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의 역정 (美的歷程)』 [요약 및 비평] _ 리쩌허우 (이택후 / 李澤厚) 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의 역정 (美的歷程)』 [요약 및 비평] _ 리쩌허우 (이택후 / 李澤厚) 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미의 역정

<요약>
제1장 용비봉무
제2장 청동 도철
제3장 선진시대의 이성정신
제4장 초한시대의 낭만주의
제5장 위진시대의 기풍
제6장 불타세용
제7장 성당지음
제8장 운회지치
제9장 송원 산수의 의경
제10장 명청시대의 문예사조

<비평>

본문내용

하여 발전하였던 것이 있는데, 이는 바로 양주팔괴를 그 대표적 존재로 삼고 있는 화조화이다. 그 독특한 필묵 구도 색채 형상을 사용하여, 혹은 거칠고 활달하며 소탈하게, 혹은 정교하고 고아하고 부드럽게 나타낸 표현은 중국의 그림을 하나의 근대회화라는 새로운 단계로 나아가도록 추진하였다. 명청시대의 공예는 사회 속에서 자본주의 요소가 출현하고 발전하게 됨에 따라 더불어 발전하였다. 심미적 취향은 상품생산이나 시장가치의 제약을 받았다. 그 중 자기는 역대로 중국공예의 대표적인 존재였으며, 이것은 명청에서도 확실히 절정에 이를 정도로 발달하였다.
<비평>
이택후의 <미의 역정>은 한마디로 동양예술과 미학에 대해 거시적인 접근도 가능하게 하며, 미시적인 접근도 가능하게 해주는 책이다. 거시적인 접근이라 하면, 상고시대의 토템부터 시작하여 명청 시대에 이르기까지 시, 회화, 공예, 건축 등 많은 분야의 예술을 시대별로 개괄하고 있어서 동양예술과 미학에 대한 개념의 이해를 도와 줄 수 있다. 미시적인 접근이라 하면, 예술작품이 탄생한 배경인 상고시대부터 시작하여 예술과 미의 흐름과 더불어 그 이면에 숨겨져 있는 사상, 그리고 당시의 사회적 조건 사이의 관련여부까지 파고 들어간다. 모든 일에는 그 원인과 결과가 있듯이, 예술과 미의 흐름 역시 인과 관계와 사회적 조건의 사이에서 흘러가고 있음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시대상황 속에서 변화하는 심미의식의 특색은 매우 흥미로웠다. 가장 격심했던 변혁의 시기인 선진시대에 등장한 \'이성주의\', 한대예술의 \'기백과 고졸\', 유가에서 벗어난 위진시대의 \'예술을 위한 예술\', 당대의 \'성당지음\', 명청의 \'낭만주의\'와 \'감상문학\'에서 \'현실비판주의\'에 이르기까지, 이 미의식들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이나 유행하였던 사조와 현실의 생활여건 등으로 인하여 나타난 시대정신의 불꽃이 표현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 인하여 어떠한 예술이 탄생하게 된 배경과 그 내재된 논리를 함께 파악할 수 있었다. 한 번도 통괄적으로 연관해 보지 못한 나로서는 중국 심미의 특색에 대한 관점을 획득한 셈이었다.
개인적으로 아쉽다고 생각하는 것은 시대적으로 개괄적인 문예의 구분이 있었으면 하는 것이다. 역사와 철학, 예술과 문학에 대한 분류나 시대별로 하나의 주제를 주로하면서 다른 문예들이 표현되어있다면 더 읽기가 수월하지 않았을까 하는 그런 생각을 해 보았다. 예를 들면 사회의식의 흐름을 좀 더 명확하게 시기별로 구분하면서, 그 의식의 흐름으로 하나의 문예를 주로 하고 다른 것을 부차적으로 설명하였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
어쨌든 사회적 조건과 예술과의 관계, 문학사조와 회화와의 연관, 그 의식에 따른 감정의 표출이 예술로 표현되는 과정과 그 결과를 밝혀준 이택후의《미의 역정》은 중국 예술 전반에 흐르는 심미의식에 대한 전반적인 느낌을 알 수 있게 해주며, 동양 예술과 미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개괄적인 큰 흐름부터 중점적인 세세한 부분까지도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히 읽어볼 만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1.20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05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