설 개발
-공주와 부여 주위에는 지역적 특색이 반영된 음식문화가 부족하므로 이를 개발하도록 한다. 그리고 짧은 기간에 많은 인파가 몰릴 것이라는 계획 하에 기존의 숙박 시설을 확대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장기적 기안이 필요하다.
5. 세계역사도시전 기획구성의 다양화
- 우리 역사에서 백제가 지니고 의미만큼 다른 국가에서 그 도시가 지니고 있는 역사적 의미를 충분히 연구하여 도시를 지정할 필요가 있다. 결국 사적 의미를 지닌 도시와 백제를 연결시켜 이를 통해 백제의 존재를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6. 세계인의 축제
-세계대백제전이라는 타이틀에 맞게 외국인과 함께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좀 더 다양한 매체를 통해 광고할 필요성이 보인다. 우리나라의 각 지방자치 단체에서 기획하는 많은 축제들이 과연 우리나라 밖에서는 얼마나 홍보되고 있는지에 관한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7. 공연 유지
-수상공연이 매년 유지되기 위해서는 자연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공연장소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가 오면 공연이 취소 될 수밖에 없으므로 관람석과 무대만이라도 방수하는 구조물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8. 민간 주도의 축제 개최
-현재는 관 주도이나 이에서 탈피하여 민간 주도의 축제로 나아갈 수 있도록 모두의 협조가 필요하다. 관에서는 예산 투자와 지원을 지속적으로 보장해야만 할 것이고, 축제의 개최 측은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백제에 관련된 교육적 프로그램의 개발, 또한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장을 열어 민간 주도의 축제로 점차 성장할 수 있게 해야만 할 것이다.
추천자료
문화유산을 통한 관광의 진흥방안
역사, 정치, 경제 적인 부분에서 바라본 동북공정
우리나라관광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 방안
[CT산업의 세계] CT산업과 애니매트로닉스 기술, 3D에서 4D로의 발전
세계대백재전 축제 개요, 행사 내용, 문제점, 개선안, SWOT 분석, 성공을 위한 요인, 관광 수...
해외 모범사례 분석을 통한 한국 온천리조트산업의 발전 방안
[세계유산]세계문화유산(세계유산)과 유네스코, 한국, 세계문화유산(세계유산)과 석굴암 및 ...
민속답사 보고서 - 국립중앙박물관을 다녀와서
[방통대 관광학과 4학년 중국문화산책 공통] 중국의 근현대(1840∼현재) 문화유산을 학습하기 ...
방송통신대학교/한국의 전통문화 1. 조선시대 한국 여성들의 삶에 대해 조사해보자. 2. 유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