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샤넬 CHANEL 브랜드소개
2. 창업자 코코샤넬에 대해
3. 샤넬의 성공요인
4. 샤넬 주요제품소개
5. 샤넬의 마케팅전략
(1) SWOT분석
(2) STP전략
(3) 마케팅믹스 4P전략
6. 샤넬의 다양한 마케팅활동
(1) 아이콘 마케팅
(2) 고객관리전략 (CRM전략)
(3) 스타 마케팅
(4) 구전 마케팅
(5) 귀족마케팅
(6) IT 마케팅
7. 샤넬의 미래전망과 나의의견
2. 창업자 코코샤넬에 대해
3. 샤넬의 성공요인
4. 샤넬 주요제품소개
5. 샤넬의 마케팅전략
(1) SWOT분석
(2) STP전략
(3) 마케팅믹스 4P전략
6. 샤넬의 다양한 마케팅활동
(1) 아이콘 마케팅
(2) 고객관리전략 (CRM전략)
(3) 스타 마케팅
(4) 구전 마케팅
(5) 귀족마케팅
(6) IT 마케팅
7. 샤넬의 미래전망과 나의의견
본문내용
렸으며, 이 사실은 패션에 관심이 있는 여성들 사이에서 광범위하게 퍼져 나갔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샤넬의 작품을 알리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샤넬 No.5를 제조한 후 이를 곧바로 의상실에 내놓지 않고 당시 유행을 선도하는 멋쟁이 여인들에게 가장 귀한 선물을 주기라도 하듯이 살짝 건네주기도 했다고 한다.
(5) 귀족마케팅
귀족마케팅이란 본래 상류층에게 차별화된 명품을 마케팅하는 것을 의미하며, 로열 마케팅(royal marketing)이라고도 불린다. \'20%의 소비자가 매출의 80%를 담당한다\'는 원칙에서 비롯되었다. 샤넬의 차별화 전략에 가장 걸맞는 마케팅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고소득층 타깃 제품들은 대부분 가격 대비 마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고소득층의 소비규모는 경기 변화에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경기가 나빠져도 꾸준한 소비패턴을 보이는 등 경기에 덜 민감한 것도 특징이다.
귀족마케팅은 위에서 설명한 소비자 자존의 욕구 충족과도 일맥상통한다. 샤넬은 자부심을 선사하는 귀족 마케팅을 사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인정받고자 하는 고소득층 고객들의 욕망을 만족시켜 주는 것이다. 샤넬은 이런 고객들이 제품 구매 시 자부심이 생길 만한 가격을 책정했고, 누구나 볼 수 있는 TV나 신문과 같은 대중 매체에는 샤넬의 제품 광고를 싣지 않았다. 샤넬의 이러한 선택적 마케팅은 샤넬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더 큰 자부심을 느끼게 해주었다.
우리가 귀족마케팅의 원리에서 주목할 점은 바로 ‘실제 타깃층’이다. 귀족마케팅이 실질적으로 겨냥하는 것은 아직 상류층은 아니지만 이들에게 편입하고자 하는 욕망을 가진 중상위계층이다. 소수의 상류층에게만 매출을 의존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귀족이 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판매를 확대하여 심리적 만족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시장 확대와 매출 신장을 노리는 것이다. 즉, 상류층의 소비행태는 중상류층에 의해 모방되며, 중상류층은 다시 중류층에 의해 모방된다는 말이다.
실제 고소득층 타깃에게는 자신의 위치를 과시하면서 얻는 만족감을, 그들을 모방하는 중상류층에게는 그들에게 편입하였다는 심리적 만족감을 준다는 점에서 샤넬의 기본적인 마케팅 전략은 매슬로우의 5가지 욕구 단계에 기인하고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또한 계속해서 최상류층에게 소비되는 브랜드는 명품이라는 이미지의 영속성을 가질 수 있다.
(6) IT 마케팅
e-commerce
보통 럭셔리 브랜드들은 고가 전략과 프리미엄 이미지가 훼손될 것을 우려하여 유통채널을 오프라인으로 한정시키며 온라인 채널을 멀리했다. 하지만 2014년 기준 명품 브랜드의 이커머스 매출은 140억유로를 기록하며 전년보다 50%나 늘어나는 등 온라인 시장이 매년 고공 성장하는데다 병행수입과 직접구매(직구) 등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면서 가격에 대한 불신을 가지자 브랜드들은 판매 전략을 선회하여 온라인 시장에도 뛰어들고 있다.
샤넬 역시 올해 이커머스 시장을 론칭하였다. 4년 뒤에는 럭셔리 브랜드 전체 매출 가운데 이커머스 비중이 12%로 뛸 것이며 온라인 시장이 미국과 중국에 이어 3대 시장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전망에 발맞춘 것이다.
보통 럭셔리 브랜드들의 공식 홈페이지는 본사가 사용하고 있는 플랫폼을 그대로 번역한 형태이다. 만약 온라인몰 역시 본사 홈페이지를 그대로 옮겨온다면, 소비자들은 다른 국가에서의 제품 판매 가격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커서만 몇 번 누르면 다양한 나라의 홈페이지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프랑스에서 600만원대에 판매되는 제품이 국내에서는 700만원대의 가격으로 책정되어 있다면 소비자들은 온라인몰에서 구매하는 대신 직구를 통해 더 저렴한 현지 가격으로 구매하게 된다. 이러한 가격 책정 문제를 가진 이커머스 론칭을 위해 한 결정인지는 몰라도, 샤넬은 지난해 아시아 지역의 제품 가격을 20% 낮추고 유럽 지역에서의 가격은 20% 상향조정하겠다고 발표했었다. 똑똑한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고가 전략으로만 시장을 공략하던 럭셔리 시장에서 샤넬이 그 선두주자로 이커머스를 론칭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으며 전 세계의 명품 브랜드들이 이를 주목하고 있다고 한다.
7. 샤넬의 미래전망과 나의의견
‘샤넬앓이’라는 신조어가 있다. 샤넬을 사랑하고 열망하는 여성들이 샤넬의 제품을 갖고 싶은데 못 갖게 되어 생기는 속앓이를 표현하는 말이다. 이처럼 샤넬은 깊은 역사 만큼이나 사람들의 사랑도 오래 지속되고 있다.
샤넬은 그들의 고급브랜드를 다른 브랜드들과의 차별화하기 위해 선택적 마케팅 시스템을 사용해왔고 그것은 그들의 브랜드 명성을 높여줄 수 있는 적합한 것이었다. 하지만 그들은 법률적 규제로 CS마케팅 즉, CUSTOMER SATISFACTION 마케팅을 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샤넬은 고객 관리 프로그램인 ‘뤼니베르 드 샤넬(L’Univers de Chanel·샤넬의 세계)’을 앞세워 고객 맞춤 서비스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이용하여 정확한 고객 분석으로 맞춤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의 충성도까지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아마도 2010년 국가고객만족도(NCSI) 여성화장품 부문에서 샤넬이 13년 연속 1위를 차지한 이유 중에 하나이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그러나 샤넬의 자사전략을 다시금 곱씹어 봐야 되지 않을까? 또 다시 오른 가격은 20-30%이나 인상하면서 시대적 흐름에 맞지 않은 강한 자부심으로 다른 명품업체에 고객들을 빼앗기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거기다 매출이 부진하여 샤넬 프랑스 본사에 200명 감원이란 충격을 주었다. 결국 샤넬은 트렌드에 맞춰 나가지 않는 브랜드의 지나친 자부심의 결과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자신의 브랜드를 고집하는 것 즉, 가브리엘 샤넬이 원했던 신비주의 전략과 고급화 전략을 유지하는 것도 샤넬의 정체성을 유지시키는데 일조를 하지 않을까 싶다. 어찌됐든 현재 카를 라거펠트(Karl Lagerfeld)가 샤넬의 수석 디자이너 자리에 올라 대담, 완벽, 독특, 정열, 환상의 5가지 원칙을 가지고 샤넬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니 누구보다도 샤넬을 사랑하는 한사람으로써 샤넬을 잘 이끌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샤넬의 작품을 알리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샤넬 No.5를 제조한 후 이를 곧바로 의상실에 내놓지 않고 당시 유행을 선도하는 멋쟁이 여인들에게 가장 귀한 선물을 주기라도 하듯이 살짝 건네주기도 했다고 한다.
(5) 귀족마케팅
귀족마케팅이란 본래 상류층에게 차별화된 명품을 마케팅하는 것을 의미하며, 로열 마케팅(royal marketing)이라고도 불린다. \'20%의 소비자가 매출의 80%를 담당한다\'는 원칙에서 비롯되었다. 샤넬의 차별화 전략에 가장 걸맞는 마케팅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고소득층 타깃 제품들은 대부분 가격 대비 마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고소득층의 소비규모는 경기 변화에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경기가 나빠져도 꾸준한 소비패턴을 보이는 등 경기에 덜 민감한 것도 특징이다.
귀족마케팅은 위에서 설명한 소비자 자존의 욕구 충족과도 일맥상통한다. 샤넬은 자부심을 선사하는 귀족 마케팅을 사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인정받고자 하는 고소득층 고객들의 욕망을 만족시켜 주는 것이다. 샤넬은 이런 고객들이 제품 구매 시 자부심이 생길 만한 가격을 책정했고, 누구나 볼 수 있는 TV나 신문과 같은 대중 매체에는 샤넬의 제품 광고를 싣지 않았다. 샤넬의 이러한 선택적 마케팅은 샤넬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더 큰 자부심을 느끼게 해주었다.
우리가 귀족마케팅의 원리에서 주목할 점은 바로 ‘실제 타깃층’이다. 귀족마케팅이 실질적으로 겨냥하는 것은 아직 상류층은 아니지만 이들에게 편입하고자 하는 욕망을 가진 중상위계층이다. 소수의 상류층에게만 매출을 의존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귀족이 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판매를 확대하여 심리적 만족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시장 확대와 매출 신장을 노리는 것이다. 즉, 상류층의 소비행태는 중상류층에 의해 모방되며, 중상류층은 다시 중류층에 의해 모방된다는 말이다.
실제 고소득층 타깃에게는 자신의 위치를 과시하면서 얻는 만족감을, 그들을 모방하는 중상류층에게는 그들에게 편입하였다는 심리적 만족감을 준다는 점에서 샤넬의 기본적인 마케팅 전략은 매슬로우의 5가지 욕구 단계에 기인하고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또한 계속해서 최상류층에게 소비되는 브랜드는 명품이라는 이미지의 영속성을 가질 수 있다.
(6) IT 마케팅
e-commerce
보통 럭셔리 브랜드들은 고가 전략과 프리미엄 이미지가 훼손될 것을 우려하여 유통채널을 오프라인으로 한정시키며 온라인 채널을 멀리했다. 하지만 2014년 기준 명품 브랜드의 이커머스 매출은 140억유로를 기록하며 전년보다 50%나 늘어나는 등 온라인 시장이 매년 고공 성장하는데다 병행수입과 직접구매(직구) 등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면서 가격에 대한 불신을 가지자 브랜드들은 판매 전략을 선회하여 온라인 시장에도 뛰어들고 있다.
샤넬 역시 올해 이커머스 시장을 론칭하였다. 4년 뒤에는 럭셔리 브랜드 전체 매출 가운데 이커머스 비중이 12%로 뛸 것이며 온라인 시장이 미국과 중국에 이어 3대 시장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전망에 발맞춘 것이다.
보통 럭셔리 브랜드들의 공식 홈페이지는 본사가 사용하고 있는 플랫폼을 그대로 번역한 형태이다. 만약 온라인몰 역시 본사 홈페이지를 그대로 옮겨온다면, 소비자들은 다른 국가에서의 제품 판매 가격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커서만 몇 번 누르면 다양한 나라의 홈페이지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프랑스에서 600만원대에 판매되는 제품이 국내에서는 700만원대의 가격으로 책정되어 있다면 소비자들은 온라인몰에서 구매하는 대신 직구를 통해 더 저렴한 현지 가격으로 구매하게 된다. 이러한 가격 책정 문제를 가진 이커머스 론칭을 위해 한 결정인지는 몰라도, 샤넬은 지난해 아시아 지역의 제품 가격을 20% 낮추고 유럽 지역에서의 가격은 20% 상향조정하겠다고 발표했었다. 똑똑한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고가 전략으로만 시장을 공략하던 럭셔리 시장에서 샤넬이 그 선두주자로 이커머스를 론칭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으며 전 세계의 명품 브랜드들이 이를 주목하고 있다고 한다.
7. 샤넬의 미래전망과 나의의견
‘샤넬앓이’라는 신조어가 있다. 샤넬을 사랑하고 열망하는 여성들이 샤넬의 제품을 갖고 싶은데 못 갖게 되어 생기는 속앓이를 표현하는 말이다. 이처럼 샤넬은 깊은 역사 만큼이나 사람들의 사랑도 오래 지속되고 있다.
샤넬은 그들의 고급브랜드를 다른 브랜드들과의 차별화하기 위해 선택적 마케팅 시스템을 사용해왔고 그것은 그들의 브랜드 명성을 높여줄 수 있는 적합한 것이었다. 하지만 그들은 법률적 규제로 CS마케팅 즉, CUSTOMER SATISFACTION 마케팅을 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샤넬은 고객 관리 프로그램인 ‘뤼니베르 드 샤넬(L’Univers de Chanel·샤넬의 세계)’을 앞세워 고객 맞춤 서비스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이용하여 정확한 고객 분석으로 맞춤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의 충성도까지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아마도 2010년 국가고객만족도(NCSI) 여성화장품 부문에서 샤넬이 13년 연속 1위를 차지한 이유 중에 하나이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그러나 샤넬의 자사전략을 다시금 곱씹어 봐야 되지 않을까? 또 다시 오른 가격은 20-30%이나 인상하면서 시대적 흐름에 맞지 않은 강한 자부심으로 다른 명품업체에 고객들을 빼앗기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거기다 매출이 부진하여 샤넬 프랑스 본사에 200명 감원이란 충격을 주었다. 결국 샤넬은 트렌드에 맞춰 나가지 않는 브랜드의 지나친 자부심의 결과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자신의 브랜드를 고집하는 것 즉, 가브리엘 샤넬이 원했던 신비주의 전략과 고급화 전략을 유지하는 것도 샤넬의 정체성을 유지시키는데 일조를 하지 않을까 싶다. 어찌됐든 현재 카를 라거펠트(Karl Lagerfeld)가 샤넬의 수석 디자이너 자리에 올라 대담, 완벽, 독특, 정열, 환상의 5가지 원칙을 가지고 샤넬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니 누구보다도 샤넬을 사랑하는 한사람으로써 샤넬을 잘 이끌 것이라고 생각된다.
추천자료
명품 성공사례 CHANEL,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명품 샤넬의 마케팅 전략
라네즈의 중국 진출 마케팅 성공사례 - 중국 투자론
라네즈의 중국 진출 마케팅 분석
라네즈(laneige) 중국마케팅
아디다스 vs 나이키 마케팅믹스 4P전략 비교분석과 마케팅전략 공통점,차이점 및 나이키,아디다스의 향후전략과 나의의견
레드불 브랜드분석과 SWOT분석/ 레드불 마케팅전략과 4P,광고전략연구/ 레드불 향후전망
아모레퍼시픽 라네즈 해외진출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과 라네즈 향후 시사점분석
[설빙 마케팅전략 사례분석] 설빙 브랜드분석과 설빙 성공요인과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향후전망분석 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