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한 민수에게는 자기교수 전략을 적용함으로써 민수의 과제에 대한 주의집중을 향상시킬 수 있다. 민수는 자신의 적성에 맞는 과제를 선택하고 이를 스스로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개념이 형성된다.
은지는 기초학력이 부진하고 사회성 기술이 부족하지만, 친구들이 도와주면 과제나 활동에 참여한다. 고로 은지에게는 또래교수 전략을 적용함으로써 또래 교수자와 함께 배우고 학습하며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즉 이를 통해 기초학력과 사회성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기교수와 또래교수 수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교사는 안내자, 조력자, 동료학습자가 되어 이들의 학습을 도와주어야 한다. 민수의 경우에 자기교수법을 함에 있어서 자기교수 전략 단계를 설정할 수 있다. 첫째, 인지적 모델링 단계이다. 교사가 자신에게 큰 소리로 말하면서 과제를 해결하는 시범을 보이는 것이다. 둘째, 명백한 자기 지도 단계이다. 교사의 지도에 따라 동일한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다. 셋째, 외현적 자기 지도 단계이다. 민수는 자기 자신에게 작은 목소리로 말하면서 과제를 수행한다. 넷째, 은밀한 자기 교수 단계이다. 사적인 언어를 통해 스스로 일을 지도하면서 과제를 해결한다.
은지는 기초학력이 부진하고 사회성 기술이 부족하지만, 친구들이 도와주면 과제나 활동에 참여한다. 고로 은지에게는 또래교수 전략을 적용함으로써 또래 교수자와 함께 배우고 학습하며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즉 이를 통해 기초학력과 사회성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기교수와 또래교수 수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교사는 안내자, 조력자, 동료학습자가 되어 이들의 학습을 도와주어야 한다. 민수의 경우에 자기교수법을 함에 있어서 자기교수 전략 단계를 설정할 수 있다. 첫째, 인지적 모델링 단계이다. 교사가 자신에게 큰 소리로 말하면서 과제를 해결하는 시범을 보이는 것이다. 둘째, 명백한 자기 지도 단계이다. 교사의 지도에 따라 동일한 과제를 수행하는 것이다. 셋째, 외현적 자기 지도 단계이다. 민수는 자기 자신에게 작은 목소리로 말하면서 과제를 수행한다. 넷째, 은밀한 자기 교수 단계이다. 사적인 언어를 통해 스스로 일을 지도하면서 과제를 해결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2002 초등임용 교육학 문제 및 답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정의와 목적, 특수교육(장애인교육)의 성격과 역사, 특수교육(장애인...
정신지체아동의 특성과 원인, 정신지체아동의 교수학습지도, 정신지체아동의 게임학습과 성교...
(특수아교육 B형) 자폐범주성장애, 의사소통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 및 건강장애...
시각장애 전북 맹아학교
특수교육학개론 ) 자폐성장애 정서 및 행동장애의 개념 원인 특성 판별 및 평가 방법 교육 방...
국내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 쓰기 중재 연구의 동향
4차 산업혁명시대 학교교육에서의 음악교육 발전방향
[특수교육학개론 2021 기말과제] 1. 발달지체에 대한 개념, 발달지체 영유아 교수방법, 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