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시각시스템을 이용한 하드카피 복사방지기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시각시스템을 이용한 하드카피 복사방지기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하드카피 재생산 방지 기법

3. 인간시각시스템을 이용한 방법
가. 색의 혼합과 인간 시각시스템
나. 디지털 하프토닝(halftoning)
다. 새로운 하드카피 복사방지 기법

4. 성능분석

5. 결 론

본문내용

기, 현미경 등으로 관찰해야 하므로 대상 프린터 마다 시행해야 하며 자동화 할 수는 없다.
그림 5의 한 이진 데이터는 그림 7(a), (b)중 하나로 표현된다. 즉, 패턴 맵의 각 이진 데이터를 10×10 하프톤 셀로 만든다. 이 한 셀 내에 2×2고정 크기의 하프톤 도트(halftone dot) 혹은 스폿을 그림과 같이 위치시킨다. 이진 데이터가 “1”일 경우 스폿을 (a)와 같이 “CMYK”순서로 배치시키며, “0\"일 경우 (b)와 같이 ”KYMC\"순서로 배치시킨다. 앞에서도 언급하였지만 CMY만으로는 완전한 검은색을 만들 수 없으나 한 도트를 K로 지정하게 되면 4개의 도트가 전반적으로 한 개의 검정 도트로 보이게 된다. 그러나 검정색의 위치에 따라 눈으로는 인지할 수 없는 방향성을 가지게 된다. 병치 감법혼합의 경우 밝기와 채도가 두색의 합을 면적으로 나눈 평균값으로 지각되므로 확대해서 보면 스폿의 위치가 미세하게 차이나지만 원 하드카피의 경우에는 인지하기 어렵다.
다음으로 해당 프린터의 도트 게인과 하프토닝 특성에 따라 최적의 하프톤 셀과 스폿을 구현한다. 그림 7은 선택된 하프톤 셀과 스폿의 한 예이다.
C
M
Y
K
K
Y
M
C
(a) 이진 데이터 1 (b) 이진 데이터 0
그림 7. 하프톤 셀과 스폿
4. 성능분석
그림 8은 구현된 원본 패턴을 600dpi를 갖는 HP Color LaserJet 4550에서 출력한 결과이다.
이 원본 하드카피를 10명의 객관적인 관찰자를 대상으로 인지 검사를 수행하였다. 검사 결과 모든 관찰자가 30cm거리에서 균일한 흑백 패턴으로 인지하였으며 숨겨진 \"복사본“ 문구를 전혀 찾지 못하였다.
확대해서 보면 스폿의 위치가 미세하게 차이나지만 원 하드카피의 경우 인지하기 어렵다. 그림 7(a)의 경우 2×2픽셀에서 K가 하단 오른쪽에 위치하며, 그림 7(b)의 경우 2×2픽셀에서 K가 상단 왼쪽에 위치한다. 2×2픽셀이 너무 작아서 하나의 픽셀로 보이지만 K의 위치에 따라 중심점이 변동된다. (a)의 경우 2×2픽셀의 중심점은 픽셀들의 중심에서 오른쪽 하단으로 치우치게 되며, (b)의 경우 2×2픽셀의 중심점은 픽셀들의 중심에서 왼쪽 상단으로 치우치게 된다.
그림 8. 원본 패턴
그림 9는 하프톤 셀의 크기를 6×6에서 10×10까지 변경시켜가면서 출력한 패턴을 Epson Perfection 2450 스캐너에서 칼라사진 이미지 형식과, 출력대상은 레이저 프린터, 해상도는 600ppi로 스캔한 결과이다. 숨겨 놓았던 “복사본”이라는 문구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1200ppi로 스캔한 후 다시 출력한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새로운 하드카피 복사방지 기법의 가장 큰 장점이다. 스캔하는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단위 면적당 픽셀수가 많아지므로 칼라가 더 확연하게 보이게 된다.
그림 9. 하프톤 셀의 크기를 변경한 결과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칼라 레이저 프린터로 출력된 하드카피를 칼라 복사기나 스캐너를 이용하여 재생산할 수 없도록 하는 패턴 생성시스템으로 특별한 전용 용지나 특수 인쇄기법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 칼라 레이저 프린터와 순백 용지를 사용하므로 제작 단가가 매우 낮은 방법이다. 또한 원본과 복사본을 구분하기 위해 특별한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전용단말기가 필요 없으며 사람의 육안으로 구분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기존의 패턴들은 고해상도로 스캔했을 경우 원본과 복사본을 구분하기 어렵고 원본을 자세히 보면 감추어져 있는 문구를 볼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으나 병치 감법혼합과 AM 스크리닝 기법을 사용하여 이러한 단점이 개선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기법을 이용한다면 인터넷을 통한 행정기관의 민원서류 발급, 학교의 각종 제 증명서발급, 각종 입장권 티켓, 소액 상품권 발급 등에서 원본 하드카피가 법적인 효력을 가질 수 있는 일차적인 해결책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 고 문 헌
[1]Rudolf L. van Renesse, Optical Document Security, Second Edition, Artech House, 1997.
[2]R. Winn Hardin, “Optical tricks designed to foil counterfeiters,” OE Reports, No. 191 SPIE Nov. 1999.
[3]Jannie van der Venter, \"Manufacturing secure ID cards,\" Hi-Tech Security Systems, March/April 2001.
[4]Sijbrand Spannenburg, \"Developments in digital document security,\" in Proc. of SPIE Conf. on Optical Security and Counterfeit Deterrence Techniques III, pp. 88-98, San Jose, California. Jan. 2000.
[5]Masato Kiuchi et al., \"Frequency analysis for security printing lines,\" in Proc. of SPIE Conf. on Optical Security and Counterfeit Deterrence Techniques IV, pp. 110-120, San Jose, California, Jan. 2002.
[6]Rudolf L. van Renesse, “Hidden and scrambled images - A review,\" in Proc. of SPIE Conf. on Optical Security and Counterfeit Deterrence Techniques IV, pp. 333-348, San Jose, California, Jan. 2002.
[7]Joseph E. Orndorff, Copy-invalidating document, United States Patent No. 5171040, Dec. 15, 1992.
[8]http://www.trustcopy.com
[9]심명섭, 한주희, 색채학, 보성각, 2001.
  • 가격2,9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12.22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95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