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구운몽
-팔(8) 선녀의 인물형상을 중심으로
Ⅰ. 들어가며
1. 구운몽의 저자 프로필
2. 구운몽에 대하여
Ⅱ. 8선녀의 인물형상
1. 주관이 뚜렷하고 총명한 이상적인 여성- 정경패
2. 너그럽고 투기심이 없는 겸손함- 난양공주 이소화
3. 굳은 결심과 변함없는 마음- 진채봉
4. 신분에 맞는 역할과 행동에 충실- 가춘운
5. 신중하고 정숙한 강한 성격- 계섬월
6. 운명을 개척하려는 과감한 남성적 면모- 적경홍
7. 용맹스러운 기질을 갖춘 여성적 영웅- 심요연
8. 겸손하고 자주성이 강한 적극적 면모- 백능파
◈재미로 보는 팔 선녀의 프로필◈
Ⅲ. 나가며
-팔(8) 선녀의 인물형상을 중심으로
Ⅰ. 들어가며
1. 구운몽의 저자 프로필
2. 구운몽에 대하여
Ⅱ. 8선녀의 인물형상
1. 주관이 뚜렷하고 총명한 이상적인 여성- 정경패
2. 너그럽고 투기심이 없는 겸손함- 난양공주 이소화
3. 굳은 결심과 변함없는 마음- 진채봉
4. 신분에 맞는 역할과 행동에 충실- 가춘운
5. 신중하고 정숙한 강한 성격- 계섬월
6. 운명을 개척하려는 과감한 남성적 면모- 적경홍
7. 용맹스러운 기질을 갖춘 여성적 영웅- 심요연
8. 겸손하고 자주성이 강한 적극적 면모- 백능파
◈재미로 보는 팔 선녀의 프로필◈
Ⅲ. 나가며
본문내용
이영애
▶진채봉
진어사의 딸. 양소유의 1첩.
순수하고 올바른 성격의 소유자. 자유분방하면서도 가련한 분위기가 느껴짐.
닮은꼴 연예인: 구혜선
▶가춘운
정경패의 몸종. 양소유의 2첩.
착하고 온순하며 나약한 분위기가 느껴짐.
닮은꼴 연예인: 하지원
▶계섬월
낙양의 명기. 양소유의 3첩.
신중하면서도 정숙. 섬세하면서도 이지적인 분위기가 느껴짐.
닮은꼴 연예인: 한가인
▶적경홍
낙양의 명기. 양소유의 4첩.
포부가 크고 적극적임. 명랑하면서도 낭만적인 분위기가 느껴짐.
특기: 활쏘기
닮은꼴 연예인: 한혜진
▶심요연
토번의 자객. 양소유의 5첩.
여성적인 아름다움과 남성적인 기개를 갖춤. 대장부와 같은 용맹스러운 기질.
특기: 검술
닮은꼴 연예인: 윤은혜
▶백능파
동정 용왕의 막내딸. 양소유의 6첩.
효심이 깊고, 자주성이 강함. 고답적이면서도 신비스러운 분위기가 느껴짐.
특기: 비파 연주
닮은꼴 연예인: 임은경
Ⅲ. 나가며
<구운몽>은 등장인물 사이의 여러 관계를 축으로 하여 전개되고 있으며, 양소유가 팔 선녀들과 혼인을 하면서 이들의 관계가 엮어지는데, 이 과정이나 결과가 상당히 부드럽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작품에 등장하여 결연을 맺는 인물들의 신분 격차는 크지만, 서로의 개성 또한 상이한 것이 흥미롭게 나타난다. 팔 선녀 역시 양소유의 옆에서 묻혀 버리는 개성이 없는 인물이 아니라 각자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자신의 역할을 충분히 감수하고, 또한 주인공과 인연을 맺을 때에는 자아 실현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구운몽>이 인간세상에서 가장 관심인 애정 및 부귀공명에 대해 주인공이 일장춘몽임을 깨닫고 돌아가는 내용이 이 작품의 실질적이고 핵심적인 것이라고 본다면, 그것이 화려하고 장황하게, 흥미 있게 묘사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애욕의 성취과정에는 최소한의 고난이나 장애요인만이 나타날 뿐, 그 성취가 지극히 순조롭다.
양소유가 혼인의 대상과 위안이 대상으로 여성들과 관계를 맺어가고, 두 여자가 한 남자를 섬기는 이야기에서 당시 여성들이 겪었던 삶의 질곡을 읽을 수 있다.
양소유가 만난 팔 선녀들을 살펴보면 그대로 양소유의 이력서를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 팔 선녀를 하나씩 만나는 데서 그의 운명은 그때마다 달라져 가고 있으며 팔 선녀가 한자리에 모여 일가를 이루었을 때 그는 한 선비로서의 모든 목적을 달성하고 완성하게 된다. 양소유를 에워싼 팔 선녀의 얼굴에서 변모해 가는 양소유의 모습을 바라볼 수가 있다. 그만큼 그 여인들은 양소유의 생애와 유기적인 연관을 맺고 있는 까닭이다.
<구운몽>은 비록 중세적 질서와 관념적 세계로의 향수가 짙게 배어 나온다고 볼 수 있지만, 꿈의 형식을 빌어 등장한 다양한 인물들의 성격묘사는 상당한 규모의 독자층을 형성하였다는 것에서 문학사적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등장인물들의 이상적인 욕망의 성취 과정을 보여주면서, 사회적·역사적 존재로서의 삶의 진정한 가치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제시하고 있다. 작가의 이러한 현실 인식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삶의 방식을 반성해 보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으며, 삶의 목표를 어디에 두어야 하며 어떠한 삶을 사는 것이 이상적이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무엇이 필수적이라 생각하는지를 되돌아보게 한다.
참고문헌
김상욱, 『구운몽』, 하서출판사, 2006.
박일용, 「인물형상을 통해서 본 <구운몽> 의 낭만적 경향성」,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984.
한문수, 「<구운몽>에 나타난 팔 선녀 인물형상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재봉틀의 국어방 http://blog.naver.com/kwank99?Redirect=Log&logNo=30020354823
▶진채봉
진어사의 딸. 양소유의 1첩.
순수하고 올바른 성격의 소유자. 자유분방하면서도 가련한 분위기가 느껴짐.
닮은꼴 연예인: 구혜선
▶가춘운
정경패의 몸종. 양소유의 2첩.
착하고 온순하며 나약한 분위기가 느껴짐.
닮은꼴 연예인: 하지원
▶계섬월
낙양의 명기. 양소유의 3첩.
신중하면서도 정숙. 섬세하면서도 이지적인 분위기가 느껴짐.
닮은꼴 연예인: 한가인
▶적경홍
낙양의 명기. 양소유의 4첩.
포부가 크고 적극적임. 명랑하면서도 낭만적인 분위기가 느껴짐.
특기: 활쏘기
닮은꼴 연예인: 한혜진
▶심요연
토번의 자객. 양소유의 5첩.
여성적인 아름다움과 남성적인 기개를 갖춤. 대장부와 같은 용맹스러운 기질.
특기: 검술
닮은꼴 연예인: 윤은혜
▶백능파
동정 용왕의 막내딸. 양소유의 6첩.
효심이 깊고, 자주성이 강함. 고답적이면서도 신비스러운 분위기가 느껴짐.
특기: 비파 연주
닮은꼴 연예인: 임은경
Ⅲ. 나가며
<구운몽>은 등장인물 사이의 여러 관계를 축으로 하여 전개되고 있으며, 양소유가 팔 선녀들과 혼인을 하면서 이들의 관계가 엮어지는데, 이 과정이나 결과가 상당히 부드럽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작품에 등장하여 결연을 맺는 인물들의 신분 격차는 크지만, 서로의 개성 또한 상이한 것이 흥미롭게 나타난다. 팔 선녀 역시 양소유의 옆에서 묻혀 버리는 개성이 없는 인물이 아니라 각자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자신의 역할을 충분히 감수하고, 또한 주인공과 인연을 맺을 때에는 자아 실현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구운몽>이 인간세상에서 가장 관심인 애정 및 부귀공명에 대해 주인공이 일장춘몽임을 깨닫고 돌아가는 내용이 이 작품의 실질적이고 핵심적인 것이라고 본다면, 그것이 화려하고 장황하게, 흥미 있게 묘사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애욕의 성취과정에는 최소한의 고난이나 장애요인만이 나타날 뿐, 그 성취가 지극히 순조롭다.
양소유가 혼인의 대상과 위안이 대상으로 여성들과 관계를 맺어가고, 두 여자가 한 남자를 섬기는 이야기에서 당시 여성들이 겪었던 삶의 질곡을 읽을 수 있다.
양소유가 만난 팔 선녀들을 살펴보면 그대로 양소유의 이력서를 작성할 수 있을 것이다. 팔 선녀를 하나씩 만나는 데서 그의 운명은 그때마다 달라져 가고 있으며 팔 선녀가 한자리에 모여 일가를 이루었을 때 그는 한 선비로서의 모든 목적을 달성하고 완성하게 된다. 양소유를 에워싼 팔 선녀의 얼굴에서 변모해 가는 양소유의 모습을 바라볼 수가 있다. 그만큼 그 여인들은 양소유의 생애와 유기적인 연관을 맺고 있는 까닭이다.
<구운몽>은 비록 중세적 질서와 관념적 세계로의 향수가 짙게 배어 나온다고 볼 수 있지만, 꿈의 형식을 빌어 등장한 다양한 인물들의 성격묘사는 상당한 규모의 독자층을 형성하였다는 것에서 문학사적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등장인물들의 이상적인 욕망의 성취 과정을 보여주면서, 사회적·역사적 존재로서의 삶의 진정한 가치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제시하고 있다. 작가의 이러한 현실 인식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삶의 방식을 반성해 보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으며, 삶의 목표를 어디에 두어야 하며 어떠한 삶을 사는 것이 이상적이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무엇이 필수적이라 생각하는지를 되돌아보게 한다.
참고문헌
김상욱, 『구운몽』, 하서출판사, 2006.
박일용, 「인물형상을 통해서 본 <구운몽> 의 낭만적 경향성」,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984.
한문수, 「<구운몽>에 나타난 팔 선녀 인물형상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재봉틀의 국어방 http://blog.naver.com/kwank99?Redirect=Log&logNo=30020354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