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위험물제조소
2. 위험물제조소 등에 설치되는 채광, 조명, 환기설비
1) 채광
2) 조명
3) 환기설비
3. 환기설비와 배출설비의 차이점을 비교 설명
1) 환기설비
2) 배출설비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위험물제조소
2. 위험물제조소 등에 설치되는 채광, 조명, 환기설비
1) 채광
2) 조명
3) 환기설비
3. 환기설비와 배출설비의 차이점을 비교 설명
1) 환기설비
2) 배출설비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 농도, 타이머 등을 이용하여 자동식으로 작동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 환기설비설치를 면제하고 있으나, 배출설비를 수동식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환기설비를 함께 설치하고 있다. 배출설비를 자동식으로 작동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 급기구의 위치를 높은 곳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배출설비를 수동식으로 작동되도록 설치하여 배출설비와 환기설비를 함께 설치하는 경우에는 환기설비의 급기구는 낮은 곳에 배출설비의 급기구는 높은 곳에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급기구의 설치 위치에 대한 모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류로 배출설비와 환기설비를 함께 설치하여 급기구를 환기설비를 준용하여 낮은 곳에 설치한다면 제조소 등에서 정전 등의 사유로 강제 배풍기가 작동되지 않더라도 환기설비는 정상 작동되므로 실내의 가연성 증기 또는 미분은 실외로 배출되어 제조소 등의 내부는 폭발 등의 위험 분위기의 제거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배출설비의 급기구도 환기설비의 급기와 마찬가지로 높은 곳이 아닌 낮은 곳에 설치하도록 설치 기준이 개선해야 할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위험물제조소 등에 설치되는 채광, 조명, 환기설비를 설명하고, 특히 환기설비와 배출설비의 차이점을 비교 설명해 보았다. 위험물은 난방 및 차량연료, 인쇄, 도장, 각종 화학물질 및 고분자화합물의제조 등과 같이 여러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관련 산업의 대규모화에 따라 여러 종류의 위험물이 대량으로 제조, 저장 및 취급되고 있는 실정이며 쉽게 인화되고 대량의 열을 발생하여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동반하게 된다. 위험물에 의한 사고는 최근 국내에서는 2000년 11월 2일 안산 반월공단에서DBNE(방부제)와 디에틸렌클리콜 혼합 중 폭발사고로 사망자 5명, 중상자 48명, 차량 58대 및 공장 47개동(소실면적 : 약 9,300평)이 소실되는 사례가 있었으며, 국외에서는 2015년 8월 12일 중국 텐진항 컨테이너 물류창고에서 많은 위험물질이 폭발사고로 이어져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동반하는 사례도 있었다.
참고문헌
국민안전처, “위험물실무해설서(제12판)”, 2016.
김종율, “위험물제조소 안전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5.
최영, “국내 대형화재 사고의 피해 확산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서울시립대학교, 2017.
김태근, “위험물 제조소 등의 환기·배출 설비 개선 방안 연구” 석사학위, 경기대학교, 2017.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위험물제조소 등에 설치되는 채광, 조명, 환기설비를 설명하고, 특히 환기설비와 배출설비의 차이점을 비교 설명해 보았다. 위험물은 난방 및 차량연료, 인쇄, 도장, 각종 화학물질 및 고분자화합물의제조 등과 같이 여러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관련 산업의 대규모화에 따라 여러 종류의 위험물이 대량으로 제조, 저장 및 취급되고 있는 실정이며 쉽게 인화되고 대량의 열을 발생하여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동반하게 된다. 위험물에 의한 사고는 최근 국내에서는 2000년 11월 2일 안산 반월공단에서DBNE(방부제)와 디에틸렌클리콜 혼합 중 폭발사고로 사망자 5명, 중상자 48명, 차량 58대 및 공장 47개동(소실면적 : 약 9,300평)이 소실되는 사례가 있었으며, 국외에서는 2015년 8월 12일 중국 텐진항 컨테이너 물류창고에서 많은 위험물질이 폭발사고로 이어져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동반하는 사례도 있었다.
참고문헌
국민안전처, “위험물실무해설서(제12판)”, 2016.
김종율, “위험물제조소 안전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5.
최영, “국내 대형화재 사고의 피해 확산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서울시립대학교, 2017.
김태근, “위험물 제조소 등의 환기·배출 설비 개선 방안 연구” 석사학위, 경기대학교, 2017.
추천자료
인텔리전트 빌딩 조사
건축물의 지구온난화 대책 및 환경부하의 최소화 기법에 관하여
09년 4월 건축설비 인텔리전트빌딩 조사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의 평가항목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정책학A+] 정부의 저탄소정책을 중심으로 정부의 녹색성장 그린정책
[주거][주거의 흐름][주거의 실태][주거의 기능][주거의 조건][주거와 소음][주거와 가족생활...
선택이 아닌 필수 '친환경 주택'
[건축환경] 자연채광을 효과적으로 사용한 사례
위험물시설론_위험물제조소 등에 설치되는 채광, 조명, 환기설비를 설명하고, 특히 환기설비...
위험물제조소 등에 설치되는 채광 조명 환기설비를 설명하고 특히 환기설비와 배출설비의 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