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주제
1. 기원
2. 연도별 발달 단계
3. 봉사에서 전문직으로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1. 한국에서의 정착 역사
2. 연도별 발달 단계
3. 자격제도 확립
4. 한국 사회복지실천현장의 현황과 과제
참고문헌
주제
1. 기원
2. 연도별 발달 단계
3. 봉사에서 전문직으로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1. 한국에서의 정착 역사
2. 연도별 발달 단계
3. 자격제도 확립
4. 한국 사회복지실천현장의 현황과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분도병원, 1976년 서울 백제병원, 1977년 대구 파티마병원, 국립보훈병원 등에서 의료사회사업이 시작되었다(김규수,1999)
또한 의료사회복지의 확대와 제도화에 기여한 것은 1977년 의료보험제도의 도입에 따라 정신의료하회복지사의 상담 활동에 대한 보험 수가를 청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정신과를 중심으로 한 단과 병원에 사회복지사의 채용이 증가하게 되었다.
1978년 부산 한병원 1979년 부산 메리놀병원,1980년 부산 아동병원,1982년 인제대 부속 백병원,1983년 서울 적십자병원, 영동세브란스병원, 목포 성골롬반병원, 마산 고려병원 등에서 의료사회사업이 시작되었다.
1977년 의료보험제도가 시행되면서 의료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의료기관의 증설 현상이 나타났다.
이때 의료 수요와 공급이 급격히 증가한는 과정에서 의료의 질이 저하될 것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고, 이에 대해 의료계의 자율적 관리가 피요하다는 의견이 강력하게 대두됨에 따라 ‘병원표준화 심사가 수련병원 실태 조사화 병행, 실시되었다(대한병원 협회,1998)의료 사회사업 부문은 1983년부터 이 병원표준화 심사제도에 포함됨으로써 의료사회사업에 대한 인식을 확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비록 의료사회사업 부분에 배정된 점수 비중은 낮았지만 평균 60점 미만인 병원의 경우 정공의 정원을 배정하지 않는 등의 조치를 취함으로써 지방의 중소 병원에 서회복지사를 채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4) 전문화 및 확장기
이러한 영향으로 1980년대 말까지, 사회사업이 점진적으로 발전하였다면, 1990년대 이후 대기업의 병원 사업 참여 등으로 인한 중.대형병원의 등장고 WTO체제에 따른 의료기관 간의 경쟁 체제, 1992년 골수이식 기관 인정 기준,
1994년 재활의료사회사업 수가 인정,
1995년 의료서비스평가제 도입,
1999년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에 사회사업 부분이 인정됨으로써ㅏ 보다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의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1995년 정신보건법 제정에 따른 정신보건 전문 요원의 양성과 1993년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로부터 한국정신의료사회복지학회가 분리되어 활동하게 되었다.
1990년대 들어 현대 아산중앙병원을 위시한 기업형 병원이 등장하면서 우리나라 의료의 공급체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4)전문화 및 확장기
이러한 영향으로 1980년대 말까지, 사회사업이 점진적을로 발전하였다면,
1990년대 이후 대기업의 병원 사업 참여 등으로 인한 중.대항병원등의 등장과WTO체제에 따른 의료기관 간의 경쟁 체제,
1992년 골수이식 기관인정 기준,
1994년 재활의료사회사업 수가 인정,
1995년 의료서비스평가제 도입,
1999년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에 사회사업 부분이 인정됨으로써 보다 전문적이나 서비스 제공의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1995년 정신보건법 제정에 따른 정신보건 전문 요원의 양성과 1993년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로부터 한국 정신의료사회복지학회가 분리되어 활동하게 되었다.
1990년대 들어 현대아산중앙병원을 위시한 가업형 병원이 등장하면서 우리나라 의료의 공급체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1994년 우대의 지원을 받는 아주대학 병원이 설립되었고.
1995년에는 삼성의 지으을 받는 삼성강남병원이 등장하게 됨으로써, 기존에 제공되었던 의료사회사업서비스에 많은 변화를 야기하게 되었다.
이들 기업형 병원은 개원 당시부터 사회사업 부서를 정규 부서로 설치하였고 그 규모도 한 명이 아닌, 3~4명의 인원으로 출발함으로써 의료사회사업서비스의 적정 규모화를 자극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업형 병원의 등장과 함께 1995년 WTO체제에 의한 의료분야의 시장 개방 압력은 환자를 전인적으로 처우하며,환자의 심리.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사업 부서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하는 계기가 되었다.
1992년에는 의료보험 요양급여 기준 및 진료 수가 기준(골수이식 실시 기관 인정 등 기준-인력.시설 및 장비 기준 3항 3호)에 “훈련된 간호사,사회복지사,영양사,기타 필요인력이 상근하여야 한다.”고 규정함으로써 골수이식 과정에 사회복지사의 참여를 제도화하였고,1994년에는 3개항목에 대하여 재활의학적 사회사업 수가가 보험으로 인정 됨으로써,재활의학과에 대한 사회사업의 개입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또한1995년부터 시행된 의료기관서비스평가제도는 의료사회사업서비스의 질 보장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1999년 제정된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도 사회복지사가 규정됨으로써, 사회복지사의 업무 영역을 확대하게 되었4다.
이 시시의 중요한 변화는 1995년 정신보건법 제정에 따라 정신보건 전문 요원들이 양성되기 시작하고 첨차 신규 채용 인력은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로 대체되었다는 것이다.1995년 제정된 정신보건법이 1997년 1월 시행되면서, 동법 제7조(정신보건 전문요원) 규정에 의거‘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제도가 시행되었다.경과 규정에 의거 첫해 1급 사회복지사가 72명 탄생하였고, 그해 하반기부터 수련을 시작하여 2급 자격증 소지자111명을 배출하게 되었다.
또한 이 시기 비록 법적으로 제도화된 것은 아니지만, 의료사회사업 분야의 부족한 인력을 보충하고,필요한 전문 의료사회복지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여러 병원에서 의료사회복지사 수련제도가 시행되었다.1991년 서울아산중앙병원에서 한 명으로 시작된 인턴제도는 1995년부터 협회에서 인준을 받아,아주대병원과 의정부 성모병원 등에서 확대.실시 되었으며, 2002년도 부터는 삼성서울병원에서도 시행하고 있다.
이 제도는 광범의하게 확상되지는 못하였지만 1년간의 수련 과정 이수자에게는‘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회장 면의의 수료증이 발급되고, 병원의 신규 인력 충원 시 우선 채용토록 함으로써, 사회복지사의 병원 진입 시 활용할 수 있는 하나의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실습슈퍼바이저 자격은 학사 졸업으로 임상 경험 3년 이상인 자, 수련 슈퍼바이저는 석사 졸업 이상으로 임상 경험 5년 이상인 자를 대상으로,실습 슈퍼바이저79명, 수련 슈퍼바이저 55명에게 자격중을 발급하였다.
이상과 같이 1990년 이후 의료사회복지실천에 필요한 여러 가지 제
또한 의료사회복지의 확대와 제도화에 기여한 것은 1977년 의료보험제도의 도입에 따라 정신의료하회복지사의 상담 활동에 대한 보험 수가를 청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정신과를 중심으로 한 단과 병원에 사회복지사의 채용이 증가하게 되었다.
1978년 부산 한병원 1979년 부산 메리놀병원,1980년 부산 아동병원,1982년 인제대 부속 백병원,1983년 서울 적십자병원, 영동세브란스병원, 목포 성골롬반병원, 마산 고려병원 등에서 의료사회사업이 시작되었다.
1977년 의료보험제도가 시행되면서 의료 수요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의료기관의 증설 현상이 나타났다.
이때 의료 수요와 공급이 급격히 증가한는 과정에서 의료의 질이 저하될 것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고, 이에 대해 의료계의 자율적 관리가 피요하다는 의견이 강력하게 대두됨에 따라 ‘병원표준화 심사가 수련병원 실태 조사화 병행, 실시되었다(대한병원 협회,1998)의료 사회사업 부문은 1983년부터 이 병원표준화 심사제도에 포함됨으로써 의료사회사업에 대한 인식을 확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비록 의료사회사업 부분에 배정된 점수 비중은 낮았지만 평균 60점 미만인 병원의 경우 정공의 정원을 배정하지 않는 등의 조치를 취함으로써 지방의 중소 병원에 서회복지사를 채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4) 전문화 및 확장기
이러한 영향으로 1980년대 말까지, 사회사업이 점진적으로 발전하였다면, 1990년대 이후 대기업의 병원 사업 참여 등으로 인한 중.대형병원의 등장고 WTO체제에 따른 의료기관 간의 경쟁 체제, 1992년 골수이식 기관 인정 기준,
1994년 재활의료사회사업 수가 인정,
1995년 의료서비스평가제 도입,
1999년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에 사회사업 부분이 인정됨으로써ㅏ 보다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의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1995년 정신보건법 제정에 따른 정신보건 전문 요원의 양성과 1993년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로부터 한국정신의료사회복지학회가 분리되어 활동하게 되었다.
1990년대 들어 현대 아산중앙병원을 위시한 기업형 병원이 등장하면서 우리나라 의료의 공급체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4)전문화 및 확장기
이러한 영향으로 1980년대 말까지, 사회사업이 점진적을로 발전하였다면,
1990년대 이후 대기업의 병원 사업 참여 등으로 인한 중.대항병원등의 등장과WTO체제에 따른 의료기관 간의 경쟁 체제,
1992년 골수이식 기관인정 기준,
1994년 재활의료사회사업 수가 인정,
1995년 의료서비스평가제 도입,
1999년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시행령 등에 사회사업 부분이 인정됨으로써 보다 전문적이나 서비스 제공의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1995년 정신보건법 제정에 따른 정신보건 전문 요원의 양성과 1993년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로부터 한국 정신의료사회복지학회가 분리되어 활동하게 되었다.
1990년대 들어 현대아산중앙병원을 위시한 가업형 병원이 등장하면서 우리나라 의료의 공급체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1994년 우대의 지원을 받는 아주대학 병원이 설립되었고.
1995년에는 삼성의 지으을 받는 삼성강남병원이 등장하게 됨으로써, 기존에 제공되었던 의료사회사업서비스에 많은 변화를 야기하게 되었다.
이들 기업형 병원은 개원 당시부터 사회사업 부서를 정규 부서로 설치하였고 그 규모도 한 명이 아닌, 3~4명의 인원으로 출발함으로써 의료사회사업서비스의 적정 규모화를 자극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업형 병원의 등장과 함께 1995년 WTO체제에 의한 의료분야의 시장 개방 압력은 환자를 전인적으로 처우하며,환자의 심리.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사업 부서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하는 계기가 되었다.
1992년에는 의료보험 요양급여 기준 및 진료 수가 기준(골수이식 실시 기관 인정 등 기준-인력.시설 및 장비 기준 3항 3호)에 “훈련된 간호사,사회복지사,영양사,기타 필요인력이 상근하여야 한다.”고 규정함으로써 골수이식 과정에 사회복지사의 참여를 제도화하였고,1994년에는 3개항목에 대하여 재활의학적 사회사업 수가가 보험으로 인정 됨으로써,재활의학과에 대한 사회사업의 개입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또한1995년부터 시행된 의료기관서비스평가제도는 의료사회사업서비스의 질 보장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1999년 제정된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도 사회복지사가 규정됨으로써, 사회복지사의 업무 영역을 확대하게 되었4다.
이 시시의 중요한 변화는 1995년 정신보건법 제정에 따라 정신보건 전문 요원들이 양성되기 시작하고 첨차 신규 채용 인력은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로 대체되었다는 것이다.1995년 제정된 정신보건법이 1997년 1월 시행되면서, 동법 제7조(정신보건 전문요원) 규정에 의거‘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제도가 시행되었다.경과 규정에 의거 첫해 1급 사회복지사가 72명 탄생하였고, 그해 하반기부터 수련을 시작하여 2급 자격증 소지자111명을 배출하게 되었다.
또한 이 시기 비록 법적으로 제도화된 것은 아니지만, 의료사회사업 분야의 부족한 인력을 보충하고,필요한 전문 의료사회복지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여러 병원에서 의료사회복지사 수련제도가 시행되었다.1991년 서울아산중앙병원에서 한 명으로 시작된 인턴제도는 1995년부터 협회에서 인준을 받아,아주대병원과 의정부 성모병원 등에서 확대.실시 되었으며, 2002년도 부터는 삼성서울병원에서도 시행하고 있다.
이 제도는 광범의하게 확상되지는 못하였지만 1년간의 수련 과정 이수자에게는‘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회장 면의의 수료증이 발급되고, 병원의 신규 인력 충원 시 우선 채용토록 함으로써, 사회복지사의 병원 진입 시 활용할 수 있는 하나의 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실습슈퍼바이저 자격은 학사 졸업으로 임상 경험 3년 이상인 자, 수련 슈퍼바이저는 석사 졸업 이상으로 임상 경험 5년 이상인 자를 대상으로,실습 슈퍼바이저79명, 수련 슈퍼바이저 55명에게 자격중을 발급하였다.
이상과 같이 1990년 이후 의료사회복지실천에 필요한 여러 가지 제
추천자료
근대적인 행정체제 형성의 역사적인 요인 및 서구 행정체제의 특징에 관한 연구(비교행정론 B형)
25,컴팩트시티,뉴어버니즘,어번빌리지,마쓰나가야스미쓰,도시계획의 신조류,요약,Compact Cit...
의료사회사업의 쟁점과 과제
서구의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와 한국의 사회복지실천 역사를 요약하고 각각의 특징을 비교하시오
사회복지실천의 변화를 정리하고 내가 생각하는 사회복지실천의 접근방법을 실례를 들어 설명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人間行動 社會環境] 빈곤문제와 공공부조제도 - 빈곤의 개념(절대적 빈...
민간사회복지 조직인 자선조직화운동(COS)와 인보관운동의 특징을 비교분석하고 두 운동이 사...
서구사회복지발달과정에서 COS와 인보관운동의 기원, 빈민에 대한 관점, 실천방법 등에 대한 ...
민간사회복지 조직인 자선조직화운동 COS와 인보관운동의 특징 비교분석 두 운동이 사회복지...
서구사회복지발달과정에서 COS와 인보관운동의 기원 빈민에 대한 관점 실천방법 등에 대한 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