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 장비
2.실험 방법
3.실험 결과
4.고찰 및 결론
5.참고문헌
2.실험 방법
3.실험 결과
4.고찰 및 결론
5.참고문헌
본문내용
목적은 콘크리트 압축강도시험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균열, 강도 등을 파괴하지 않고 검사하기 위해 슈미트해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비파괴 검사 장비의 슈미트 해머를 활용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검토를 통한 구조물의 안정성 여부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구조물의 안정성을 위해 콘크리트의 일축압축강도를 측정하는 것이며 공장에서 제조되어 나오는 강재와는 달리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강도를 알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실험 방법에는 해머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벽체를 타격한 후, 반발력을 이용하여 강도를 측정하여 진행했으며 슈미트 해머법의 원리는 슈미트 해머로 경화 콘크리트 표면을 타격시 반발도(R)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Fc)와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전제로 이론식을 만든다. 그 후 타격시 해머내의 반발도로 표시하며, 이 반발도의 크기에 따라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추정한다. 일반적으로 타격시의 반발도는 타격에너지 및 크기, 재료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다르므로 불안정하지만 간편하고 짧은 시간에 강도추정이 가능한 우수한 사용법으로 많이 쓰인다.
실험은 3cm 간격으로 가로 5줄, 세로 5줄 이렇게 총 25개의 지점에 슈미트해머로 벽면과 수직되게 타격을 가한 결과 25개 지점의 평균값은 46.68이었다. 또한, 평균의 ±20%인 56.02~37.34외의 값을 가진 값이 없었으므로 그 중에서 가장 벗어난 52의 값을 선정하여 제외지점으로 지정하였고, 제외지점 제외한 평균값이 46.46, 는 41.12MPa, 콘크리트 강도 보정 0.63을 일축 강도에 곱한 추정 콘크리트 압축 강도는 25.91이 나왔다.
실험에서 오차 발생한 요인으로는 첫째, 벽면이 움푹 파이거나 튀어나온 부분이 상당히 많이 있어 수직으로 힘이 정확하게 가하지 않아 값의 차이가 발생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둘째, 눈금의 단위를 읽을 때 육안으로 정확하게 값이 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오차가 발생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이번 실험을 슈미트 해머법에 대한 이론에 대해 알 수 있었으며, 구조물을 파괴하지 않고도 비파괴 시험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안정성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 간단하면서도 많이 쓰이는 방법이라 상기가 잘 될 것이라고 생각해 유익했던 실험이었던 것 같다.
5. 참고문헌
- Structural Analysis SI (Russell C. Hibbeler)
정역학과 재료역학 (국승규)
실험은 3cm 간격으로 가로 5줄, 세로 5줄 이렇게 총 25개의 지점에 슈미트해머로 벽면과 수직되게 타격을 가한 결과 25개 지점의 평균값은 46.68이었다. 또한, 평균의 ±20%인 56.02~37.34외의 값을 가진 값이 없었으므로 그 중에서 가장 벗어난 52의 값을 선정하여 제외지점으로 지정하였고, 제외지점 제외한 평균값이 46.46, 는 41.12MPa, 콘크리트 강도 보정 0.63을 일축 강도에 곱한 추정 콘크리트 압축 강도는 25.91이 나왔다.
실험에서 오차 발생한 요인으로는 첫째, 벽면이 움푹 파이거나 튀어나온 부분이 상당히 많이 있어 수직으로 힘이 정확하게 가하지 않아 값의 차이가 발생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둘째, 눈금의 단위를 읽을 때 육안으로 정확하게 값이 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오차가 발생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이번 실험을 슈미트 해머법에 대한 이론에 대해 알 수 있었으며, 구조물을 파괴하지 않고도 비파괴 시험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안정성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 간단하면서도 많이 쓰이는 방법이라 상기가 잘 될 것이라고 생각해 유익했던 실험이었던 것 같다.
5. 참고문헌
- Structural Analysis SI (Russell C. Hibbeler)
정역학과 재료역학 (국승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