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서론
2. 본론
(1) 소독과 멸균의 정의
(2) 소독 방법
1) 페놀류
2) 산화제류
3) 알코올류
4) 알데히드류
5) 산 및 알칼리류
(3) 멸균 방법
1) 가열멸균법
2) 여과멸균법
3) 조사멸균법
4) 가스멸균법
(4) 미용 매장에 소독과 멸균법 적용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소독과 멸균의 정의
(2) 소독 방법
1) 페놀류
2) 산화제류
3) 알코올류
4) 알데히드류
5) 산 및 알칼리류
(3) 멸균 방법
1) 가열멸균법
2) 여과멸균법
3) 조사멸균법
4) 가스멸균법
(4) 미용 매장에 소독과 멸균법 적용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99.97% 제거할 수 있다.
3) 조사멸균법
조사멸균법은 2가지 방식이 존재하는데, 이온화 조사멸균법은 60CO 또는 137Cs 등의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감마선을 조사하고 자외선 멸균법은 254 nm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멸균시키는 방식이다.
4) 가스멸균법
화학물질의 가스를 이용해서 멸균하는 방식이다. 단백질이나 핵산의 세포내 구성물을 알킬화하여 제거하는 방식이다. 단백질을 알킬화하면 독성도 높고 폭발도 쉬워서 이산화탄소를 혼합한다.
(4) 미용 매장에 소독과 멸균법 적용
필자가 매장 운영에 소독과 멸균법 중 일부를 선택하여 적용한다면 가장 기본적으로 이용되는 알코올류 소독법을 활용할 듯하다. 이유는 코로나 발생 이후 곳곳에 손 소독제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듯이 구하기 쉬운 재료이고 희석하여 분무기에 넣어놓으면 언제든 손쉽게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멸균법에서는 가스멸균법을 이용할 것 같다. 자가용에도 차 내부에 화학물질을 이용한 연기를 활용해서 에어컨과 실내공기, 각종 유해균을 제거하는 제품이 판매중이다. 그와 비슷한 제품으로 실내에도 가스를 이용해서 각종 병원체를 제거할 수 있는 제품이 있다. 그것을 활용해서 자주는 못하겠지만 가끔씩 미용 매장에 가스 소독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황사가 심한 날에는 공기청정기에 헤파 필터를 넣어서 여과멸균법도 함께 사용하면 효과가 배가 될 수 있을 듯하다. 미용 제품 중 가위와 같은 제품은 확실한 멸균 효과를 위해 가열된 높은 온도의 물을 활용하여 멸균하는 방식을 고려해 볼 수도 있겠다.
3. 결론
코로나 발생 이후에 손 소독제를 자주 활용하면서도 다른 소독 방법에 대해서는 미처 생각해 보지 않았다. 이번 레포트를 통해서 여러 소독 및 멸균법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소독과 멸균의 차이에 대해서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강한 소독제는 그만큼 자극이 강해서 사용이 제한적이라는 점과 각 소독 및 멸균 방식이 병원체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미용 매장을 운영한다고 가정하고 어떤 소독 및 멸균법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보면서 소독과 멸균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4. 참고문헌
1. http://contents.kocw.or.kr/contents4/document/lec/2013/
Duksung/ShinHeasoon/14.pdf 덕성여대 수업자료, 제6장 멸균과 소독
3) 조사멸균법
조사멸균법은 2가지 방식이 존재하는데, 이온화 조사멸균법은 60CO 또는 137Cs 등의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감마선을 조사하고 자외선 멸균법은 254 nm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멸균시키는 방식이다.
4) 가스멸균법
화학물질의 가스를 이용해서 멸균하는 방식이다. 단백질이나 핵산의 세포내 구성물을 알킬화하여 제거하는 방식이다. 단백질을 알킬화하면 독성도 높고 폭발도 쉬워서 이산화탄소를 혼합한다.
(4) 미용 매장에 소독과 멸균법 적용
필자가 매장 운영에 소독과 멸균법 중 일부를 선택하여 적용한다면 가장 기본적으로 이용되는 알코올류 소독법을 활용할 듯하다. 이유는 코로나 발생 이후 곳곳에 손 소독제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듯이 구하기 쉬운 재료이고 희석하여 분무기에 넣어놓으면 언제든 손쉽게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멸균법에서는 가스멸균법을 이용할 것 같다. 자가용에도 차 내부에 화학물질을 이용한 연기를 활용해서 에어컨과 실내공기, 각종 유해균을 제거하는 제품이 판매중이다. 그와 비슷한 제품으로 실내에도 가스를 이용해서 각종 병원체를 제거할 수 있는 제품이 있다. 그것을 활용해서 자주는 못하겠지만 가끔씩 미용 매장에 가스 소독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황사가 심한 날에는 공기청정기에 헤파 필터를 넣어서 여과멸균법도 함께 사용하면 효과가 배가 될 수 있을 듯하다. 미용 제품 중 가위와 같은 제품은 확실한 멸균 효과를 위해 가열된 높은 온도의 물을 활용하여 멸균하는 방식을 고려해 볼 수도 있겠다.
3. 결론
코로나 발생 이후에 손 소독제를 자주 활용하면서도 다른 소독 방법에 대해서는 미처 생각해 보지 않았다. 이번 레포트를 통해서 여러 소독 및 멸균법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소독과 멸균의 차이에 대해서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강한 소독제는 그만큼 자극이 강해서 사용이 제한적이라는 점과 각 소독 및 멸균 방식이 병원체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미용 매장을 운영한다고 가정하고 어떤 소독 및 멸균법을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보면서 소독과 멸균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4. 참고문헌
1. http://contents.kocw.or.kr/contents4/document/lec/2013/
Duksung/ShinHeasoon/14.pdf 덕성여대 수업자료, 제6장 멸균과 소독
추천자료
소독과 멸균의 차이
반영구 화장의 개념, 기법 및 비 의료인 시술의 합법화에 대한 견해
공중보건학 ) 알마아타 선언에서의 1차 보건의료사업에 대하여 본인의 의견을 제시해 보시기 ...
소독법과전염병학_ 멸균방법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하시오.
모발과학 모발의 성장에 영향(탈모)에 미치는 요인을 논쟁점과 관련 된 질문 중 한가지를 선...
소독법과전염병학) 자외선 조사는 자외선으로 멸균하는 방법으로 파장의 살균력이 강하여 무...
미용관련 분야에서 소독 및 전염병학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설명하시오
미용관련 분야에서 소독 및 전염병학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설명하시오.
미용관련 분야에서 소독 및 전염병학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설명하시오. 소독법과 전염병학
[소독법과전염병학] 미용기구의 형태와 용도에 따라 소독과 멸균의 방법이 다른 미용기구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