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아조化 및 짝지움 반응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제 출 일 : (3-31-04)
■ 실험제목 : 디아조化 및 짝지움
■ 조 원 : 박성진*, 김보영, 안병환, 김태현, 유동식
■ 소 속 : 건국대학교 화학공학과 3학년 5조 박성진(991726)
■ 목 적(Object)
■ 이 론(Theory)
■ 실 험(Experiment)
■ 방 법(Method)
■ 결 과(Result)
■ 토 의(Discussion)
■ 결 론(Conclusion)
■ 참 조(Reference)

본문내용

로우드액 2ml와 잘 혼합한 후 온수 40ml를 가하여 일단 끓여서 녹이고 약 50℃까지 냉각.
물을 가하여 전량이 200ml의 용액으로 되도록 한다.
↑염색↓
Fast Scarlet G Base 1.0g을 온수 10ml 및 HCl 2ml에 녹이고 찬물 15ml를 가한다.
다시 물로 냉각시켜 유리막대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NaNO2 0.5g을 H2O 5ml에 용해시킨 용액을 한꺼번에 가한다.
10분간 방치한 후 초산 나트륨 1g을 물 5ml에 녹인 용액을 가하고 전량이 200ml가 되게 한다.
이 디아조화 액 200ml를오 물로 희석하고, 이에 전처리한 면포를 침적한다.
결 과(Result)
sulfanilic acid (0.025mol)
4.3g
무수 Na2CO3
1.5g

50ml
진한염산
75ml
을 비커에 혼합.
NaNO2 1.7gdmf 물 8.75ml에 용해하고 위 혼합물과 섞음.
30% NaOH
3.75ml
나프톨
3.75g
무수 Na2CO3
6.25g
물 50ml에 용해
거름종이 1장 : 1.2g,
생성된 아조화합물 : 20.36g - 거름종이 8장 = 10.76g
sulfanilic acid 1mol당 생성물도 1mol 생성된다.
sulfanilic acid 1mol = 173g
⇒ sulfanilic acid 0.025mol = 4.3g
아조화합물 1mol = 340g
⇒ 아조화합물 0.025mol = 8.5g
아조화합물의 이론적인 몰수는 0.025mol 일 때 8.5g
⇒ 수율(%) = 10.76/8.5 × 100 = 126.6(%)
토 의(Discussion)
위 실험은 디아조화 반응을 시킨 후 짝지움 반응을 하여 아조 화합물을 얻는 실험이었다.
벤젠버너를 사용하지 않아 비교적 유독가스에 대한 부담감이 없이 실험하였다
거름종이 수분건조가 완전치 않아서 질량이 과대측정되어 수율이 초과됨
결 론(Conclusion)
디아조화 반응은 방향족 1차 아민(Ar-NH2)에 염산의 존재하에서 아질산을 반응시키면 디아조늄염(Ar-N2Cl)을 생성
짝지음 반응(coupling) 은 아렌디아조늄은 친전자성 방향족 치환반응에서 약한 친전자제로 작용한다. 생성물은 아조화합물, 이 반응을 디아조 짝지음.
참 조(Reference)
공대 복사실에서 구입한 실험서.(프린트물)
일반화학, Ralph A Burn, 녹문당(2003. 2. 25)
http://cafe.daum.net/memofchemicalE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3.18
  • 저작시기2004.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