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경제학자의 실증적 분석과 규범적 분석
3) 실증적 분석과 규범적 분석의 결합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경제학자의 실증적 분석과 규범적 분석
3) 실증적 분석과 규범적 분석의 결합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면 어떠할까. 그 경우에는 실증적 분석가의 주장이나 의견이 바뀔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실증적 분석과 규범적 분석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함께 변화해 갈 수 있다. 그렇기에 경제학자들은 항상 두 가지 요인에 대해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3. 결론
본론에서 실증적 분석가, 규범적 분석가로서의 경제학자의 역할에 대해 고찰해 보고, 사회적인 영향력과 책임감을 지닌 경제학자는 두 가지 역할을 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경제학자인 존 힉스의 저서(Causality in Economics)에서도 드러난다. 존 힉스는 경제학자는 실증적 분석가로서 현재의 경제 시스템의 원인과 결과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하며, 의사결정이 미칠 결과에 대해 예측해야 한다. 또한 규범적 분석가로서 다양한 선택지들의 결과를 볼 때, 과연 어떤 가치를 우선하여 의사 결정을 해야 할지 고민하고 최선의 정책 수단을 제안할 수 있어야 한다고 이야기하였다. 류현주, [경제학자는 누구인가], 서울경제, 2019.01.02. 오후 5시 19분, https://www.sedaily.com/NewsVIew/1VDVRQ0I5N, 2021.01.16. 오후 4시 25분.
이는, 실증적 분석가이자 규범적 분석가로서의 경제학자의 역할에 대해 기술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증적 분석과 규범적 분석은 서로 상충되는 점이 존재하지만, 각 분석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통합적으로 사고하는 것은 경제학자에게 꼭 필요한 덕목으로 보인다. 2008년 경제 위기,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적 경제체계에 변화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점점 더 복잡해지는 현실 속에서 경제학자들의 연구 주제는 더욱 방대해질 것이다. 그렇기에 경제학자들의 역할과 경제학자로서 좀 더 나은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실증적인 데이터에 대해 수집하고 이론을 만들어 내는 것과 더불어, 본인의 윤리적 기준, 가치관을 탐색하고 사회에 적절한 정책 제안을 할 수 있는 건전한 책임감을 가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4.출처 및 참고문헌
그레고리 맨큐, 김경환 외, [맨큐의 경제학], 교보문고, 2012.
류현주, [경제학자는 누구인가], 서울경제, 2019.01.02. 오후 5시 19분, https://www.sedaily.com/NewsVIew/1VDVRQ0I5N, 2021.01.16. 오후 4시 25분. 끝.
이렇듯 실증적 분석과 규범적 분석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함께 변화해 갈 수 있다. 그렇기에 경제학자들은 항상 두 가지 요인에 대해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3. 결론
본론에서 실증적 분석가, 규범적 분석가로서의 경제학자의 역할에 대해 고찰해 보고, 사회적인 영향력과 책임감을 지닌 경제학자는 두 가지 역할을 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경제학자인 존 힉스의 저서(Causality in Economics)에서도 드러난다. 존 힉스는 경제학자는 실증적 분석가로서 현재의 경제 시스템의 원인과 결과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하며, 의사결정이 미칠 결과에 대해 예측해야 한다. 또한 규범적 분석가로서 다양한 선택지들의 결과를 볼 때, 과연 어떤 가치를 우선하여 의사 결정을 해야 할지 고민하고 최선의 정책 수단을 제안할 수 있어야 한다고 이야기하였다. 류현주, [경제학자는 누구인가], 서울경제, 2019.01.02. 오후 5시 19분, https://www.sedaily.com/NewsVIew/1VDVRQ0I5N, 2021.01.16. 오후 4시 25분.
이는, 실증적 분석가이자 규범적 분석가로서의 경제학자의 역할에 대해 기술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증적 분석과 규범적 분석은 서로 상충되는 점이 존재하지만, 각 분석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통합적으로 사고하는 것은 경제학자에게 꼭 필요한 덕목으로 보인다. 2008년 경제 위기,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적 경제체계에 변화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점점 더 복잡해지는 현실 속에서 경제학자들의 연구 주제는 더욱 방대해질 것이다. 그렇기에 경제학자들의 역할과 경제학자로서 좀 더 나은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실증적인 데이터에 대해 수집하고 이론을 만들어 내는 것과 더불어, 본인의 윤리적 기준, 가치관을 탐색하고 사회에 적절한 정책 제안을 할 수 있는 건전한 책임감을 가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4.출처 및 참고문헌
그레고리 맨큐, 김경환 외, [맨큐의 경제학], 교보문고, 2012.
류현주, [경제학자는 누구인가], 서울경제, 2019.01.02. 오후 5시 19분, https://www.sedaily.com/NewsVIew/1VDVRQ0I5N, 2021.01.16. 오후 4시 25분. 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