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방사연습_양주지역 향토문화전자대전 재구성 방안에 대한 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지방사연습_양주지역 향토문화전자대전 재구성 방안에 대한 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양주의 지리적, 문화권적 특징
1-1. 양주의 지리적 특징
1-2. 조선 이전의 양주의 변천
1-3. 양주의 호족

Ⅱ.양주의 역사적 특징
2-1. 양주의 향반
2-2. 조선시대의 양주
2-3. 양주의 해유령 전투
2-4. 양주의 근대와 현대
2-5. 양주와 과학기술

Ⅲ.양주의 문화
3-1. 양주의 관광자원
3-2. 양주의 정기시
3-3. 양주의 임꺽정

Ⅳ.맺음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하지만 그 대상이 양반 토호의 재물을 빼앗는 것이며, 관군의 방비와 토벌대의 허점을 교묘히 따돌리고 물리치며 세력을 확장하여 관청을 습격하여 빼앗은 재물을 빈민에게 나누어주어 의적으로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몇 차례 관군을 보내어 진압하고자 했으나 실패하고, 1559년 개성부 포도관 이억근 마저 잡아 죽인 이로하가 있다. 결국 1560년 가을부터는 서울까지 진출하였으나 그 해 11월에 참모인 서림이 잡히면서 결정적인 타격이 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1561년에는 정부의 대대적인 토벌이 전개되었고, 형인 가도치가 체포되면서 세력은 위축되어 결국 남치근의 관군의 추격을 받아 1562년 1월 서흥에서 체포당해 15일 만에 죽음에 이르게 되었다.
『명종실록』에 그 이름이 등장하는데, 그는 \"도적이 되는 것은 도적질하기 좋아서가 아니다. 배고픔과 추위에 절박하여 부득이하게 그리 된 것뿐이다. 그렇다면 백성을 도적으로 만드는 자는 누구인가?\" 라고 당대 위정자들을 꼬집었다고 한다. 결국 도적을 만들어낸 것은 사회, 경제적인 모순이 격화되고 이를 중앙 정부가 제대로 제어하지 못하면서 발생한 것이다.
비록 실패로 끝나기는 했지만, 이 사건은 정부와 지배층에게는 불안과 공포를 안겨주면서 농민들에게는 희망을 안겨주었다고 한다. 이에 따라 평가도 상반되어 지배층은 그를 흉악한 도적으로 기록하였지만 백성들에게 그는 \'의적\'이었다. 그 결과 임꺽정에 관한 많은 설화가 만들어져 유통되었고, 벽초 홍명희는 이를 소설로 만들었다.
사실 임꺽정의 주요 활동 무대가 양주는 아니었지만, 임꺽정이 양주 출신이었기에 그가 전개한 활약이 일정 정도 이해된다는 부분에서 당시 양주가 어떤 위치에 있었는지를 역설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양의 외각에 위치한 양주목은 도적 집단에게 유통 정보와 중앙 정부의 정보, 동향 탐지, 장물 처리에 있어 유용한 루트로 확보되어 활용되었을 것을 유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임꺽정. (2023.11.27.).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658971&cid=51886&categoryId=53530
Ⅳ. 맺음말
지금까지 양주시의 다양한 역사적 발전과 현재의 발전 양상에 문화까지 다양한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 글은 디지털보령문화대전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을 좀 더 심화하여 알아보고자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특히나 양주시가 현재 서울 근처의 경기도에 있으며, 이전에 서울 일대를 ‘양주’라고 불렀을 만큼이나 중요한 도시였다는 점에 근거하여 고대부터 현재까지의 역사에 중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특히나 양주시에 있는 회암사지가 불교사적인 의미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관련 기록을 세세하게 살펴보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임꺽정의 사례를 들어 양주시가 가진 지정학적 특징을 설명하고자 하였고, 이외에도 임진왜란 당시 육지에서 첫 승전보를 울렸던 해유령 전투와 같은 몇 개의 사건을 중심으로 소개한바, 과거의 사건을 충분히 다루고 있다.
비록 이름이 달라지긴 하였으나, 양주시는 과거부터 유구하게 중요한 지역으로 취급받으며 언제나 점령하고 싶은 대상 중 하나였던 터라 많은 자료가 남아 있어 자료를 조사하는 데에 있어 큰 어려움은 없었지만 현재의 모습을 구현하는 데에는 특징적인 것을 많이 찾지 못해 아쉬움이 남는다.
Ⅴ. 참고문헌
김병륜, 『매초성전투-나당전쟁 최후의 결전』(국방홍보원, 2006)
『양주 땅이름의 역사』(양주군·양주문화원, 200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호족. (2023.11.28.).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28173&cid=46620&categoryId=46620
정청주, 『신라말 고려초 호족연구』(일조각, 1996)
정만조 외, 『조선시대 경기북부지역 집성촌과 사족』(국민대학교 출판부, 2004)
두산백과. 풍양조씨. (2023.11.27.).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23406&cid=40942&categoryId=31639
이도남, 「조선시대 양주지방사 연구」(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4)
두산백과. 해유령 전투. (2023.11.28.).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02714&cid=40942&categoryId=31661
『양주군의 역사와 문화유적』(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양주군, 199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김상원. (2020). 관광자원 분류에 관한 일고찰 -경기도 양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16(4), 115-133. 10.35173/NATR.16.4.6
오세덕. (2019). 양주 회암사지 유구 분석을 통해 본 시기성과 조선시대 사찰에 미친 영향. 불교미술사학, 28, 101-12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회암사지. (2023.11.27.).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5527
김경미. (2021). 양주 회암사지 석조불상의 양식과 가치 연구. 미술사학연구, 312(312), 109-139.
『양주군지』(양주문화원, 1992)
조영준. (2021). 조선후기 시장과 상업의 장기 변동에 대한 재검토: 18-19세기 장시(場市) 통계를 중심으로. 경제사학, 76(0), 239-264.
한국사 사전. 장시. (2023.11.27.).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60266&cid=47306&categoryId=47306
문화원형백과. 시장의 기능. (2023.11.27.).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745136&cid=49216&categoryId=49216
『양주군의 역사와 문화유적』(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양주군, 1998)
네이버 지식백과. 임꺽정. (2023.11.27.).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658971&cid=51886&categoryId=53530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5.03.06
  • 저작시기202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86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