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의 기적> 한강상품개발, 문화관광상품, 관광상품, 한강 SWOT분석, 한강 외국사례, 문화관광상품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강의 기적> 한강상품개발, 문화관광상품, 관광상품, 한강 SWOT분석, 한강 외국사례, 문화관광상품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한강을 선택한 목적과 배경


Ⅱ. 관광자원 서론
2-1) 관광지개발의 목적
2-2) 관광지 개발에 있어서의 문제점
2-3) 수요측면에 있어서의 관광지개발


Ⅲ. 관광자원개발 사례
3-1) 외국의 관광지 개발의 특색
(1) 유럽의 관광지개발의 특색
(2) 미국의 관광지개발의 특색
3-2) 한국의 관광 개발사례

Ⅳ. 한강 SWOT분석

Ⅴ. 자원 개발의 접근
- 시간
- 공간
- 기술
- 욕망

Ⅵ 한강 관광개발의 문제점 및 대책


Ⅶ 결론

본문내용

휴가의 일반화와 주휴 2일 제의 보편화가 이루어 졌기 때문이다.
유럽 지역을 보면 주요 관광지로 지중해 연안과 알프스 지역을 꼽을 수 있는데 지중해 연안지역은 꼬르다쥐르 랑그독루시옹코스타델솔일대가 개발되었고 알프스 지역은 샤모니 몽뜨리 셍모리쯔등이관광지로 정비돼있다. 이 지역은 동계스포츠와 피서지로서의 성격이 강하고 지중해 연안은 해양스포츠와 피한지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랑그도크 루시용 개발은 1963년부터 프랑그 정부의 전면적인 뒷받침을 받아 관광지 거점 개발이실시되었다 이 개발계획은 피서객의 국외 유출을 줄이고 개발이 뒤지고 있는 지역의 진흥을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지역개발을 바탕으로 한 관광지 개발의 좋은 예이다.이 지역 내에 8개의 리조트 단지를 개발하였으며 중에 가장 성공한 경우가 쁘르까마르끄(Port Camarque)로 알려지고 있다.
뽀르까마르끄는 저층형태의 개발이 행해져 대부분이 아파트와 맨션이 해변에 면한 것 같은 기하학적인 디자인으로 공간이 설계되어 보트의 수용력이지중해 최대 규모이다 특이한 것은 사업주체는 님므의 상공회의소이고 기반 시설의 정비와 토지조성은 정부가중심이 되어 투자가 이루어진 점이다 이용 면에서 특이한 점은 평균치 일 수가 12-13박으로 길고 숙박의 형태도 일반호텔에 비해 캠핑 리조트 맨션 바캉스촌의 장기체재 호텔의 이용이 월등히 많고 숙박비의 비용도 호텔에 비해 저렴하다는 것이다.
스페인의 코스다 델 솔개 발은 1960년대에 해외에서의 이주자들이 중심이 되어 관광지 개발이이루어졌다 리조트 개발은 민간 차원에서 이루어졌고 기반 시설의 정비 홍보활동 회의 유치 등의 지원은 정부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특히 정책적으로 외국에서의 개발 투자에 대해서는 단지 신고제로 제한을 가하지 않고 관광지 개발을 위해 은행으로부터 융자를 받을 경우에는 우대조치를 취하였다. 호텔과 하이테크 관련 시설과 같이 지역 경제에 역할이 큰 부문에 있어서는 투자 규모에 따라 약 10%의 정보보조를 얻을 수 있게 되어있다 또한 스페인에 있어서의 개발 투자의 15%정도가 해외에서 투자된 것으로 그중 대부분이 코스타델솔로 집중되어 국제색이 강한 관광지로 부각되고 있다.
2) 미국의 관광지 개발의 특색
미국의 경우 지난 50년간의 본격적인 항공망의 개발 및 고속도로의 정비를 통한 기반 위에서 관광지 개발이 본격화되어 Saratoga Springs와 Palm Beach 의 관광지 개발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미국의 관광지 개발 형태는 크게 다섯 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유형별로 보면,첫째 해변형 둘째 산 악형 셋째 어뮤즈 먼트형 넷째 정주형 다섯째 테마형 관광지이다 해 변형 관광지로는 마리나 델 레이 마이애미비치 트래버스 시티 등이며 산악 형으로는 콜로라도 트의 아스펜 캐나다의 위스라 미시간 북부의 관광지를 들 수 있다.어뮤즈 먼트형으로는 플로리다의 레이크 부에나 비스타 등이 있으며 정주형으로는 애리조나의 선시티 캘리포니아의 카멜 등을 들 수 있고 테마형 관광지로는 라코스타 등을 들 수 있다.
3-2) 한국의 관광 개발사례
선유도 공원은 양화대교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과거의 정수장 건축구조물을
재활용하여 국내 최초로 조성된 환경재생
생태공원이자 \"물공원\"이다.
입장료는 무료이며 연중무휴이고
개장시간은 06:00~24:00이다.
여러 가지의 테마가 있으며 각종행사가
열린다.
◎ 선유도 공원으로 가는 무지개다리
수질정화원
수생식물과
꽃 같은 것들을 예쁘게 꾸며놓은 장소였다
과거 정수장을 재활용한 장소
.
물 놀이터.
녹색기둥의 정원
넓은 공원에 테마형식으로 돼 있어서 예쁘고
탁 트인 듯 하다 느낌이 들었다.
시간의 정원
4. 한강 프로젝트 SWOT분석
S
접근성
환경재생공원이라는 콘셉트 뚜렷
무료입장으로 부담감이 없다
W
편의시설 부족
직원관리 부족
O
여가시간 증가
T
유동인구 증가로 환경오염
5. 자원개발의 접근
○시간 : 환경정수원 정지와 함께 서울특별시 르네상스프로젝트 계획 연동
○공간 : 서울특별시에 여의도공원 외에 환경적인 공원 조성
○기술 : 환경정수원의 기능에 다양한 조명, 수목원등을 유치 매력유도
○욕망 : 다양한 공원 필요 하는 사람들 욕망 충족
6. 한강 관광개발의 문제점 및 대책
가. 한국적인 관광요소는 고려하지 않은 첨단시설만을 추구하는 개발.
과거 오세훈 시장의 ‘한강 르네상스’ 개발 계획을 중심으로 개발상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그에 따른 대책을 강구해 보았다.
현재 계획되어 있는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보면 세계인의 관광지로서의 한강이 아닌 너무나도 이국적이고 서양적인 양식으로 이루어진 첨단시설의 휴식공간만을 위한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현재 계획되어 있는 한강르네상스 조감도>
높은 고층빌딩과 최첨단 시설들만이 즐비한 한강은 과연 관광지로써의 매력이 있을까. 또한 남녀노소, 서민들이 편안하게 찾을 수 있는 한국적 정서를 담을 수 있는 개발인가! 하는 의문이 들었다.
한강이 서울시민의 휴식처가 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세계 경제순위 12위 국가인 대한민국 수도로서 명실공이 국제적인 도시의 위상과 관광지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그 어디보다도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음을 감안해 볼 때 한강을 그저 일부 시민들의 첨단 시설과 조경을 갖춘 휴식공간으로만 개발을 한다면 그 수명은 그리 오래지 않아 다시 개발, 또 개발을 거듭해야하는 엄청난 자원의 낭비일 수밖에 없다.
- 해결 대책
그렇다면 시민들의 문화복합공간인 동시에 서울의 대표적인 관광지로써의 한강을 개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한강위에 첨단시설의 고급 레스토랑, 각종 시설, 조경만을 설치하기보다는 예전의 나루터의 모습을 되살려 막걸리(요즘 국내외에서 건강주로 주목받고 있으며 세계인의 이목을 끌고 있다)와 파전을 먹을 수 있는 수상 주막, 사물놀이, 탈춤, 판소리 등을 경험할 수 있는 문화의 거리로 건설하여 자라나는 우리 신세대들과 서울을 방문하는 외국인이 한강 거북선유람선을 한번 타보면 한국의 정서와 문화를 흠뻑 체험하고 느낄 수 있는 명소로 구성한다면 서울은 세계적인 관광도시로서의 또 다른 면모를 보일 수 있을 것이다.
세월이 흘러도 최첨단을 계속해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4.12.23
  • 저작시기201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96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