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목표
실험방법
실험결과
고찰결과
실험방법
실험결과
고찰결과
본문내용
3‘75
평균침강속도
(cm/s)
18.05
16.53
15.48
27.86
26.67
26.67
이론값(cm/s)
17.90
17.62
14.87
32.99
32.02
32.32
Reynolds수
206.28
188.91
176.91
636.8
609.6
609.6
항력계수
0.76
0.80
0.83
0.38
0.39
0.39
직경(cm)
0.3
0.4
평균부피(㎤)
0.014137
0.033510
위치
상
중
하
상
중
하
평균질량(g)
0.03562
0.03558
0.03654
0.08314
0.08292
0.0830
평균밀도(㎎/㎣)
2.520
2.517
2.585
2.481
2.474
2.477
평균침강시간 (sec)
2‘63
2‘84
2‘79
2‘36
2‘30
2‘39
평균침강속도
(cm/s)
38.02
35.21
35.84
42.37
43.48
41.84
이론값(cm/s)
38.60
38.56
39.41
43.99
43.89
43.93
Reynolds수
1303.54
1207.2
1228.8
1936.91
1987.66
1912.69
항력계수
0.4
0.4
0.4
0.4
0.4
0.4
직경(cm)
0.5
평균부피(㎤)
0.065450
위치
상
중
하
평균질량(g)
0.16108
0.16072
0.16194
평균밀도(㎎/㎣)
2.461
2.452
2.474
평균침강시간 (sec)
1‘95
2‘11
2‘17
평균침강속도
(cm/s)
51.28
47.39
46.08
이론값(cm/s)
48.85
48.70
49.07
Reynolds수
2930.29
2708
2633.14
항력계수
0.4
0.4
0.4
고 찰
결 과
- 혼탁물에서 구슬의 직경이 작은 것은 측정하기가 어려워 유성 매직으로 색을 입힌 뒤에 질량을 측정한 뒤에 침강 속도를 측정하였다.
- 구슬의 직경과 질량이 클수록 침강속도는 빠르다.
- 침강속도가 이론값보다 빠른 것도 있고 느린 것도 있는데 이렇게 나온 이유는 기계로 침강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눈으로 측정을 하여서 오차가 생긴 것 같다.
(가속도 운동을 하는 구간이 등속도 운동을 하는 구간보다 속도가 더 빠른 경우가 나왔다.)
- 혼탁물과 맑은물에서 측정을 하여 속도를 비교할려고 했으나, SS농도가 낮아서 그런지 생각보다 침강속도의 차이가 없었다.
(예상은 부유물질이 있는 혼탁물에서 침강 할 때는 마찰 등으로 인해 속도가 맑은물보다 늦을거라 생각했지만 별 차이는 없었다.)
평균침강속도
(cm/s)
18.05
16.53
15.48
27.86
26.67
26.67
이론값(cm/s)
17.90
17.62
14.87
32.99
32.02
32.32
Reynolds수
206.28
188.91
176.91
636.8
609.6
609.6
항력계수
0.76
0.80
0.83
0.38
0.39
0.39
직경(cm)
0.3
0.4
평균부피(㎤)
0.014137
0.033510
위치
상
중
하
상
중
하
평균질량(g)
0.03562
0.03558
0.03654
0.08314
0.08292
0.0830
평균밀도(㎎/㎣)
2.520
2.517
2.585
2.481
2.474
2.477
평균침강시간 (sec)
2‘63
2‘84
2‘79
2‘36
2‘30
2‘39
평균침강속도
(cm/s)
38.02
35.21
35.84
42.37
43.48
41.84
이론값(cm/s)
38.60
38.56
39.41
43.99
43.89
43.93
Reynolds수
1303.54
1207.2
1228.8
1936.91
1987.66
1912.69
항력계수
0.4
0.4
0.4
0.4
0.4
0.4
직경(cm)
0.5
평균부피(㎤)
0.065450
위치
상
중
하
평균질량(g)
0.16108
0.16072
0.16194
평균밀도(㎎/㎣)
2.461
2.452
2.474
평균침강시간 (sec)
1‘95
2‘11
2‘17
평균침강속도
(cm/s)
51.28
47.39
46.08
이론값(cm/s)
48.85
48.70
49.07
Reynolds수
2930.29
2708
2633.14
항력계수
0.4
0.4
0.4
고 찰
결 과
- 혼탁물에서 구슬의 직경이 작은 것은 측정하기가 어려워 유성 매직으로 색을 입힌 뒤에 질량을 측정한 뒤에 침강 속도를 측정하였다.
- 구슬의 직경과 질량이 클수록 침강속도는 빠르다.
- 침강속도가 이론값보다 빠른 것도 있고 느린 것도 있는데 이렇게 나온 이유는 기계로 침강속도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눈으로 측정을 하여서 오차가 생긴 것 같다.
(가속도 운동을 하는 구간이 등속도 운동을 하는 구간보다 속도가 더 빠른 경우가 나왔다.)
- 혼탁물과 맑은물에서 측정을 하여 속도를 비교할려고 했으나, SS농도가 낮아서 그런지 생각보다 침강속도의 차이가 없었다.
(예상은 부유물질이 있는 혼탁물에서 침강 할 때는 마찰 등으로 인해 속도가 맑은물보다 늦을거라 생각했지만 별 차이는 없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