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재 5장에 나와 있는 국내 주요 생태관광지 중 한 곳을 여행한 후 여행기를 쓰시오. 여행기에는 관광지의 특성(A4용지 1장 반 이하), 일반적인 대중 관광지와의 차이에 대한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재 5장에 나와 있는 국내 주요 생태관광지 중 한 곳을 여행한 후 여행기를 쓰시오. 여행기에는 관광지의 특성(A4용지 1장 반 이하), 일반적인 대중 관광지와의 차이에 대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관광지의 특성 분석
1) 순천만의 지리 및 지형적 특성
2) 지질과 기후
3) 순천만의 식생특성와 현황
4) 순천만의 역사
5) 순천만 해안선의 변화

2. 일반적인 대중 관광지와의 차이에 대한 분석
1) 순천만이 대중 관광지와의 차이
(1) 생명의 모태, 순천만 습지
(2) 전 세계 1% 희귀조류의 서식지
(3)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유일무이 자연생태공원

3. 해당 관광지의 생태계 보전계획의 적합성에 대한 평가
1) 생태계 보전을 위한 대책
2) 해당 관광지의 생태계 보전계획의 적합성에 대한 평가
(1) 인안들의 생태계 구성요소는 어떻게 파악되어있는가?
(2) 보전해야 될 생물종은 무엇이고 생태계보전지역의 주인은 누구인가?
(3) 어떻게 보전할 것인가?
(4) 자연과 인간의 공존,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전』의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이 옳다. 그래야만 지역민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이 존중될 것이다. 그렇지 못했기 때문에 인안들에 인접한 주민과 농민은 이용의 대상으로 치부되어 강력한 항의 사태를 유발시킨 것이다.
(1) 인안들의 생태계 구성요소는 어떻게 파악되어있는가?
(가장 중요한 지역민이 포함되지 않았다)
(2) 보전해야 될 생물종은 무엇이고 생태계보전지역의 주인은 누구인가?
(보전의 주체인 주민의 전통적 생활을 무시한 도시계획이다. 생태계의 정교한 조사 없이 흑두루미 하나로 생태계보전지역 계획이 수립되었다. )
(3) 어떻게 보전할 것인가?
(보전계획의 정교성 없이 주민을 무시한 독선적 도시계획에 의지하려 한다.)
(4) 자연과 인간의 공존,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
만약 순천시가 주민과의 소통을 바탕으로 도시계획을 수립하였다면 지금처럼 강력하게 도시계획을 반대하고 성토하는 일은 없었을 것이다.
그동안 주민들은 외래 관광객, 사진촬영객, 등의 빈번한 출입으로 농로상에서 여러 가지 불편을 겪었고, 겨울철 농경지의 흑두루미를 비롯한 철새의 피해를 묵묵히 감내하면서 시 행정에 협조해왔다. 그 이유는 우리지역을 찾는 관광객의 숫자가 늘어나듯 주민의 생활도 윤택해 지리라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에 순천시가 도시계획을 수립하여 공지한 내용과, 그 내용이 결정되기까지의 주민 소통 부재를 보면서 민주적 지방자치가 아닌 독선적 관치행정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지금까지 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하지 않았어도 주민들은 철새보호에 협조하였다. 그 결과 흑두루미 등의 개체수가 증가하였고 관광객의 왕래도 많아져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민의 재산인 농지를 주민과의 협의 없이 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한 것은 주민을 무시한 관치행정이라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Ⅲ. 결론
순천만의 생태계 보전지역 지정 후 생태계 보전지역 관리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리기본계획에는 생물다양성의 보전내용이 포함되고, 아울러 해당 지역의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이해관계인의 이익보호를 하고, 나아가 자연자산의 관리와 생태계의 보전을 통하여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는 사항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생태적 특성과 지역여건을 고려, 체계적이고 지속적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생태계 보전과 지역사회발전을 최대한 고려하고 지역자치단체 및 주민, 환경단체 등에 의해 자율적으로 보전 및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것을 원칙으로 보전시 추진해야 순천만이 그 어느 관광지보다도 우수한 가치와 잠재적인 자원임을 인정받고 보존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Stephen Wearing, John Neil, 채예병 역, 생태관광론, 한올출판사, 2012
강미희, 생태관광객의 여행 동기 및 태도, 한국학술정보, 2006
박병상, 참여로 여는 생태공동체, 아르케, 2003
생태관광 활성화방안 연구, 최영국, 국토연구원, 2005
Stephen Wearing, 이후석 역, 생태관광, 백산출판사, 2001
순천만생태연구소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9.22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6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