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M-Ⅳ의 발달배경, 목적, 개념, 정신장애의 진단 범주, DSM의 장단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SM-Ⅳ의 발달배경, 목적, 개념, 정신장애의 진단 범주, DSM의 장단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DSM-Ⅳ의 발달배경, 목적, 개념, 정신장애의 진단 범주, 장점과 단점



1. DSM-Ⅳ의 발달배경

2. DSM-Ⅳ의 목적

3. DSM-Ⅳ의 개념

4. DSM-Ⅳ의 정신장애의 진단 범주

5. DSM의 장점과 단점

6. 결론

본문내용

보다 더 그것의 정도의 설명을 상세히 하고 있고, 예를 들어 정신적 특징이 없는 주요 우울과 온건 상태를 결합시킨다.
그러나 DSM-IV는 모든 경우 다축체계에 따라 진단을 기술해야한다고 요구하지는 않는다. 이 때 가장 기본적인 진단을 먼저 기술하고 다음 필요한 다른 상태를 순서대로 나열한다. 축 I 진단명이 2개이상을 때도 기본적인 진단명을 먼저 기술하여 이를 나타낸다. DSM-IV에는 과거에 널리 쓰이던 정신병(psychosis), 신경증(neurosis)이라는 용어는 사용되지 않는다.
5. DSM의 장점과 단점
1) 장점
- 정신건강 전문직들이 진단을 내리는데 있어서 구체적인 기준을 가지고 문제를 체계적으로 부호화 할 수 있음
- 임상가들이 의사소통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연구자가 임상집단을 일관성 있게 결정할 수 있게 됨
2) 단점
- DSM의 진단적 매뉴얼은 진단적 실체에 대해 이론적으로 타당성이 확보된 접근이라기보다는 기술적이어서 질병의 원인과 과정 그리고 적절한 치료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음
- 대부분의 경우 상태의 원인이 잘 알려져 있지 않고 이 때문에 치료 또한 불명확함
6. 결론
이 밖에 DSM-IV에서는 증상의 심한 정도에 따라 경도(mild), 중등도(moderate), 고도(severe), 부분적 완화(in partial remission), 완전완화(in frll remission)로 임상상태를 구분한다. DSM-IV 부록으로 문화관련 증후군들을 부록으로 나열하고 있다. Decision trees는 algorithm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임상의사가 감별진단을 위해 생각하고 진단으로 고려하거나 또는 배제하여 진단을 확립해나가는 것을 도식으로 표시한 것이다. 의사는 하나의 증상, 또는 징후로부터 시작하여 긍정적 트랙, 또는 부정적 트랙을 따라 가다가 마지막 가지에 이르게 되면 최종진단을 확정하게 된다. DSM-IV의 분류는 병인론이나 치료방법을 배제하고 기술적인 정신상태에 따른 진단을 채택한 것으로 학파가 다른 임상가나 연구자들이 널리 받아들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정 장애에 대해 특정 진단기준을 설정함으로써 지난 일치도를 높이고 관련된 모든 자료를 체계적으로 기술함으로써 상호 비교가 가능하며 다축진단을 포함하여 분류함으로써 임상적으로나 연구목적으로 유용할 것임에 틀림없다. 또한 컴퓨터 발전에 힘입어 정신과 진단기준을 전산처리 할 수 있도록 시도한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12.30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98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