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복지론_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혹은 관심 지역)의 제 5기 지역사회보장계획을 분석하고, 이것을 다른 자치구 한 곳의 지역사회보장계획과 비교 분석하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복지론_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혹은 관심 지역)의 제 5기 지역사회보장계획을 분석하고, 이것을 다른 자치구 한 곳의 지역사회보장계획과 비교 분석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동해시의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
1) 지자체는 무엇을 하려 하는가?
2) 지자체는 무엇을 추구하는가?
3) 전주시의 제5기 지역사회보장계획과 비교를 하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고 있다.
목표로서는 돌봄이 굉장히 촘촘하게 되어 있다. 전략사업의 이름도 ‘촘촘하고 든든한 돌봄 실현’이다. 아동돌봄통합정보센터 구축, 온종일 돌봄지원, 지역사회 통합돌봄사업 등을 추진하면서 저출산 시대의 분위기를 제5기 계획에서는 상당히 반영하고 있다. 이에 더해 고령화에 대비한 세부 사업도 훨씬 더 다양하다. 다양한 간병이나 치매 관련 사업 외에, 어르신 병원 동행서비스는 제4기 동해의 계획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사업이다.
전주시는 또 일자리에 대한 사업이 청년이나 여성을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다. 청년취업 지원강화, 청년농업인 육성 사업, 여성재도전 사관학교 운영, 온두레공동체 활성화 사업 등 동해가 노인 취업에 초점을 맞췄다면 전주는 청년들의 이탈을 막고 오히려 타지역의 청년들을 끌어오고자 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분명히 제4기와 제5기에 따른 변화가 두드러진다. 인구 구성은 더 고령화되었고, 출산율은 더 낮아졌다. 이에 따라 저출산을 극복하고 고령화사회를 대비하고자 하는 복지서비스가 제5기의 경우 더욱 촘촘해질 수밖에 없다. 또한 도시 규모가 다르니 현재 거주하는 청년의 숫자도 다르기에, 동해가 청년의 일자리 복지서비스를 거의 포기하고 있는 반면(제5기의 경우가 어찌 될는지 궁금해진다), 전주는 청년의 유출을 막고자 한다는 점에서, 도시 규모 및 인구 수준에 의한 차이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3. 결론
지역사회보장계획을 들여다본 것은 굉장히 놀라운 경험이었다. 그저 나라에서 하는 일로만 여겨졌던 지역 내 복지사업이, 철저한 조사와 계획하에 시행되고 있었다는 점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통상 적어도 100매 이상, 많으면 300매에 가까워지는 계획서를 들여다보며 공무원과 민간전문가의 노력에 경의를 표하지 아니할 수 없다.
계획서가 필요한 이유는, 근본적으로 계획이 있으면 철저하고 정확하게 사업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계획서를 잘 살펴보면 예산 항목이 기재돼 있고 완료 목표 기간이 설정되어 있어 예산의 획득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생각이 든다. 잘 만들고 설득력 있는 지역사회보장계획은 사업 추진의 원동력이 될것이라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쉽게도 계획에 실려있어도 실행되지 못하는 사업이 많이 보이긴 하지만, 좋은 계획이 존재한다면 좋은 사업도 언젠가 실현될 것이라 믿게 된다.
Ⅳ. 참고문헌
제4기 동해시 지역사회보장계획
제5기 전주시 지역사회보장계획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5.03.04
  • 저작시기202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81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