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도박 중독이란
2. 도박(중독)의 원인
1) 심리적 요인
2) 비합리적인 도박 신념(인지적 왜곡)
3. 도박(중독)의 심리학적 원인
1) 정신역동적 관점
2) 학습이론적 관점
3) 인지이론적 관점
4. 도박(중독)을 멈추게 하는 방법
1) 전문가의 도움
2) 도박 유혹 회피
3) 치료 결심
4) 심리치료
5.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도박 중독이란
2. 도박(중독)의 원인
1) 심리적 요인
2) 비합리적인 도박 신념(인지적 왜곡)
3. 도박(중독)의 심리학적 원인
1) 정신역동적 관점
2) 학습이론적 관점
3) 인지이론적 관점
4. 도박(중독)을 멈추게 하는 방법
1) 전문가의 도움
2) 도박 유혹 회피
3) 치료 결심
4) 심리치료
5.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5. 나의 의견
심리적 요인은 도박을 습관적으로 하게끔 만드는데, 도박중독자 자신은 지각하지 못하지만 전의식적 혹은 의식적인 의사결정이나 심적 메커니즘이 영향을 주는 집합체이다. 이 역시 도박자 자신이 겪어온 환경과 살아온 경험에 따라 다양하다. 이는 정신분석이론으로도 설명이 가능한데, 과거에 해결되지 않은 무의식적인 심리적 갈등에서부터 시작되어 해소하지 못한 불안을 도박으로서 해결하거나 자기 처벌적인 방법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과거의 성공적이지 못했던 경험과 과거 사건의 어떠한 결핍으로 인해 도박을 반복적으로 하게 된다는 것이다. 정신분석이론을 설명한 프로이트(Freud, 1917)는 성(性)에너지의 억압이나 결핍으로 인한 해소를 다양한 사건의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했다. 그러나 이는 해석의 차이일 수 있다. 성(性)에너지 외에도 모든 과거사건이 인간을 억압할 수 있으며 이의 결과물로 부정적인 결과(현재의 모습)임을 알 수 있다. 도박중독도 부정적인 결과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도박이라는 자극으로부터 시작하여 그 자극에 반응하여 강화가 뒤따르게 되어 도박에 빠져든다고 시사하는 행동주의 이론(behavioral theory)8)의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로도 설명이 가능하다. 조작적 조건화는 강화와 처벌로 구분되어 행동이 통제되거나 정해질 수 있다는 이론이다. 어떠한 행위를 강화하는 결과물이 수반되면 그 행위를 다시 할 가능성은 높아진다. 이를 도박에 적용해 보았을 때, 도박자들이 도박을 통해 돈을 버는 행위는 일종의 ‘강화’이다. 이 강화가 늘 같은 시간과 횟수에 일어나지 않으면 변동비율 강화계획(variable-ratio reinforcement)이 되는데, 도박행동 역시 늘 같은 시기에 수익을 얻지 않는다. 이에 도박행동 역시 변동비율 강화계획에 따라 수익을 가져다준다고 말할 수 있으며 도박자는 간헐적인 도박행동의 강화 보상물과 우연성의 희생자일 뿐이다. 이 외에도 미신적 신념(superstitious belief)과 자신이 선택적으로 기억하고 사고하는 자기 편의적 오류, 도박의 기술이나 확률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 믿는 통제력의 착각(illusion of control) 등이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도박(중독)의 원인을 심리학적으로 찾아보고 도박(중독)을 멈추게 하는 방법을 제시해 보았다. 도박중독자들을 위한 정책적 대안(Policy Initiatives)으로 미국, 뉴질랜드, 캐나다에서는 도박장 수 제한(Restricting of Gambling Venues)을 두고 있는데 이는 지역의 도박중독자 비율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도박의 종류(Types of Gambling)를 규제하는 방안은, 1인당 소득비례 슬롯머신수와 도박중독자 비율 사이에도 강력한 관련이 있었다. 도박장 개장시간 제한(Limiting Gambling Venue Hours)은 가능하나 제한의 강도가 문제가 된다. 도박행위자에 대한 규제는 일정연령에 대한 통제와, 지역주민과 타지사람들의 출입횟수를 제한이다. 단일조치로 문제도박을 예방하는데 큰 효과를 얻기는 힘들며, 여러 가지 방안들을 동시에 취해야만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참고문헌
권석만 (2013). 현대이상심리학, 서울 : 학지사.
김교헌 (2002).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중독.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권선중, 김교헌 (2012). 도박 행동과 중독의 관계: 기질과 동기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김민경 (2006). 병적 도박의 위험요인 탐색: 성격과 동기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박사학위 논문.
5. 나의 의견
심리적 요인은 도박을 습관적으로 하게끔 만드는데, 도박중독자 자신은 지각하지 못하지만 전의식적 혹은 의식적인 의사결정이나 심적 메커니즘이 영향을 주는 집합체이다. 이 역시 도박자 자신이 겪어온 환경과 살아온 경험에 따라 다양하다. 이는 정신분석이론으로도 설명이 가능한데, 과거에 해결되지 않은 무의식적인 심리적 갈등에서부터 시작되어 해소하지 못한 불안을 도박으로서 해결하거나 자기 처벌적인 방법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과거의 성공적이지 못했던 경험과 과거 사건의 어떠한 결핍으로 인해 도박을 반복적으로 하게 된다는 것이다. 정신분석이론을 설명한 프로이트(Freud, 1917)는 성(性)에너지의 억압이나 결핍으로 인한 해소를 다양한 사건의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했다. 그러나 이는 해석의 차이일 수 있다. 성(性)에너지 외에도 모든 과거사건이 인간을 억압할 수 있으며 이의 결과물로 부정적인 결과(현재의 모습)임을 알 수 있다. 도박중독도 부정적인 결과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도박이라는 자극으로부터 시작하여 그 자극에 반응하여 강화가 뒤따르게 되어 도박에 빠져든다고 시사하는 행동주의 이론(behavioral theory)8)의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로도 설명이 가능하다. 조작적 조건화는 강화와 처벌로 구분되어 행동이 통제되거나 정해질 수 있다는 이론이다. 어떠한 행위를 강화하는 결과물이 수반되면 그 행위를 다시 할 가능성은 높아진다. 이를 도박에 적용해 보았을 때, 도박자들이 도박을 통해 돈을 버는 행위는 일종의 ‘강화’이다. 이 강화가 늘 같은 시간과 횟수에 일어나지 않으면 변동비율 강화계획(variable-ratio reinforcement)이 되는데, 도박행동 역시 늘 같은 시기에 수익을 얻지 않는다. 이에 도박행동 역시 변동비율 강화계획에 따라 수익을 가져다준다고 말할 수 있으며 도박자는 간헐적인 도박행동의 강화 보상물과 우연성의 희생자일 뿐이다. 이 외에도 미신적 신념(superstitious belief)과 자신이 선택적으로 기억하고 사고하는 자기 편의적 오류, 도박의 기술이나 확률에 의해 결정될 것이라 믿는 통제력의 착각(illusion of control) 등이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도박(중독)의 원인을 심리학적으로 찾아보고 도박(중독)을 멈추게 하는 방법을 제시해 보았다. 도박중독자들을 위한 정책적 대안(Policy Initiatives)으로 미국, 뉴질랜드, 캐나다에서는 도박장 수 제한(Restricting of Gambling Venues)을 두고 있는데 이는 지역의 도박중독자 비율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도박의 종류(Types of Gambling)를 규제하는 방안은, 1인당 소득비례 슬롯머신수와 도박중독자 비율 사이에도 강력한 관련이 있었다. 도박장 개장시간 제한(Limiting Gambling Venue Hours)은 가능하나 제한의 강도가 문제가 된다. 도박행위자에 대한 규제는 일정연령에 대한 통제와, 지역주민과 타지사람들의 출입횟수를 제한이다. 단일조치로 문제도박을 예방하는데 큰 효과를 얻기는 힘들며, 여러 가지 방안들을 동시에 취해야만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참고문헌
권석만 (2013). 현대이상심리학, 서울 : 학지사.
김교헌 (2002).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중독.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권선중, 김교헌 (2012). 도박 행동과 중독의 관계: 기질과 동기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김민경 (2006). 병적 도박의 위험요인 탐색: 성격과 동기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박사학위 논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