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론-
-실습-
1. 목적
2. 재료 및 실험 방법
3. 결과
4. 결과 토의 및 고찰
-실습-
1. 목적
2. 재료 및 실험 방법
3. 결과
4. 결과 토의 및 고찰
본문내용
어 있는 cell들 사이에 빈틈이 생기게 되는데 이런 빈틈을 그냥 둔다면 나중에 1차 항체를 넣었을 때 세포에 붙지 않고 빈틈에 붙게 되고, 필요 없는 반응, 즉 비특이 반응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blocking은 굉장히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과정마다 "PBS 5min. 3times washing" 을 하게 되는데 이건 전 단계의 잔해물 제거에 필요한 과정이다. 1, 2차 항체 투여시 역시, 남아서 떠다니는 항체들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항체를 희석하는 이유는 항체의 농도가 진할 경우 여기저기 막 붙기 때문에 역시 깔끔한 염색을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DAB는 갈색의 발색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항체가 갈색으로 보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기간 상으로 보면 1달 이상이 걸린 실험인데, 그나마 항체 투여반응 앞 단계는 조교님이 해주셔서 금방 끝나게 되었다. 현미경을 통해서 보기는 했지만, 항체를 눈으로 봤다는 것, 즉 이론상으로만 들어왔던 항원-항체 반응을 실제로 보니 신기한 감이 들었다. 아직도 우리 주위엔 이론상으로만 들어온 것이 너무나도 많이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전에 리포트를 작성할 때 본 그림에선 다양한 색으로 발색이 되었는데, 그렇게 화려한 모습을 볼 수 없었던 것은 약간 아쉬웠다. 그리고 앞 과정에서 쥐의 눈 정맥에서 채혈할 때 생각보다 잘되지 않아 아쉬웠다. 실험 시 기다려야 하는 시간만 잘 활용한다면, 알찬 실험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무엇보다 다른 실험과 달리 개인에게 많은 기회가 주어져서 좋았던 실험이었다.
이렇게 기간 상으로 보면 1달 이상이 걸린 실험인데, 그나마 항체 투여반응 앞 단계는 조교님이 해주셔서 금방 끝나게 되었다. 현미경을 통해서 보기는 했지만, 항체를 눈으로 봤다는 것, 즉 이론상으로만 들어왔던 항원-항체 반응을 실제로 보니 신기한 감이 들었다. 아직도 우리 주위엔 이론상으로만 들어온 것이 너무나도 많이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전에 리포트를 작성할 때 본 그림에선 다양한 색으로 발색이 되었는데, 그렇게 화려한 모습을 볼 수 없었던 것은 약간 아쉬웠다. 그리고 앞 과정에서 쥐의 눈 정맥에서 채혈할 때 생각보다 잘되지 않아 아쉬웠다. 실험 시 기다려야 하는 시간만 잘 활용한다면, 알찬 실험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무엇보다 다른 실험과 달리 개인에게 많은 기회가 주어져서 좋았던 실험이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