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0g/mol
조
농도
1 조
10M
2 조
10M
3 조
10M
4 조
10M
5 조
10M
6 조
10M
(2)
의 분자량 : 98.08g/mol, 95%
1L일 때
0.5L로 만들기 때문에 몰농도는 0.064M(=64mM)이다.
※ 노르말 농도
: 0.064mM × 2 = 128mN
NaOH : 10mM × 1 = 10mN
NaOH : 50mL × 10mN = 500
: XmL × 128mN = 500 ∴ X = 3.98mL (이론 적정부피)
1. 다른 조의 결과와 함께 비교한다.
2. 표로 작성
조
적정 부피
1 조
3.7ml
2 조
3.8ml
3 조
3.9ml
4 조
3.9ml
5 조
4.6ml
6 조
3.3ml
평균
3.87ml
※ 이론 적정 부피 : 3.98mL
평균 적정 부피 : 3.87mL
오차율 : 2.76 %
6. 고찰(discussion)
지시약(PH종이)을 이용해 산-염기 적정을 통하여 산-염기 적정법을 이해하는 실험이었다. 이번 실험은 전에 했던 실험보다 비슷했던 실험이었다. 와 NaOH과 증류수를 정확한 부피로 시료를 만들고 나서 비커 안에 준비된 NaOH에 조금씩 떨어뜨린다. 49.1ml 일 때부터 한 방울씩 떨어뜨려 아주 흐린 연두색(중성)이 되도록 만들어야 했다. 떨어뜨리는 동안에 스핀을 만드는 장치인 magnetic bar & 교반기 이용해 섞어 주었다. 아주 흐린 연두색이 아닌 빨간색이나, 진한연두색이 나타나면 실험은 실패한 것 이다. 왜냐하면 그 상태는 중성 상태가 아닌 염기성 상태이기 때문이다. 그 전에 했던 산화 환원 적정과의 내용은 비슷 했지만 실험하는 방법은 약간 달라서 이해하는데 힘이 들었다. 실험 도중에 NaOH 묽힘을 사용하여 용액을 만들고 산화환원을 통하여 미지의 시료의 농도를 알아내는 실험이었다. 여러 시약들의 당량을 생각해야 했었는데 이 점이 매우 혼란스러웠던 것 같다. 실험 결과를 보면 우리조와 다른 조와의 실험 측정값이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똑 같은 장치와 똑같은 시약으로도 같은 실험을 했는데도 실험값에 조금의 차이를 보인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해보았다. 첫째 다른 조와의 실험 측정값 차이가 생긴 원인은 정확한 황산의 농도를 알수 없었던 것 에서 문제점이 발생했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조마다 반응속도와 당량점파악이 힘들어 당량점을 지나고 색에 변화가 뚜렷하지 못해 당량점을 정확히 맞추기가 어려웠다. 두 번째 실험 측정값 차이에 원인은 실험자에 눈이라고 생각된다. 뷰렛의 눈금을 읽을 때 오목한 부분으로 읽는데 밀리미터 단위까지는 정확하게 나오지 않고 눈대중으로 읽기 때문에 평균값의 몰농도와 계산 값의 몰농도가 오차가 났다고 생각한다.
<소수점 첫째짜리 저울>
세 번째 실험 측정값 차이에 원인 질량을 재는 저울이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밖에 나오지 않았던 점에서 좀더 정확하게 측량을 못했던 점에서도 실험에오차가 생겨났다고 생각된다. 네 번째 실험 측정값 차이로는 비커 안에 처음에 물로 씻었기 때문에 그 물기로 인해 부피가 달라져 오차가 났을 것 같다. 그래서 같은 과정의 실험을 각 조별로 1번씩 실험을해 평균값을 구하였다. 지시약(PH종이)의 색이 연두색으로 변화는 과정에서 색의 진하기가 어느 정도이어야 하는지 정확히 알지 못해 교수님의 도움을 받았지만 약간의 오차가 나타났다. 또한 뷰렛의 NaOH를 조금씩 넣어주는 과정에서 맨 밑의 눈금을 지나치도록 넣어버린 것을 대비해 정확한 부피 측정을 위해 처음부터 한 방울씩 적정을 하였다. 이러한 오차를 줄이는 방법으로는 반복 숙달을 통해 실험경험을 쌓아 오차를 줄 여가는 것이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이번 실험을 통해 다소 이해하기 힘들었던 이론적 내용일 실험을 통해 깨우칠 수 있었고 과 NaOH 용액과의 적정을 통해 반응을 알 수 있어고 다시 한번 실험할 기회가 있다면 반복 숙달을 통해 좀 더 정확게 할 수 있을 거라 생각된다.
7. 참고문헌 (reference)
1) 분석화학 / Daniel C. Harris, 김강진외 3명/ 자유아카데미 / 1997 / p. 202~209
2) 기기분석 개론 및 응용 / 최주환 / 교보문고 / 1998년 / p.375~378
3) 최신분석화학 / Daniel C.Harris/ 깅강진 외 3인역/ 자유아카데미/ 2004년/p.173~181
4) http://blog.daum.net/bungai007/8674065
5) http://terms.naver.com/search.nhn?query=%EB%85%B8%EB%A5%B4%EB%A7
조
농도
1 조
10M
2 조
10M
3 조
10M
4 조
10M
5 조
10M
6 조
10M
(2)
의 분자량 : 98.08g/mol, 95%
1L일 때
0.5L로 만들기 때문에 몰농도는 0.064M(=64mM)이다.
※ 노르말 농도
: 0.064mM × 2 = 128mN
NaOH : 10mM × 1 = 10mN
NaOH : 50mL × 10mN = 500
: XmL × 128mN = 500 ∴ X = 3.98mL (이론 적정부피)
1. 다른 조의 결과와 함께 비교한다.
2. 표로 작성
조
적정 부피
1 조
3.7ml
2 조
3.8ml
3 조
3.9ml
4 조
3.9ml
5 조
4.6ml
6 조
3.3ml
평균
3.87ml
※ 이론 적정 부피 : 3.98mL
평균 적정 부피 : 3.87mL
오차율 : 2.76 %
6. 고찰(discussion)
지시약(PH종이)을 이용해 산-염기 적정을 통하여 산-염기 적정법을 이해하는 실험이었다. 이번 실험은 전에 했던 실험보다 비슷했던 실험이었다. 와 NaOH과 증류수를 정확한 부피로 시료를 만들고 나서 비커 안에 준비된 NaOH에 조금씩 떨어뜨린다. 49.1ml 일 때부터 한 방울씩 떨어뜨려 아주 흐린 연두색(중성)이 되도록 만들어야 했다. 떨어뜨리는 동안에 스핀을 만드는 장치인 magnetic bar & 교반기 이용해 섞어 주었다. 아주 흐린 연두색이 아닌 빨간색이나, 진한연두색이 나타나면 실험은 실패한 것 이다. 왜냐하면 그 상태는 중성 상태가 아닌 염기성 상태이기 때문이다. 그 전에 했던 산화 환원 적정과의 내용은 비슷 했지만 실험하는 방법은 약간 달라서 이해하는데 힘이 들었다. 실험 도중에 NaOH 묽힘을 사용하여 용액을 만들고 산화환원을 통하여 미지의 시료의 농도를 알아내는 실험이었다. 여러 시약들의 당량을 생각해야 했었는데 이 점이 매우 혼란스러웠던 것 같다. 실험 결과를 보면 우리조와 다른 조와의 실험 측정값이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똑 같은 장치와 똑같은 시약으로도 같은 실험을 했는데도 실험값에 조금의 차이를 보인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해보았다. 첫째 다른 조와의 실험 측정값 차이가 생긴 원인은 정확한 황산의 농도를 알수 없었던 것 에서 문제점이 발생했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조마다 반응속도와 당량점파악이 힘들어 당량점을 지나고 색에 변화가 뚜렷하지 못해 당량점을 정확히 맞추기가 어려웠다. 두 번째 실험 측정값 차이에 원인은 실험자에 눈이라고 생각된다. 뷰렛의 눈금을 읽을 때 오목한 부분으로 읽는데 밀리미터 단위까지는 정확하게 나오지 않고 눈대중으로 읽기 때문에 평균값의 몰농도와 계산 값의 몰농도가 오차가 났다고 생각한다.
<소수점 첫째짜리 저울>
세 번째 실험 측정값 차이에 원인 질량을 재는 저울이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밖에 나오지 않았던 점에서 좀더 정확하게 측량을 못했던 점에서도 실험에오차가 생겨났다고 생각된다. 네 번째 실험 측정값 차이로는 비커 안에 처음에 물로 씻었기 때문에 그 물기로 인해 부피가 달라져 오차가 났을 것 같다. 그래서 같은 과정의 실험을 각 조별로 1번씩 실험을해 평균값을 구하였다. 지시약(PH종이)의 색이 연두색으로 변화는 과정에서 색의 진하기가 어느 정도이어야 하는지 정확히 알지 못해 교수님의 도움을 받았지만 약간의 오차가 나타났다. 또한 뷰렛의 NaOH를 조금씩 넣어주는 과정에서 맨 밑의 눈금을 지나치도록 넣어버린 것을 대비해 정확한 부피 측정을 위해 처음부터 한 방울씩 적정을 하였다. 이러한 오차를 줄이는 방법으로는 반복 숙달을 통해 실험경험을 쌓아 오차를 줄 여가는 것이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이번 실험을 통해 다소 이해하기 힘들었던 이론적 내용일 실험을 통해 깨우칠 수 있었고 과 NaOH 용액과의 적정을 통해 반응을 알 수 있어고 다시 한번 실험할 기회가 있다면 반복 숙달을 통해 좀 더 정확게 할 수 있을 거라 생각된다.
7. 참고문헌 (reference)
1) 분석화학 / Daniel C. Harris, 김강진외 3명/ 자유아카데미 / 1997 / p. 202~209
2) 기기분석 개론 및 응용 / 최주환 / 교보문고 / 1998년 / p.375~378
3) 최신분석화학 / Daniel C.Harris/ 깅강진 외 3인역/ 자유아카데미/ 2004년/p.173~181
4) http://blog.daum.net/bungai007/8674065
5) http://terms.naver.com/search.nhn?query=%EB%85%B8%EB%A5%B4%EB%A7
추천자료
[분석화학] EDTA의 임상적 이용과 치료
산화 환원 적정 : 과망간산법
[분석화학실험]킬레이트적정
EDTA 적정에 의한 물의 세기 측정 Determination of water hardness by EDTA titration
분석화학실험 중 킬레이트 적정법의 설명과 실 실험을 할 수 있을만한 주제
(분석화학) 비타민 c의 요오드 적정-레포트
[분석화학실험] (결과) 천연수 내에서의 칼슘과 마그네슘의 EDTA 적정 : 식수에 함유되어 있...
[분석화학실험] EDTA Titration (우유속의 칼슘정량) 결과레포트
[분석화학실험]침전적정(은법적정) : 할로겐족 음이온의 정량 결과레포트
[분석화학실험] 분광적정에 의한 구리 분석 결과 결과보고서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