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환위험
1. 환위험이란?
2. 환위험 관리란?
3. 헤지란?
Ⅱ. 환리스크 방법
1. 내부적 방법
(1) 상계전략(NETTING)
-사례- 상계시스템을 이용한 코오롱상사의 환위험 관리
(2) 매칭전략 (MATCHING)
(3) 리딩(Leading)과 래깅(Lagging)전략
(4) 자산부채종합관리전략 (ALM)
(5) 포트폴리오전략
2. 외부적 방법
(1) 선물환거래
-사례- 신무림제지의 선물환거래
(2) 통화선물
(3) 통화옵션
(4) 통화스왑
(5) 팩토링(Factoring)
(6) 할인
<<참고문헌>>
1. 환위험이란?
2. 환위험 관리란?
3. 헤지란?
Ⅱ. 환리스크 방법
1. 내부적 방법
(1) 상계전략(NETTING)
-사례- 상계시스템을 이용한 코오롱상사의 환위험 관리
(2) 매칭전략 (MATCHING)
(3) 리딩(Leading)과 래깅(Lagging)전략
(4) 자산부채종합관리전략 (ALM)
(5) 포트폴리오전략
2. 외부적 방법
(1) 선물환거래
-사례- 신무림제지의 선물환거래
(2) 통화선물
(3) 통화옵션
(4) 통화스왑
(5) 팩토링(Factoring)
(6) 할인
<<참고문헌>>
본문내용
된다.
현물거래와 반대의 선물매입 또는 매도포지션을 취함으로써 선물포지션의 청산에 따른 이익(또는 손실)으로 현물거래의 손실(또는 이익)을 상쇄하며 장래 해당 통화의 강세 예상시 선물매입(long hedge), 약세 예상 시 선물매도(short hedge)해야 한다.
(3) 통화옵션
통화옵션은 특정 통화를 미래 일정시점 또는 일정기간 내 거래일에 약정된 가격으로 매입 또는 매도할 수 있는 권리로서 특정통화를 살 수 있는 권리를 콜옵션, 팔 수 있는 권리를 풋옵션. 옵션계약이 종료되는 날짜를 만기일이라 하며, 만기일 이전에 언제든지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옵션을 미국식 옵션, 만기일에만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옵션을 유럽식 옵션이라고 칭한다.
통화옵션 매입시 손실은 지급 프리미엄에 국한되나 환율변동이 유리한 경우 선물환에서 기대할 수 없는 환차익 취득가능하며 국제공사입찰계약에 대한 응찰의 경우와 같이 외환거래발생 가능성이 불확실한 경우 헤지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4) 통화스왑
통화스왑은 두 거래 당사자가 계약일에 약정된 환율에 따라 해당 통화를 일정시점에서 상호 교환하는 외환거래로서 오늘날 주로 중장기적인 환위험 관리전략으로 이용되고 있다. 거래당사자간 보유외환자산이나 부채를 서로 필요로 하는 통화로 매매하고 만기에 계약당시 환율로 원금을 다시 반대 방향으로 매매하는 거래이다. 계약기간 동안 수입이자 또는 지급이자에 대해서도 계약조건에 따라 교환함으로써 이자에 따른 환위험을 회피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통화스왑은 채권발행과 연계되어 거래되는 경우가 많은데, 차입자가 각기 자신에게 유리한 국제금융시장에서 기채한 후 통화스왑을 통해 필요한 통화로 교환함으로써 환위험 및 이자율위험 없이 차입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5) 팩토링(Factoring)
팩토링이란 기업이 소유하고 있던 매출채권을 상환청구권 없이 외부기관인 팩터에게 매각하여 결제기간 동안의 환율변동위험에서 벗어나는 방법이다.
(6) 할인
할인은 수출거래가 수출환어음에 의하여 결제되는 경우에 어음만기일까지의 환율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어음할인시장에서 어음을 자국통화로 할인하는 방법이다. 즉, 수출업자가 수출환어음을 어음의 만기일 이전에 은행에 할인 매각하여 수출대금을 조기에 회수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는 자국 통화의 평가절상이 예상되거나 만기 전에 자금이 필요한 경우에 흔히 이용되나 수입대금 결제 시에는 이용할 수 없다.
<<참고문헌>>
[1] 오영택, 『 외환금융론 』, 학문사, 2004
[2] 지호준, 『환위험관리』, 경문사, 2000
[3] 이성열, 『 지금 당장 환위험을 관리하라 』, 2009
[4] 금융감독원, 『알기 쉬운 외환리스크 관리』, 2002
[5] 정헌용·정구형, “우리나라 기업의 환위험 관리 사례에 관한 연구” , 2004
[6] 신명숙·명아름, “한국기업의 환위험 관리 현황과 개선방안” , 2011
[7] 네이버 블로그 , ‘금융감독원의 공식 블로그’
[8] 네이버 블로그, ‘재무법학도 조창훈의 작은세상’
[9] 네이버 블로그, ‘금융박사’
현물거래와 반대의 선물매입 또는 매도포지션을 취함으로써 선물포지션의 청산에 따른 이익(또는 손실)으로 현물거래의 손실(또는 이익)을 상쇄하며 장래 해당 통화의 강세 예상시 선물매입(long hedge), 약세 예상 시 선물매도(short hedge)해야 한다.
(3) 통화옵션
통화옵션은 특정 통화를 미래 일정시점 또는 일정기간 내 거래일에 약정된 가격으로 매입 또는 매도할 수 있는 권리로서 특정통화를 살 수 있는 권리를 콜옵션, 팔 수 있는 권리를 풋옵션. 옵션계약이 종료되는 날짜를 만기일이라 하며, 만기일 이전에 언제든지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옵션을 미국식 옵션, 만기일에만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옵션을 유럽식 옵션이라고 칭한다.
통화옵션 매입시 손실은 지급 프리미엄에 국한되나 환율변동이 유리한 경우 선물환에서 기대할 수 없는 환차익 취득가능하며 국제공사입찰계약에 대한 응찰의 경우와 같이 외환거래발생 가능성이 불확실한 경우 헤지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4) 통화스왑
통화스왑은 두 거래 당사자가 계약일에 약정된 환율에 따라 해당 통화를 일정시점에서 상호 교환하는 외환거래로서 오늘날 주로 중장기적인 환위험 관리전략으로 이용되고 있다. 거래당사자간 보유외환자산이나 부채를 서로 필요로 하는 통화로 매매하고 만기에 계약당시 환율로 원금을 다시 반대 방향으로 매매하는 거래이다. 계약기간 동안 수입이자 또는 지급이자에 대해서도 계약조건에 따라 교환함으로써 이자에 따른 환위험을 회피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통화스왑은 채권발행과 연계되어 거래되는 경우가 많은데, 차입자가 각기 자신에게 유리한 국제금융시장에서 기채한 후 통화스왑을 통해 필요한 통화로 교환함으로써 환위험 및 이자율위험 없이 차입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5) 팩토링(Factoring)
팩토링이란 기업이 소유하고 있던 매출채권을 상환청구권 없이 외부기관인 팩터에게 매각하여 결제기간 동안의 환율변동위험에서 벗어나는 방법이다.
(6) 할인
할인은 수출거래가 수출환어음에 의하여 결제되는 경우에 어음만기일까지의 환율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어음할인시장에서 어음을 자국통화로 할인하는 방법이다. 즉, 수출업자가 수출환어음을 어음의 만기일 이전에 은행에 할인 매각하여 수출대금을 조기에 회수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는 자국 통화의 평가절상이 예상되거나 만기 전에 자금이 필요한 경우에 흔히 이용되나 수입대금 결제 시에는 이용할 수 없다.
<<참고문헌>>
[1] 오영택, 『 외환금융론 』, 학문사, 2004
[2] 지호준, 『환위험관리』, 경문사, 2000
[3] 이성열, 『 지금 당장 환위험을 관리하라 』, 2009
[4] 금융감독원, 『알기 쉬운 외환리스크 관리』, 2002
[5] 정헌용·정구형, “우리나라 기업의 환위험 관리 사례에 관한 연구” , 2004
[6] 신명숙·명아름, “한국기업의 환위험 관리 현황과 개선방안” , 2011
[7] 네이버 블로그 , ‘금융감독원의 공식 블로그’
[8] 네이버 블로그, ‘재무법학도 조창훈의 작은세상’
[9] 네이버 블로그, ‘금융박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