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의 미래 세계관
책의 내용과 키워드
느낀점과 생각의 정리
세계화와 제국의 세계관
책의 내용과 키워드
느낀점과 생각의 정리
세계화와 제국의 세계관
본문내용
고 부유한 나라를 꿈꿀 것이다. 또한 무엇보다 세상은 중심에서 리더쉽을 발휘하기를 희망할 것이다. 세상 곳곳에서 느낀 저자의 다양한 느낌들이 한꺼번에 담겨 있어 다양한 세계의 흐름과 현재의 모습을 들여다보았던 제 2세계, 특히 세상의 중심에서 각 나라가 구축하고 있는 다양한 활동에 대해 많이 느끼게 해 주어 현장의 목소리였으며 뚜렷한 체계와 다양한 이면을 보게 되어 행복했던 책 읽기였다. 다소 딱딱할 수 있었던 느낌을 저자의 다양한 경험이 함께 어울려 나의 눈은 즐거움으로 다음다음 페이지로 이동했다. 다양한 경계와 이익 속에서 권력은 이미 이동하고 있었다. 예리한 저자의 눈에 박수를 보내 본다.
세계화와 제국의 세계관
앞으로의 세계화는 곧 제국화를 의미하는 것인가? 곰곰이 생각해볼 문제가 아닐수 없다. 역사에 존재했던 모든 초강대국들 가운데, 멀리 떨어진 피지배민들의 충성심을 이끌어낼수 있는 공통의 정체성을 만드는 과업에 가장 성공했던 제국은 바로 로마였다. 로마는 흡인력있는 문화상품과 시민권을 그리스, 골, 브리튼, 스페인 출신 사람들에게까지 확장함으로써, 멀리 떨어진 영토에 사는 다양한 민족들을 로마화할 수 있었다.
오늘날 초강대국, 제국인 미국 초기 역사는 이런 관용으로 인해 건국되었고 그 관용성을 발전시켜왔기에 세계를 지배하는 초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고 본다. 또한 이런 논리를 받쳐주는 사료와 자료가 풍부하고 당위성을 제공해주고 있어서 인정할수 있는 부분이다.
일본인 국회의원 고로는 이렇게 말했다. 자세히 살펴보면 한국인들은 입이 쩍 벌어지고 눈동자가 흐릿해서 뭔가 부족한 사람처럼 약간 멍청해 보인다. 그들의 입술선과 얼굴 윤곽을 보면 약간 엉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들은 위생과 질병과 관련해서 대단히 엉성하다. 심하게 말하면, 그들은 인간이라기보다는 짐승에 가깝다. 물론 옛날 일이지만, 잘못된 방향으로 세계화, 제국화하면 이런쪽으로 발전하게 된다. 일방제국은 정복국가로 남을 뿐이다.
또다른 세계화의 단며인 몽골제국을 생각해보자. 칭기스칸은 적을 격파하여 발 밑에 쓰러뜨리고, 말과 재산을 빼앗으며, 그들의 여자들이 슬피 우는 소리를 듣는 것이 가장 큰 행복이라고 말했다. 사람을 짐승으로 보는 사고를 가진 집단이 무력과 권력을 장악할 때 일어나는 끔찍한 시행착오를 보면 전율할 정도다.
이런 책들을 읽으면서 늘 느끼는 느낌이지만 웬지 뒷맛이 후련하고 개운하지 않다. 미국이란 강국에 대한 열등감 때문일까? 새로운 다른 제국들에게도 이러한 의심을 가지기 때문일까? 아님 피해의식 때문일까? 저자가 말하는 관용이란 것도 알고 보면 자기식의 지배철학의 순화시켜 표현한 것에 지나지 않은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멕시코에 이민간 친구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멕시코 사람들 정말 미국사람들 싫어한단다. 이는 멕시코 뿐 아니라 중남미 사람들 대부분이 그렇게 생각한단다. 아무리 백번 관용을 쓰면 뭘하나? 세계적 공감대와 함께 보조를 맞추는 마음이 중요한데 미국이, 또다른 제국들이 언제나 개과천선할려나 갈 길이 멀다.
세계화와 제국의 세계관
앞으로의 세계화는 곧 제국화를 의미하는 것인가? 곰곰이 생각해볼 문제가 아닐수 없다. 역사에 존재했던 모든 초강대국들 가운데, 멀리 떨어진 피지배민들의 충성심을 이끌어낼수 있는 공통의 정체성을 만드는 과업에 가장 성공했던 제국은 바로 로마였다. 로마는 흡인력있는 문화상품과 시민권을 그리스, 골, 브리튼, 스페인 출신 사람들에게까지 확장함으로써, 멀리 떨어진 영토에 사는 다양한 민족들을 로마화할 수 있었다.
오늘날 초강대국, 제국인 미국 초기 역사는 이런 관용으로 인해 건국되었고 그 관용성을 발전시켜왔기에 세계를 지배하는 초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고 본다. 또한 이런 논리를 받쳐주는 사료와 자료가 풍부하고 당위성을 제공해주고 있어서 인정할수 있는 부분이다.
일본인 국회의원 고로는 이렇게 말했다. 자세히 살펴보면 한국인들은 입이 쩍 벌어지고 눈동자가 흐릿해서 뭔가 부족한 사람처럼 약간 멍청해 보인다. 그들의 입술선과 얼굴 윤곽을 보면 약간 엉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들은 위생과 질병과 관련해서 대단히 엉성하다. 심하게 말하면, 그들은 인간이라기보다는 짐승에 가깝다. 물론 옛날 일이지만, 잘못된 방향으로 세계화, 제국화하면 이런쪽으로 발전하게 된다. 일방제국은 정복국가로 남을 뿐이다.
또다른 세계화의 단며인 몽골제국을 생각해보자. 칭기스칸은 적을 격파하여 발 밑에 쓰러뜨리고, 말과 재산을 빼앗으며, 그들의 여자들이 슬피 우는 소리를 듣는 것이 가장 큰 행복이라고 말했다. 사람을 짐승으로 보는 사고를 가진 집단이 무력과 권력을 장악할 때 일어나는 끔찍한 시행착오를 보면 전율할 정도다.
이런 책들을 읽으면서 늘 느끼는 느낌이지만 웬지 뒷맛이 후련하고 개운하지 않다. 미국이란 강국에 대한 열등감 때문일까? 새로운 다른 제국들에게도 이러한 의심을 가지기 때문일까? 아님 피해의식 때문일까? 저자가 말하는 관용이란 것도 알고 보면 자기식의 지배철학의 순화시켜 표현한 것에 지나지 않은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멕시코에 이민간 친구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멕시코 사람들 정말 미국사람들 싫어한단다. 이는 멕시코 뿐 아니라 중남미 사람들 대부분이 그렇게 생각한단다. 아무리 백번 관용을 쓰면 뭘하나? 세계적 공감대와 함께 보조를 맞추는 마음이 중요한데 미국이, 또다른 제국들이 언제나 개과천선할려나 갈 길이 멀다.
추천자료
우리가 아는 세계의 종언을 읽고
세계 최고의 우리 문화유산을 읽고나서
세계 문명 기행을 읽고
사찰장식 그 빛나는 상징의 세계 를 읽고
80일간의 세계 일주를 읽고...
(독서감상문) 세계는 평평하다를 읽고
화폐전쟁을 읽고나서 - 세계를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
존 나이스비트 메가트렌드 차이나를 읽고 - 세계를 호령하는 중국의 힘에 관한 보고
세계사를 움직이는 다섯 가지 힘을 읽고 - 과거를 통해 미래를 바라보다
[독후감] 세계문화 이해를 읽고
[독후감] 삶과 세계, 그 도전으로서의 여정-“80일간의 세계일주”를 읽고 _ 쥘 베른 저
[서평] 기독교 세계관의 이해를 읽고
『37개의 렌즈로 잡아낸 세계의 최전선, 지금 여기의 세계사』를 읽고
인류의 행복과 세계관 - ‘기독교 세계관의 이해’를 읽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