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바이오칩/바이오센서의 개요 및 적용 분야
2. 바이오칩/바이오센서의 시장 동향과 전망
3. 바이오칩/바이오센서의 기술 동향과 전망
4. 맺음말
2. 바이오칩/바이오센서의 시장 동향과 전망
3. 바이오칩/바이오센서의 기술 동향과 전망
4. 맺음말
본문내용
작방법 등이 있으며, 플라스틱 금속 공정으로는, David Sarnoff Research Center의 마이크로 크기의 진동형 박막제조 공정, Caliper Technologies사의 PMMA(polymethyl metacrylate)를 이용한 유체 시스템 제작 기술 등이 있다. 미국의 Caliper Technologies는 기존의 분석 장치에 많이 도입된 FIA(flow injection analysis) 기술을 시스템화하는데 필수적인 시료의 전처리와 관련된 유체제어 키트를 개발하였다. HP, STMicroelectronics, Infineon, Hitachi, Toshiba 등 기존의 거대 전자업체들이 기존의 반도체 사업을 바탕으로 바이오칩 검출, 분석 기술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 기술 현황을 살펴보면, 생명공학연구원 등은 DNA칩을 제작하는데 기존의 기술을 사용함으로서 고가의 관련 장비구입, 막대한 시약 비용 및 인력 비용, 시간 손실을 감내하고 있는 실정이며, 본격적인 연구개발을 위한 조직의 구성 및 지원 등의 기반은 아직 취약한 상태이다. LG전자 기술연구원, 삼성종합 기술원을 선두로 한 국내 대기업과 전자통신연구원, 생명공학연구원 등 국가출연연구원 및 바이오 중소벤처기업 등에서는 일부 바이오센서와 칩 설계 부분에서 소프트웨어를 자체 개발하고 있으나, 앞으로 주 기술로 예측되는 반도체 기반 바이오센서 구현 기술력은 바이오 기술에 반도체 기술, 전기화학 기술 등의 접목 협력 체제 부족 또는 후진성 등으로 인해 극히 미미한 실정에 있다.
4. 맺음말
바이오센서/바이오칩은 측정의 간편화, 실시간 측정 감도 향상, 신뢰성 향상, 장수명화 등에 더 많은 관심이 기울어지고 있다. 또한 얇은 막의 약한 접착력, 감도의 심한변화, 구성품의 결여, 잡음간섭, 분석물 탐지의 특이성, 소형화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타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시험 안정성이 높고, 데이터 프로세싱 능력이 우수하고, 다양한 분석능력을 갖으며, 소형이면서 사용이 간편하고 가격이 낮으며 수명이 긴 바이오센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바이오센서가 지니고 있는 엄청난 성장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사회적인 인식과 지원이 매우 부족한 상태이고, 아직도 많은 부분이 수입ㆍ공급되고 있어, 수입대체를 위한 기술개발 및 국내 업체의 지원육성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바이오칩 기술은 그 자체로도 중요하지만, 이 기술을 사용할 연구 대상, 즉 생물학적 정보가 융합되어야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미 바이오칩 기술의 선진국들은 많은 양의 생물학적 정보를 축적하고 있는 상태여서 이 축적된 정보에 바이오칩 기술을 적용하여 바이오 산업이나 연구에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바이오칩 개발의 기술의 초점이 주로 마이크로어레이 제작 기술에 맞추어진 것에 비해, 향후에는 MEMS, 로보틱스, CAD, 데이터마이닝, 그리고 프린팅 기술과 같은 주변 기술의 발전에 더욱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기술간 활발한 상호 교류도 요구되고 있다.
국내 기술 현황을 살펴보면, 생명공학연구원 등은 DNA칩을 제작하는데 기존의 기술을 사용함으로서 고가의 관련 장비구입, 막대한 시약 비용 및 인력 비용, 시간 손실을 감내하고 있는 실정이며, 본격적인 연구개발을 위한 조직의 구성 및 지원 등의 기반은 아직 취약한 상태이다. LG전자 기술연구원, 삼성종합 기술원을 선두로 한 국내 대기업과 전자통신연구원, 생명공학연구원 등 국가출연연구원 및 바이오 중소벤처기업 등에서는 일부 바이오센서와 칩 설계 부분에서 소프트웨어를 자체 개발하고 있으나, 앞으로 주 기술로 예측되는 반도체 기반 바이오센서 구현 기술력은 바이오 기술에 반도체 기술, 전기화학 기술 등의 접목 협력 체제 부족 또는 후진성 등으로 인해 극히 미미한 실정에 있다.
4. 맺음말
바이오센서/바이오칩은 측정의 간편화, 실시간 측정 감도 향상, 신뢰성 향상, 장수명화 등에 더 많은 관심이 기울어지고 있다. 또한 얇은 막의 약한 접착력, 감도의 심한변화, 구성품의 결여, 잡음간섭, 분석물 탐지의 특이성, 소형화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타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시험 안정성이 높고, 데이터 프로세싱 능력이 우수하고, 다양한 분석능력을 갖으며, 소형이면서 사용이 간편하고 가격이 낮으며 수명이 긴 바이오센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바이오센서가 지니고 있는 엄청난 성장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사회적인 인식과 지원이 매우 부족한 상태이고, 아직도 많은 부분이 수입ㆍ공급되고 있어, 수입대체를 위한 기술개발 및 국내 업체의 지원육성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바이오칩 기술은 그 자체로도 중요하지만, 이 기술을 사용할 연구 대상, 즉 생물학적 정보가 융합되어야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미 바이오칩 기술의 선진국들은 많은 양의 생물학적 정보를 축적하고 있는 상태여서 이 축적된 정보에 바이오칩 기술을 적용하여 바이오 산업이나 연구에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바이오칩 개발의 기술의 초점이 주로 마이크로어레이 제작 기술에 맞추어진 것에 비해, 향후에는 MEMS, 로보틱스, CAD, 데이터마이닝, 그리고 프린팅 기술과 같은 주변 기술의 발전에 더욱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기술간 활발한 상호 교류도 요구되고 있다.
추천자료
바이오매스(하수오니)의 에너지 이용기술 확립
[센서, 졸업발표]습도센서 (정의,용어, 특징, 사례등 전반적내용과 국내외시장규모,현황, 문...
태양에너지(태양열, 태양광)의 특징, 태양에너지(태양열, 태양광)의 원리, 태양에너지(태양열...
진동센서를 이용한 오실로 스코프제작(랩뷰)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물체 검출회로
PSD센서를 이용한 근접 장애물 인식 및 충돌회피
해조류를 이용한 종이 및 바이오 에너지 생산의 경제적 가치
바이오 에너지 개발 현황과 과제
자동차 - 유채를 이용한 바이오 디젤 엔진
상하수도 관리현황 및 개선대책 - 상하수도 사업 현황 및 문제점 & 개선대책 (상하수도 ...
AVR을 이용하여 적외선센서(수,발광) 제어하기 (IR센서제어,라인트레이서,적외선 ADC,센서값 ...
AVR을 이용하여 광센서(CDS) 제어 및 취침등 만들기 (광센서 제어,CDS,취침등,LED야간등,소스...
AVR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온도측정하기 (디지털온도계 제작,전자온도계 만들기,OPamp,단극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