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
1. 프로이드의 이론
2. 프로이드의 발달 단계
1) 1단계 구강기(0~1세)
2) 2단계 항문기(1~3세)
3) 3단계 남근기(3~6세)
4) 4단계 잠재기 혹은 잠복기(6~사춘기)
5) 5단계 성기기 혹은 생식기
Ⅱ. 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이론
1. 에리슨의 이론
2.에리슨의 발달 단계
1) 제1단계 신뢰감 대 불신감 (영아기 : 출생~1세)
2) 제2단계 자율성 대 수치심 및 회의감 (영유아기 : 1세말경부터~3세)
3) 제3단계 주도성 대 죄책감 (아동초기 : 학령전기 4~6세)
4) 제4단계 근면성 대 열등감 (아동중기 및 후기 : 학령기 6세~11세)
5) 제5단계 정체감 대 정체감 혼돈 (청소년기 : 12세~20세)
6) 제6단계 친밀감 대 고립감 (성인초기 : 20대, 30대)
7) 제7단계 생산성 대 침체감 (성인중기 : 40대, 50대)
8) 제8단계 자아통합감 대 절망감 (성인후기 :60대이후)
참고문헌
1. 프로이드의 이론
2. 프로이드의 발달 단계
1) 1단계 구강기(0~1세)
2) 2단계 항문기(1~3세)
3) 3단계 남근기(3~6세)
4) 4단계 잠재기 혹은 잠복기(6~사춘기)
5) 5단계 성기기 혹은 생식기
Ⅱ. 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이론
1. 에리슨의 이론
2.에리슨의 발달 단계
1) 제1단계 신뢰감 대 불신감 (영아기 : 출생~1세)
2) 제2단계 자율성 대 수치심 및 회의감 (영유아기 : 1세말경부터~3세)
3) 제3단계 주도성 대 죄책감 (아동초기 : 학령전기 4~6세)
4) 제4단계 근면성 대 열등감 (아동중기 및 후기 : 학령기 6세~11세)
5) 제5단계 정체감 대 정체감 혼돈 (청소년기 : 12세~20세)
6) 제6단계 친밀감 대 고립감 (성인초기 : 20대, 30대)
7) 제7단계 생산성 대 침체감 (성인중기 : 40대, 50대)
8) 제8단계 자아통합감 대 절망감 (성인후기 :60대이후)
참고문헌
본문내용
초를 형성할 수 있다는 확신을 포함한다. 그러나 자기 자신을 발견한다는 것은 어려운 작업일 수가 있으며, 자아정체감이 형성되지 못할 때는 역할 혼미 또는 정체감의 혼미를 낳게 된다.
6) 제6단계 친밀감 대 고립감 (성인초기 : 20대, 30대)
이 단계부터는 프로이드에서 제시가 되지 않는 성인 초기 단계로, 새로이 발견된 정체가 다른 사람에게 맡겨지는 때이다. 개인적 정체와 더불어 사랑, 친교, 친밀, 안정된 관계 등 자기 이외의 사람과의 관계와 관련된 능력이 생긴다. 이 시기는 배우자를 찾거나 직업을 갖는 과정과 관련된다. 바람직한 정체감을 형성한 사람은 성인기에 접어들었을 때,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친밀감을 형성하게 된다.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고립감에 빠지게 된다.
7) 제7단계 생산성 대 침체감 (성인중기 : 40대, 50대)
성인 중기에 해당되며 이 시기에는 다음세대에 공헌하려는 것이 지배적인 동기가 된다. 이 동기가 가족부양에 의해 채워지는지 혹은 다른 방식들로 생산적, 창조적인 사람이 됨으로써 채워지는지 관계없이, 구체적 활동은 다음에 올 사람들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게 된다. 생산의 소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궁극적으로 침체가 오고 일종의 자멸적인 자기중심성 내지는 자기도취가 된다. 이 시기에는 자녀를 낳거나 자신의 직업을 통해 사회적 성취나 업적을 낳아 생산성을 발휘하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침체감에 빠지게 된다.
8) 제8단계 자아통합감 대 절망감 (성인후기 :60대이후)
노인기에 해당하는 단계로, 지나간 일곱 단계의 경험들을 다져서 하나의 최종적인 자아 통합기에 들어갈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이상적으로라면 그것은 지상의 짧은 수명의 가치를 용납하는데서 오는 만족의 기간이다. 경험, 사람, 사건들이 달랐더라면 하는 바람이 없이 그것들을 소중히 생각한다. 자기 인생을 정리하면서 의미를 부여하게 될 때는 자아통합을, 자신의 삶이 무의미하다고 느낄 경우에는 자아절망감을 느끼게 된다.
에릭슨의 발달단계는 각 단계마다 중요한 심리 사회적 과업이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긍정적으로 해결하면 긍정적인 자아형성과 더불어 건강한 성격발달로 이루어 갈 수 있지만 각 단계의 위기들이 해결되지 못하면 부정적인 자아혼돈이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아동발달론, 강문희, 김매희(2007), 공동체
아동발달의, 이해, 정옥분(2006), 학지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인정외 (나남출판)
6) 제6단계 친밀감 대 고립감 (성인초기 : 20대, 30대)
이 단계부터는 프로이드에서 제시가 되지 않는 성인 초기 단계로, 새로이 발견된 정체가 다른 사람에게 맡겨지는 때이다. 개인적 정체와 더불어 사랑, 친교, 친밀, 안정된 관계 등 자기 이외의 사람과의 관계와 관련된 능력이 생긴다. 이 시기는 배우자를 찾거나 직업을 갖는 과정과 관련된다. 바람직한 정체감을 형성한 사람은 성인기에 접어들었을 때,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친밀감을 형성하게 된다.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고립감에 빠지게 된다.
7) 제7단계 생산성 대 침체감 (성인중기 : 40대, 50대)
성인 중기에 해당되며 이 시기에는 다음세대에 공헌하려는 것이 지배적인 동기가 된다. 이 동기가 가족부양에 의해 채워지는지 혹은 다른 방식들로 생산적, 창조적인 사람이 됨으로써 채워지는지 관계없이, 구체적 활동은 다음에 올 사람들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게 된다. 생산의 소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궁극적으로 침체가 오고 일종의 자멸적인 자기중심성 내지는 자기도취가 된다. 이 시기에는 자녀를 낳거나 자신의 직업을 통해 사회적 성취나 업적을 낳아 생산성을 발휘하게 되고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침체감에 빠지게 된다.
8) 제8단계 자아통합감 대 절망감 (성인후기 :60대이후)
노인기에 해당하는 단계로, 지나간 일곱 단계의 경험들을 다져서 하나의 최종적인 자아 통합기에 들어갈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이상적으로라면 그것은 지상의 짧은 수명의 가치를 용납하는데서 오는 만족의 기간이다. 경험, 사람, 사건들이 달랐더라면 하는 바람이 없이 그것들을 소중히 생각한다. 자기 인생을 정리하면서 의미를 부여하게 될 때는 자아통합을, 자신의 삶이 무의미하다고 느낄 경우에는 자아절망감을 느끼게 된다.
에릭슨의 발달단계는 각 단계마다 중요한 심리 사회적 과업이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긍정적으로 해결하면 긍정적인 자아형성과 더불어 건강한 성격발달로 이루어 갈 수 있지만 각 단계의 위기들이 해결되지 못하면 부정적인 자아혼돈이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아동발달론, 강문희, 김매희(2007), 공동체
아동발달의, 이해, 정옥분(2006), 학지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인정외 (나남출판)
키워드
추천자료
에릭슨(Erikson)의 생애, 에릭슨(Erikson)의 인간관, 에릭슨(Erikson)의 기본가정과 에릭슨(E...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발달단계별 정리 및 비교
개인(본인)의 성장과 발달을 통해 우리가 배운 성격이론을 접목시켜 본인의 성격을 분석하여 ...
아동발달 이론에서 정신분석학 이론의 대표적인 학자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이론과 에릭슨의 ...
[아동복지론] 아동발달 이론에서 정신분석학 이론의 대표적인 학자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이론...
아동발달 이론에서 정신분석학 이론의 대표적인 학자 프로이드이 심리성적 이론과 에릭슨의 ...
에릭슨의 심리사회 발달이론과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을 비교 설명하고, 각각의 이론에 대...
청소년 발달이론
성인학습및상담론3공통) 에릭슨(Erikson), 레빈슨(Levinson), 로에빙거(Loevinger)의 발달이...
상담심리학-정신분석 상담이론의 Freud 와 Erikson의 성격이론의 차이점과 교육적 시사점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