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관수를 할 때 물조리개를 이용하여 살수관수를 하였는데 균일하게 관수를 하지 못하였던 것 같다. 그리고 백일홍은 논문을 찾아본 결과 광을 좋아하는 식물인데 플러그트레이에 심겨진 다른 식물체에 비해 잎이 너무 커서 균일한 광을 받지 못한 것 같았다. 이 부분도 생육정도에 영향을 미친 것 같았다. 다음으로 연질포트에 옮겨 심은 후 이주 정도 후에 2차 생육 정도를 측정하였다. 1차 생육정도에서 엽록소 함량, 근수, 화뢰형성을 추가하여 측정하였다. 화뢰형성된 식물체는 4개 뿐 이었다. 개화기는 보통 6월이라고 하는데 아직 시기가 안 맞아서 그런 것 같고, 논문에서 백일홍의 개화기는 길다고 하였는데 아직 화뢰형성 수를 측정하기에는 기간이 짧았던 것 같다. 근수는 페튜니아, 샐비어, 일일초 중에서 가장 많은 수를 가졌다. 논문에서 백일홍은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높다고 하였는데 근수가 많기 때문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엽록소 함량은 샐비어 보다는 낮았고, 페튜니아보다는 높았다. 페튜니아, 샐비어 모두 같은 조건에서 광을 받았는데 엽록소 함량에서 차이가 보였다. 작물의 차이 인 것 같다. 2차 생육을 측정할 때에도 1차와 마찬가지로 끝에 있던 백일홍은 잎을 볼 때 가운데 있는 백일홍보다 생육정도가 낮아보였다. 역시 관수가 균일하지 못하였던 것 같다.
샐비어 - 3월 14일 초봄에 춘파 식물 샐비어를 종파하였다. 샐비어는 파종 후 6~9일 사이에 57.7%로 발아하기 시작해 71.2%, 73.1% 등 점점 증가하여 파종 20일 차에는 최종 발아율에 도달하였다. 같은 날 파종한 페튜니아, 백일홍, 일일초에 비해 초반 발아율 기울기는 가장 높았으며, 최종 발아율은 90.4%로 페튜니아 다음으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물 조리개를 이용하여 살수 관수 했으며, 샐비어의 관수 조건에 맞게 2~3일에 한번 씩 관수하였다. 샐비어를 조사해 본 결과 본래 날이 풀리고 4~5월 쯤 파종해야 생육 적온 조건이 맞아 생장이 맞았을 텐데 학기 실습 조건 상 3월 중순에 파종하여 낮은 온도에서 생육하느라 실습한 개체들은 발달이 저하된 것 같다.
1차 생육조사는 4월 11일에 실시하였는데, 조사항목은 초장, 엽장, 엽폭, 마디길이, 근장, 엽수 등이었다. 살비아의 생육은 비교적 고루 분포하여 초장과 같은 경우 평균에서 최대 1.6cm 이하, 엽장은 0.5cm, 엽폭은 0.4cm 범위의 근소한 차이로 골고루 자랐다고 볼 수 있었다. 특별히 엽수와 같은 경우에는 모든 식물체의 엽수가 6개로 쌍떡잎식물의 특성에 맞게 짝을 지어 세 쌍으로 규칙적인 모양으로 모든 개체가 동일하게 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런데 2주 후 25일에 이루어진 2차 생육조사에서는 엽수가 최저 11장에서 최고 20장까지 16.8장인 평균치에 비해 꽤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표 자료에서 보다시피 다른 생육 특성에서도 평균에 비해 오차 범위가 크다. 2차 생육조사에서 두드러진 점은 화뢰 형성수이다. 32개의 샐비어 개체 수 중 모든 개체가 화뢰를 형성하여 화뢰형성률 100%를 보였다. 생육조사는 끝났지만 이대로 꾸준히 관수를 하면 개화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차 생육조사에서는 기기를 통해 엽록소 측정 역시 이루어졌는데, 동일한 파종 날짜, 관수, 동일한 광 조건에서도 종별로 엽록소 함량 차이가 나는 이유는 작물별로 광합성능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5. 결론
식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인은 크게 광, 수분, 토양(양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백일홍은 엽 면적이 넓어서 광과 수분이 균일하게 공급되지 못했고, 일일초와 페튜니아, 샐비어는 광,수분의 불균형과 양분이 충분하지 못해서, 자란 식물체가 균일하지 못하거나 생장 속도가 더뎌지는 등 생육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점을 보완한다면 전체적으로 생육이 좋아져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콜레우스, 꽃양배추, 맨드라미, 팬지 등 4종의 화단용 일년초의 육묘기간 및 셀 크기에 따른 묘 생장반응을 조사한 결과 셀 하나의 크기가 클수록 지상부와 지하부의 환경이 개선되어 생육이 왕성해진다는 연구결과가 있는데, 비록 종류는 다르지만 이번 재배실험에 사용한 일년초 4종도 128구 플러그 트레이를 반씩 나눠서 파종할게 아니라 처음부터 72구 플러그 트레이에 파종했으면 좀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재배기간이 짧아 일일초와 페튜니아의 화뢰 형성을 볼 수 는 없었지만 1년 초화류의 재배관리와 재배생리를 습득하고 생리적, 형태적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1년 초화류의 기초이론을 정리하고 식물생리, 화학, 생태 등 이론적 지식을 적용해봄으로써 추가적인 1년 초화류의 지식 및 재배 시 주의사항과 보완점을 얻을 수 있었다.
6. 참고문헌
원예과학기술지 제22권 별호Ⅱ, 2004.10, 69-69 (1 page) 양액 농도와 배지종류가 이인호, 유영상, 이범선, 손보균, 강종구. 일일초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방창석 외. 1998. 전정, 파종기 및 피복재료가 페튜니아의 생육과 장마기 습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훼연구회지. 7(1).
방창석 외. 2001. 다분지성 청보라색 중륜종 페튜니아 ’글로리블루’ 육성 등 4편. 원예과학기술지. 19(별호Ⅰ).
남효훈, 우진하, 최경배. 화단용 일년초의 육묘 기간 및 셀 크기에 따른 묘 생장 반응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제44권 제2호 (2003. 4) pp.223-227.
이승우, 안성은, 김영채. 백일홍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식물생장억제제의 침종 및 경엽살포의 영향.
문윤자, 김주현. 일장조건에 따른 샐비어 품종들의 초장 및 개화반응.
농촌진흥청. 1996. 초화류재배기술. 표준영농교본-87.
임록재 저, 도봉섭 저 여강출판사, 한국약용식물사전, 2001.8 (일일초 항목)
두산백과 (백일홍, 샐비어, 페튜니아 항목)
네이버 지식백과 (페튜니아 항목)
이승우, 안성은, 김영채. 백일홍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식물생장억제제의 침종 및 경엽살포의 영향
Thank you
샐비어 - 3월 14일 초봄에 춘파 식물 샐비어를 종파하였다. 샐비어는 파종 후 6~9일 사이에 57.7%로 발아하기 시작해 71.2%, 73.1% 등 점점 증가하여 파종 20일 차에는 최종 발아율에 도달하였다. 같은 날 파종한 페튜니아, 백일홍, 일일초에 비해 초반 발아율 기울기는 가장 높았으며, 최종 발아율은 90.4%로 페튜니아 다음으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물 조리개를 이용하여 살수 관수 했으며, 샐비어의 관수 조건에 맞게 2~3일에 한번 씩 관수하였다. 샐비어를 조사해 본 결과 본래 날이 풀리고 4~5월 쯤 파종해야 생육 적온 조건이 맞아 생장이 맞았을 텐데 학기 실습 조건 상 3월 중순에 파종하여 낮은 온도에서 생육하느라 실습한 개체들은 발달이 저하된 것 같다.
1차 생육조사는 4월 11일에 실시하였는데, 조사항목은 초장, 엽장, 엽폭, 마디길이, 근장, 엽수 등이었다. 살비아의 생육은 비교적 고루 분포하여 초장과 같은 경우 평균에서 최대 1.6cm 이하, 엽장은 0.5cm, 엽폭은 0.4cm 범위의 근소한 차이로 골고루 자랐다고 볼 수 있었다. 특별히 엽수와 같은 경우에는 모든 식물체의 엽수가 6개로 쌍떡잎식물의 특성에 맞게 짝을 지어 세 쌍으로 규칙적인 모양으로 모든 개체가 동일하게 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런데 2주 후 25일에 이루어진 2차 생육조사에서는 엽수가 최저 11장에서 최고 20장까지 16.8장인 평균치에 비해 꽤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표 자료에서 보다시피 다른 생육 특성에서도 평균에 비해 오차 범위가 크다. 2차 생육조사에서 두드러진 점은 화뢰 형성수이다. 32개의 샐비어 개체 수 중 모든 개체가 화뢰를 형성하여 화뢰형성률 100%를 보였다. 생육조사는 끝났지만 이대로 꾸준히 관수를 하면 개화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차 생육조사에서는 기기를 통해 엽록소 측정 역시 이루어졌는데, 동일한 파종 날짜, 관수, 동일한 광 조건에서도 종별로 엽록소 함량 차이가 나는 이유는 작물별로 광합성능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5. 결론
식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인은 크게 광, 수분, 토양(양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백일홍은 엽 면적이 넓어서 광과 수분이 균일하게 공급되지 못했고, 일일초와 페튜니아, 샐비어는 광,수분의 불균형과 양분이 충분하지 못해서, 자란 식물체가 균일하지 못하거나 생장 속도가 더뎌지는 등 생육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점을 보완한다면 전체적으로 생육이 좋아져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콜레우스, 꽃양배추, 맨드라미, 팬지 등 4종의 화단용 일년초의 육묘기간 및 셀 크기에 따른 묘 생장반응을 조사한 결과 셀 하나의 크기가 클수록 지상부와 지하부의 환경이 개선되어 생육이 왕성해진다는 연구결과가 있는데, 비록 종류는 다르지만 이번 재배실험에 사용한 일년초 4종도 128구 플러그 트레이를 반씩 나눠서 파종할게 아니라 처음부터 72구 플러그 트레이에 파종했으면 좀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재배기간이 짧아 일일초와 페튜니아의 화뢰 형성을 볼 수 는 없었지만 1년 초화류의 재배관리와 재배생리를 습득하고 생리적, 형태적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1년 초화류의 기초이론을 정리하고 식물생리, 화학, 생태 등 이론적 지식을 적용해봄으로써 추가적인 1년 초화류의 지식 및 재배 시 주의사항과 보완점을 얻을 수 있었다.
6. 참고문헌
원예과학기술지 제22권 별호Ⅱ, 2004.10, 69-69 (1 page) 양액 농도와 배지종류가 이인호, 유영상, 이범선, 손보균, 강종구. 일일초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방창석 외. 1998. 전정, 파종기 및 피복재료가 페튜니아의 생육과 장마기 습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훼연구회지. 7(1).
방창석 외. 2001. 다분지성 청보라색 중륜종 페튜니아 ’글로리블루’ 육성 등 4편. 원예과학기술지. 19(별호Ⅰ).
남효훈, 우진하, 최경배. 화단용 일년초의 육묘 기간 및 셀 크기에 따른 묘 생장 반응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제44권 제2호 (2003. 4) pp.223-227.
이승우, 안성은, 김영채. 백일홍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식물생장억제제의 침종 및 경엽살포의 영향.
문윤자, 김주현. 일장조건에 따른 샐비어 품종들의 초장 및 개화반응.
농촌진흥청. 1996. 초화류재배기술. 표준영농교본-87.
임록재 저, 도봉섭 저 여강출판사, 한국약용식물사전, 2001.8 (일일초 항목)
두산백과 (백일홍, 샐비어, 페튜니아 항목)
네이버 지식백과 (페튜니아 항목)
이승우, 안성은, 김영채. 백일홍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식물생장억제제의 침종 및 경엽살포의 영향
Thank you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