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관광 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 (의료관광 정의와 발전 가능성, 해외 성공 사례, 국내외 현황과 정부와 기업의 태도,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료관광 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 (의료관광 정의와 발전 가능성, 해외 성공 사례, 국내외 현황과 정부와 기업의 태도,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의료관광이란----------------2
 1. 발전 가능성----------------------5
 2. 해외 성공 사례-------------------6

2 현황-----------------------8
 1. 국내 현황-----------------------8
 2. 해외 현황-----------------------15
 3. 정부의 태도---------------------23
 4. 기업의 태도---------------------26

3 문제점---------------------27

4 활성화 방안----------------31

5 참고문헌-------------------35

본문내용

.2%로 2011년 처음으로 건강관련 수지가 5,220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우수한 국내 의료기술, 한류확산, 지방자치단체의
의료관광객 유치노력이 상호작용한 결과이다.
국내 의료관광 시장의 성장세는 앞으로도 이어져 2013년 의료기관에서 의료서비스를 받는 핵심 의료관광객만 20만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의료관광 수입액은 5,968억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보건복지부에 신고되는 의료관광객을 제외한 환자나 동반자 등의 추정인원까지 더하면 2013년 의료관광시장은 39만 9,310명, 2020년에는 99만 8,275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른 수입 총액은 2013년 1조 107억 원, 2020년 3조 5,555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의료관광이 국내 시장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2년을 기준으로 의료관광 생산유발효과는 1조 2,610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6,220억 원, 소득유발효과는 3,080억 원이며, 의료산업과 관광산업을 고려한 취업유발효과는 1만 2,466명에 이른다.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의료관광산업이 전년대비 5% 수준에서만 성장한다 가정해도 2015년이면 스마트 TV 37만 대, 중형승용차 2만 8천 대를 수출하는 것과 맞먹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기도 한다. 이 추세대로라면 2020년 의료관광은 6조 1,731억 원의 생산유발효과와 6만 1,027명의 취업유발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의료관광객의 다양화
한국 의료관광은 기존 피부 및 성형외과 중심에서 점차 특화된 분야로의 진료가 늘어나고 있으며, 입원치료 환자도 2010년 6.6%(5,359명)에서 2011년 9.8%(1만 1,945명)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회도 늘고 있다. 정부는 경제 자유구역 내 외국인 투자병원 도입을 허용하여 2016년 송도에 최초의 국제병원이 개원할 예정이며, 민간 보험회사에 외국인 환자 유치를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아울러 의료관광객을 위한 숙박시설도 규제완화를 통해 늘려가기로 했으며 중저가 숙박시설 프랜차이즈를 활성화 하는 방안이 추진될 예정이다.
- 국내 의료기관의 해외진출
최근 삼성의료원이 두바이에 지사를 설립하는 등 외국 현지에 진출하는 국내 의료기관이 늘고있다. 이 같은 해외지사의 설립은 한국의 우수한 의료서비스를 알리고 한국에서 의료서비스를 받은 후 귀국한 환자에게 사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현지 의료서비스에 대한 전략적 투자방법으로도 선호되고 있다. 의료기관의해외진출은 해외에서는 이미 그 사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미국의 존스홉킨스 병원은 UAE에 트완(TWAN)병원을 건립하여 브랜드 사용료만으로 5년간 4억 7천만 달러를 받고 병원 운영에 따른 수수료 수입은 별도로 챙기고 있을 정도이다. 국내 의료기관은 2012년 12월 기준으로 중국(31개), 미국(23개), 베트남(9개), 카자흐스탄(4개), UAE(3개) 등 16개 국에 총 91개 의료기관이 진출하고 있다. 투자형태별로는 단독투자30%, 프랜차이즈 30%, 공동운영 20% 순이다. 단독투자는 투자기관(의료기관 포함) 및 개인이 의료기관에 100% 투자하여 운영하는 방식으로 자생한방병원의 Jaseng Center for Alternative Medicine, 송도병원의 UBSD Hospital, 차병원의 LA CHA불임치료센터 등이 있다. 합자 및 합작을 통한 공동운영은 진출국 파트너와의 합자·합작 투자계약을 체결하고 의료법인을 설립하는 경우로 상하이 우리들 병원, Ye 메디컬센터 호치민 등을 들 수 있다. 위탁경영방식은 국내 의료기관이 진출국 의료기관의 시설 일부 사용계약을 체결하여 의료기관을 운영하는 방식이나 해외 의료기관과 고용계약을 맺고 출장 진료를 하는 식 또는 경영기술 및 의료 인력을 파견하는 방식이다. 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 인도네시아 진료지소, 우리들 병원의 Alzanah Medical Center, BK동양성형외과의 완쫑병원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밖에도 상해 함소아 한의원처럼 현지 네트워크를 활용한 프랜차이즈 및 계열화를 통한 진출방법이 있다. 진료과목별로는 성형, 피부, 치과 등은 의원급을 중심으로하는 단독투자 형태가 많으며 척추, 재활 등 특수질환은 종합병원이나 중형병원급을 중심으로 진출하고 있다.
2 해외 현황
1) 태국 의료관광 현황
태국은 세계적인 관광대국으로 최근 수년간 의료관광 관련 수입 증가율이 연평균 15~20%에 이른다. 2006년 이후로 의료관광객 유치 실적(환자 수 및 수입 등) 공식 통계를 집계하지 않고 있으나 200만 명 이상의 외국인들이 의료관광을 목적으로 태국을 방문하고 있고, 태국 내 의약 및 의료시장은 미화기준 1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008년 의료관광객 수는 140만 명, 수입액은 7백억 바트(약 20억 달러, 전체 관광수입의 약 10%)에 달했으며 2011년에는 220만명에 이르는 의료관광객이 태국을 찾은 것으로 추정된다. .의료관광객에 대한 별도의 의료전문 비자는 없으며, 비자면제협정 대상국 이외 국적 환자의 경우 공항도착 비자(Visa on arrival)발급을 통해 입국 편의를 높이고 있다. 의료관광객의 편안한 체류를 위하여 출입국관리소가 일주일에 한 번씩 주요 병원으로 출장을 나가 현장에서 비자 연장 업무 처리를 하고 있태국의 의료기관은 공공의료시설과 민간의료시설로 구분되며 2009년 기준 총 병원수 1,323개 중 국공립병원이 1,007개로 76%, 사립병원이 316개로 24%를 차지한다. 병상수를 기준으로 하면 사립병원의 병상수는 13,512개로 전체 병상수의10%를 차지하고 있다. 공공병원은 의료관광객 유치에 참여하지 않고 있으며 사립영리병원 일부가 의료관광객 및 자국의 부유층 환자를 대상으로 진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은 약 30개 정도로 범룽랏(Bumrungrad International Hospital), 사미티벳(Samitivej), 방콕(Bangkok Hospital), 피야
  • 가격4,0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15.01.01
  • 저작시기201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99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