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음주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 음주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청소년 음주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
음주동기
음주, 흡연과 약물 오남용과의 관계
청소년의 음주

본문내용

주된 작용을 하여 내성을 일으키는 의존형 형성에 한 몫을 한다.
알코올과 마약의 금단증상은 여러 면에서 유사성이 지적되고 있다.
약물 오남용 문제는 크게 나누어서 두 가지 측면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약물을 사용함으로써 약효가 지속되는 동안에 즐거운 기분을 맛본다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그 약효가 떨어진 뒤에는 몹시 불쾌하고 참기 어려운 금단증상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두개의 측면은 약물 중독이 갖는 성질의 이중성을 말해주는 것인데, 바로 이 상반된 성질이 약물에의 탐닉을 강화시켜 주는 원인이 된다.
약물을 사용하면 기분이 좋아지니까 다음 번에 다시 약물을 사용할 욕구를 증가시켜 주는 것이고, 사용하던 약물을 끊으니까 참을 수 없는 금단증상이 나타나고 이를 피하기 위하여 약물 사용의 욕구를 강화시켜 주는 결과가 되는 것이다.
이 중에서도 약물에 대한 신체적 의존을 일으키는 핵심적인 부분이 바로 금단증상이다.
그리고 일단 약물에 빠진 사람이 거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약물을 계속하지 않으면 안되는 핵심적인 이유가 바로 이 금단증상때문인 것이다.
실제로 사용하였을 때 즐거운 기분을 만들어주는 약은 아니더라도 사용하다가 끊었을 때에 금단증상을 일으키는 약이라면 상습적인 사용을 강화시켜 남용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금단증상을 모면해 보려는 노력이 약물에 대한 탐닉을 중단하지 못 하게 한다.
@-서비스
청소년의 음주
청소년의 음주에 관한 국내외 연구 결과를 보면, 연구 대상자의 성별, 연령, 집단특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음주 청소년의 비율이 과거에 비해 증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죤스톤(Johnston)의 1975년 조사에서 미국 청소년의 음주율이 68.2% 였으나, 1981년 조사에서는 70.7%로 증가하였고, 이길홍의 조사에서도 1978년 중고생 중 2.5%가 음주를 했으나 1984년에는 8.2%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음주 경험율을 볼 때 비행청소년은 61.0%로서 근로 청소년의 37.8%보다 높고, 학생의 25.6%보다 2.4배 음주율이 높았다.
특히 상습 음주율을 보면 비행 청소년이 27.4%로 학생의 2.6%에 비해 10배나 높은 비율이다.
이는 청소년 음주와 비행이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취중 범죄에 관한 이길홍의 연구(1983)를 보면, 비행 청소년의 1/4 이 취중에 범죄를 했고, 특히 강력 범죄자일수록 취중에 범죄를 저질렀다고 밝혀져, 청소년 음주가 비행의 지표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과음 후 자제력이 약화되고 공격심이 증가한 결과라고 하겠다.
청소년의 음주 양상에 관한 선행 연구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충동적으로 과음을 하거나 상습적으로 과음을 할 수록 비행 성향이 높다. 이 길홍의 조사에서 보면, 비행 청소년은 학생들보다 10배나 충동적 음주를 하고, 5배정도 더 상습음주를 하고 있다.
2. 순도가 높은 소주를 과량 사용하거나 만취를 할 수록 비행 성향이 높다. 이는 과량 음주자가 비행에서 4배 더 많다는 외국의 보고에서처럼(피어스의 1970년 연구), 이길홍의 한국 비행 청소년에서도 약 3 배 과음율이 높았다.
3. 부친이 자녀의 음주를 알고도 묵인할 경우 13배 비행 성향이 높고, 친한 친구(8배)나, 부친(1.5배), 모친(3배), 형제(3배), 자매(2배)등 주위 인물이 상습 음주를 할 수록 비행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이는 청소년의 사회화 과정에 있어 동료의 음주가 강화 요인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부모의 음주가 강력한 모방대상이 될 수도 있고, 부모의 음주가 자녀의 인격형성 및 발달 과정에 해로움을 끼치고 상습 음주의 습관을 갖게 하고 자녀 음주의 제동 역할을 하지 못한 결과라고 하겠다. 따라서, 청소년의 음주 및 비행 예방을 위해서는 주변의 인물들의 협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4. 욕구 불만의 해소를 위해 공격적으로 음주를 하거나(7.4배), 현실 도피를 위해 음주를 할 수록(8.4배) 비행 성향이 높다. 반면 즐거움 을 더하기 위해 혹은 사교의 목적으로 음주할 경우에는 비행 성향이 낮다. 이는 공격심을 자기파괴적인 방향으로 미숙하게 처리할 때 악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5. 비행 청소년은 학생들에 비해 가족이나 여자친구와의 갈등이나 임무 태만, 작업과오, 과음 후의 사고 등 사회적응상의 어려움이나 의학적 문제를 많이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음주가 많은 병폐를 낳기 때문에 청소년의 음주율을 낮추기 위한 체계적인 예방대책을 시급히 수립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3.21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4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