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아기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이상 중 다운증후군(Down syndrome)에 대해 고찰하고, 다운증후군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방법을 서술하세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아기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이상 중 다운증후군(Down syndrome)에 대해 고찰하고, 다운증후군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방법을 서술하세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태아기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이상 중 다운증후군에 대해 고찰하고, 다운증후군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방법을 서술하세요.



1. 다운증후군의 정의
2. 다운증후군의 원인
3. 다운증후군의 증상
4. 다운증후군의 특징
5. 다운증후군의 진단 및 검사
6. 다운증후군의 치료
7. 다운증후군의 예방
8. 다운증후군의 생활 가이드 및 식이요법
9. 다운증후군과 관련된 신문 기사
10. 다운증후군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방법

본문내용

서 “1, 2, 3, 4, 그러니까 우리 식구가 4네”라고 말하면서, 마침내 ‘숫자개념’을 터득하기에 이르렀다.
조씨의 평범하지만 ‘특별한’ 교육 덕분에 김씨는 사회에 진출해 한국 사회체육센터 기획홍보과에서 전산 회원관리 일을 훌륭하게 해냈고, 지난 1998년 이런 ‘인간승리’를 높이 산 정보통신부에 의해 신지식인으로 선정됐다. 2000년에는 대통령으로부터 ‘올해의 장애극복 상’을 수상했고, 지금은 우리나라 유일의 다운증후군 복지관인 ‘다운복지관’ 기획관리팀에서 일하며 다운증후군 환자와 그 가족들의 희망이 되고 있다.
김씨는 “비장애인들과 같은 것을 배우며 자란 덕분에 비장애인들과 똑같이 사회생활을 하며 살 수 있게 됐다”며 “어버이날, 카네이션 대신 ‘건강하고 평범하게 오래오래 부모님 곁을 지켜드리겠다는 약속’을 드리겠다”고 말했다. 전정윤 기자
10. 다운증후군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방법
1) 전환교육
전환교육이란 장애아동이 학교를 졸업하기 전 약 4~5년간 이루어지는 과정이며 학교 졸업 후 성인으로서 지역사회에 잘 적응하며 살 수 있도록 학교 프로그램과 성인 프로그램 사이에 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학생이 졸업 후 독립적인 성인으로서 생활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직업 활동을 위한 학생에게 적절한 직종 개발이 필요하지만 자기관리, 지역사회활용기술, 여가기술 등의 일상생활 기술 등을 준비해야 만이 주거 시설 안에서 독립적인 성인으로서 살아갈 수 있으며 직업 생활도 가능하여 진다
특수 교사들은 적어도 14세 이전에 학생의 전환교육에 대해 생각해야 되며, 16세 되기 전에 전환교육에 관련된 평가(예: 졸업 후 교육, 직업훈련, 취업 문제(지원 고용 포함), 성인교육, 독립적인 생활을 위한 자조기술, 지역 사회 적응 기술 등)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부모가 전환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언제라도 학교에 먼저 요청할 수 있다.
개별화 전환 교육계획(Individual Transition Plan: ITP)
개별화 전환 교육계획은 졸업 후에 성인으로서 사회에 적응할 때까지 여러 해 동안의 목표를 설정하게 된다. 부모·학생 자신·학교 교사들은 함께 ITP안에 전환 교육에 대한 목표 및 세부 계획에 참여하며 동일한 목표와 계획안에서 상호 협조 안에서 성공적인 전환교육을 실행해 나가야 한다.
ITP의 내용은 단지 학습적인 목표를 보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 작업, 지역사회 참여, 상급학교 교육, 성인교육, 직업 훈련 등의 성인으로서 준비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졸업 후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때 가장 필요한 영역에 대한 계획이어야 한다. 학생이 원하는 직업훈련 및 취업, 학생에게 적절한 거주 형태, 지역사회 적응기술,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데 필요한 신변처리 기술, 가사 기술 등을 기초로 해서 프로그램을 계획한다. 전환 교육계획(ITP)은 졸업 후 독립적인 주거 생활, 지역 사회적응, 직업 환경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게 한다.
2) 지역사회 중심 교수
일반사람들이 가정, 지역사회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 그러므로 발달 장애인도 일반사람들처럼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최대한 독립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일반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습득하지만 장애인은 직접적, 그리고 의도적으로 지도하여야 습득이 가능해진다.
Westling & Fox(1995)는 발달 장애라 하여도 지역사회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 특히 자립준비과정에 있는 장애인들은 전통적인 교육방법에서 나이에 알맞은 기능적 기술을 가르치기에 합당한 지역사회중심교육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의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다.
3) 자기관리기술프로그램
자기관리기술이란 스스로 살아가고 생활하는 사회에서 독립적인 기능을 유발할 수 있는 행동으로서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행동이며 신체적 기능과 관련되어 있는 행동이다. 결과적으로 자기관리기술은 장애인을 일반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이다.
아동인 경우에는 자기관리기술은 식사, 간식 먹기, 대소변가리기, 옷 입고 벗기, 머리 빗기, 이 닦기, 씻기 등으로 식사, 몸치장 및 옷 입고 벗기, 용변 등의 네 가지범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중고등부 학생인 경우에는 음식 만들기, 청소하기 등의 가사 기술이 포함된다.
자기관리기술은 장애 학생이 독립적으로 생활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기술이며 인위적인환경이 아니라 학교, 가정에서 일상생활을 통해 자연스럽게 반복하여서 지도하여야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12.30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98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