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Ⅵ. 참고문헌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폭력 책임이 가해자에게 있음을 인지하기
중요도 1순위는 집단 가족화, 실천도 1순위는 가족조각기법으로 나타났다.
(3) 가족 구성원 간 부정적 경험 공유하고 이해하기
중요도 1순위는 구조적 가족치료 기법이었고 마찬가지로 실천도 1순위는 구조적 가족치료 기법으로 나타났다.
(4) 가족 구성원의 감정 외재화와 이해를 통한 관계 향상 강화
중요도 1순위는 경험주의적 가족치료였고 마찬가지로 실천도 1순위는 경험주의적 가족치료로 나타났다.
(5) 가족의 기능회복과 가족 간 문제 해결 기술 강화
중요도 1순위는 행동치료기법, 실천도 1순위는 구조적 가족치료기법으로 나타났다.
(6) 긍정적인 미래 준비 (7) 중요도 실천도 일치 여부
위와 같은 사항들을 점검하고 참고하여 델파이 기법을 실시하였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아동 가족에 대한 개입을 하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델파이 기법을 통해 가족중심개입 프로그램의 목표와 각 목표별 개입 방법을 도출하고 중요도와 실천도를 밝힌 연구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대상으로는 가해자가 친인척인 경우로 하며,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개별적인 치료 후 연합 회기 진행이 필요하다.
둘째, 프로그램의 목표로는 성폭력 책임을 가해자에게 인지시키기, 가족 구성원 간 부정적 경험 공유와 이해, 가족 간 감정 외재화와 이해를 통한 관계 강화, 가족의 기능회복과 가족 문제 해결 기술 강화, 긍정적인 미래 준비가 설정되었다.
셋째, 각 목표별 개입 방법은 중요도와 실천도를 고려하여 도출되었다. 성폭력 책임을 가해자에게 인지시키기는 감정과 지지가 중요한 방법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목표들에 대해서도 중요한 방법이 제시되었다. 중요도와 실천도가 일치하지 않는 몇 가지 개입방법이 있으며, 실무자들이 중요하게 여기지만 현장에서 제약으로 실천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프로그램의 실제 적용 여부를 검증하지 않았으며, 각 세팅의 참여 실무자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점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향후 프로그램을 시범 적용하고 수정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 세팅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Ⅵ. 참고 문헌
1. 한인영, 문현주, & 구혜완. (2015). 친족성폭력 피해아동 가족중심개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FGI 와 델파이 기법을 통하여.한국가족복지학,47, 137-166.
중요도 1순위는 집단 가족화, 실천도 1순위는 가족조각기법으로 나타났다.
(3) 가족 구성원 간 부정적 경험 공유하고 이해하기
중요도 1순위는 구조적 가족치료 기법이었고 마찬가지로 실천도 1순위는 구조적 가족치료 기법으로 나타났다.
(4) 가족 구성원의 감정 외재화와 이해를 통한 관계 향상 강화
중요도 1순위는 경험주의적 가족치료였고 마찬가지로 실천도 1순위는 경험주의적 가족치료로 나타났다.
(5) 가족의 기능회복과 가족 간 문제 해결 기술 강화
중요도 1순위는 행동치료기법, 실천도 1순위는 구조적 가족치료기법으로 나타났다.
(6) 긍정적인 미래 준비 (7) 중요도 실천도 일치 여부
위와 같은 사항들을 점검하고 참고하여 델파이 기법을 실시하였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아동 가족에 대한 개입을 하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델파이 기법을 통해 가족중심개입 프로그램의 목표와 각 목표별 개입 방법을 도출하고 중요도와 실천도를 밝힌 연구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대상으로는 가해자가 친인척인 경우로 하며,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개별적인 치료 후 연합 회기 진행이 필요하다.
둘째, 프로그램의 목표로는 성폭력 책임을 가해자에게 인지시키기, 가족 구성원 간 부정적 경험 공유와 이해, 가족 간 감정 외재화와 이해를 통한 관계 강화, 가족의 기능회복과 가족 문제 해결 기술 강화, 긍정적인 미래 준비가 설정되었다.
셋째, 각 목표별 개입 방법은 중요도와 실천도를 고려하여 도출되었다. 성폭력 책임을 가해자에게 인지시키기는 감정과 지지가 중요한 방법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목표들에 대해서도 중요한 방법이 제시되었다. 중요도와 실천도가 일치하지 않는 몇 가지 개입방법이 있으며, 실무자들이 중요하게 여기지만 현장에서 제약으로 실천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프로그램의 실제 적용 여부를 검증하지 않았으며, 각 세팅의 참여 실무자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점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향후 프로그램을 시범 적용하고 수정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 세팅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Ⅵ. 참고 문헌
1. 한인영, 문현주, & 구혜완. (2015). 친족성폭력 피해아동 가족중심개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FGI 와 델파이 기법을 통하여.한국가족복지학,47, 137-16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