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실습 외과병동 사전학습/외과 질환 정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실습 외과병동 사전학습/외과 질환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용어 및 약어

2. 학습내용
1) 수술 전·후 간호 관리
2) 상처 간호
3) 통증관리
4) 배액관 관리
5) 비경구적 영양(TPN : Total Parenteral Nutrition)
6) 장루간호

3. 주요 질환
1) Esophagus diverticula 식도게실
2) gastritis (위염)
3) Intestinal inflammation (장염)
4) Hemorrhoid(치핵)
5) Hepatitis(간염)
6) Cholelithiasis (담석증)
7) ancreatitis(췌장염)
8) Breast cancer(유방암)
9) Hyperthyroidism(갑상샘 기능항진증)

4. 주요 수술
1) Herniorrhaphy(탈장봉합술)
2) Whipple’ s op.(췌십이지장 절제술)
3) Mastectomy(유방절제술)
4) Hemorrhoidectomy(치핵절제술)
5) Cholecytstectomy (담낭 절제술)
6) Hepatectomy (간절제술)
7) Vagotomy(미주신경전단술)
8) Gastrectomy(위절제술)
9) Chledocholithotomy(총담관결석절개술)
10) Thyroidectomy(갑상샘절제술)
11) Colectomy(결장루술)

본문내용

치핵을 이루는 혈관과 주변 결체 조직을 절제하는 수술
- 치핵의 결찰과 절제술 : 피부에서부터 치핵을 절제하여 뿌리가 되는 동맥을 결찰한 후 치핵 덩어리를 제거한다.
- 점막하 치핵 절제술 : 항문의 점막을 조금 절개한 후 안쪽에서 치핵 부위를 파낸다.
▶ 합병증
- 배뇨곤란 증세를 보일 수 있다.
- 항문 협착증, 출혈, 세균 감염으로 인한 주위 조직의 괴사 가능
▶ 수술 후 간호
- 수술 후 첫 6시간동안 ABR(절대 침상 안정)이 필요하다.
- 6시간이 지난 후 식사가 가능하며 부드러운 음식부터 섭취를 시작한다.
5) cholecytstectomy (담낭 절제술)
▶ 방법 : 통증 혹은 불편감 등의 증상이 있는 담석증의 경우 시행하며, 결석의 크기가 3cm 이상일 때, 결석과 용종이 공존할 때 시행할 수 있다.
▶ 합병증
- 우측 위쪽 복부의 통증, 발열,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 날 수 있다.
- 담낭 절제로 인한 소화기능의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 수술 후 간호
- 소화하기 쉬운 부드러운 음식을 제공해 준다.
- 수술 후 일생동안 저지방 식이를 시행해야 함을 교육한다.
- 황달여부를 확인하고, T-tube 꼬임, 역류 등을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6) Hepatectomy (간절제술)
▶ 방법 : 간을 부분적 혹은 완전 절제하는 수술
▶ 수술 전 간호
- 환자 신체기능의 안정이 중요하다.
- 응고인자의 결핍을 보충하기 위해 Vit K를 투여할 수 있다.
▶ 수술 후 간호
- I/O Check, 몸무게 측정, HCT, Hb, 혈청 알부민 수치를 매일 측정한다.
- 암모니아 수치가 높을 경우 저 단백 식이를 제공해 준다.
- 수술 후 6개월 간 간 기능의 저하가 있음으로 단백질과 나트륨의 섭취를 제한해야 함을 교육한다.
7) Vagotomy(미주신경절제술)
▶ 방법 : 위산분비를 자극하는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시행하는 수술로 줄기 미주신경 절단술과 선택적 미주신경 절단술, 근위 미주신경 절단술 등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
- 줄기 미주신경 절단술 : 각각의 미주신경을 완전히 절단하는 것이다.
- 선택적 미주신경 절단술 : 부분적으로 신경을 절단하고 간, 복강의 신경가지는 보존한다.
- 근위 미주신경 절단술 : 부분적으로 신경을 절단하고 위와 유문괄약근의 신경가지는 보존한다.
▶ 수술 전 간호
- 환자 신체기능의 안정이 중요하다.
▶ 수술 후 간호
- 수술 후 나타날 수 있는 위 배출 문제와 설사 증상을 관찰한다.
- 배액관이 있을 경우 배액의 양상을 확인하고 배액양을 측정한다.
8) Gastrectomy(위 절제술)
▶ 방법 : 위를 절제하는 수술로 Bilroth I, II방법이 있다.
- Bilroth I : 위의 원위부를 제거하고 위의 나머지 부분을 십이지장과 연결하는 것으로 위 십이지장 문합술이라고도 한다.
- Bilroth II : 위를 절제하고 남은 근위부를 공장의 근위부에 연결하는 것으로 위 공장 문합술이라고 하며, 십이지장 궤양 시에도 시행되며 십이지장 궤양의 재발을 감소시키고 덤핑증후군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 수술 전 간호
- 수술 후 합병증이나 교육사항을 자세히 교육한다.
- 수술 전 처치를 실시한다.
▶ 수술 후 간호
- 덤핑증후군 증상이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 식후 20~30분간 누워있도록 한다.
- 소량씩 자주 섭취하며 식후 수분섭취를 금한다.
- 가능한 지방식이를 섭취하며 음식물 정체 시간을 늘리도록 한다.
- Vit B12가 흡수되지 않아 악성빈혈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악성빈혈 증상을 관찰한다.
9) Choledochlithotomy(총담관결석절개술)
▶ 방법 : 결석을 제거하기 위해 총 담관을 절개하는 것이다.
▶ 수술 전 간호
- 환자 신체기능의 안정이 중요하다.
▶ 수술 후 간호
- I/O Check, 몸무게 측정, HCT, Hb, 혈청 알부민 수치를 매일 측정한다.
10) Thyroidectomy(갑상선 절제술)
▶ 방법 : 갑상선을 절제하는 수술로 전체 갑상선 절제술과 부분 갑상선 절제술로 나눌 수 있다.
- 전제 갑상선 절제술 : 암일 경우에 많이 시행하며 완전히 갑상선을 절제한다.
- 부분 갑상선 절제술 : 보통 샘의 5/6를 절제하고 남은 샘의 기능은 정상이다. 보통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나 단순 갑상선종이 심할 경우 시행한다.
▶ 수술 전 간호
- 항갑상선약물, 비타민 보충제를 투여한다.
- 심장문제가 있을 경우 수술 전에 조절한다.
- 맥박을 정상으로 유지하며 EKG상 부정맥이 없어야한다.
- 적당한 제중을 유지하도록 한다.
▶ 수술 후 간호
- Semi - Folwer\'s 체위를 유지하고 베개와 모래주머니로 머리를 지지해준다.
- 심호흡과 기침을 격려하고 폐음을 청진하다.
- 통증완화를 위해 약물을 투여한다.
11) Colectomy(결장 절세술)
▶ 방법 : 결장에 병변이 있을 경우 부분, 전체적으로 결장을 절제하는 수술이다.
- 결장부분 절제술(partial colectomy) : 각 결장을 절제한 다음 단단에서 문합한다.
방광, 요관, 십이지장 등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 결장아전 절제술(subtotal colectomy) : 회장말단부로부터 S상 결장하부내지 직장이행부까지 절제하고 회장과 S상결장이행부내지 직장과 문합한다.
- 결장전절제술(total colectomy) : 회장말단, 맹장, 상행, 횡행, 하행, S상, 직장 및 항문에 이르는 모든 결ㄹ장을 절제한다.
▶ 수술 전 간호
- 수술 전 수술에 대한 충분을 설명과 정보,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 금식 교육을 실시하고 조기 이상을 교육한다.
▶ 수술 후 간호
- 수술에 따라 알맞은 간호를 시행한다.
- 결장루가 있을 경우 관리방법, 소독방법 등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설명한다.
- 수술 부위의 배액량과 출혈량을 정확히 사정한다.
-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심호흡과 체위변경, 기침, 조기이상을 권장한다.
<참고문헌>
· 강현숙 외(2021), 근거기반 기본간호학 상, (수문사)
· 양선희 외(2021), 핵심기본간호수기, (현문사)
· 양선희 외(2020), 기본간호학II, (현문사)
· 윤은자 외(2017), 성인간호학 8판, (수문사)
  • 가격2,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25.09.18
  • 저작시기202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554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