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이 론
(1) 열전달 (Heat transfer)
(2) 자연대류와 강제대류
(3) Grashof number
(4) Reynolds number
3. 실험장치 및 시약
4. 실험방법
5. 참고문헌
2. 이 론
(1) 열전달 (Heat transfer)
(2) 자연대류와 강제대류
(3) Grashof number
(4) Reynolds number
3. 실험장치 및 시약
4. 실험방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내의 점성력이다. Reynolds number가 작으면 점성력이 지배적이고 크면 관성력이 지배적인데, 따라서 Reynolds number가 커지면 관성력이 지배적이므로 작은 교란에도 증폭되어 난류로 천이가 일어난다. 이렇게 유동장의 형태 즉 층류 혹은 난류를 결정 지어주는 척도가 Reynolds number이다. <그림4>에서 층류와 난류사이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고, 층류경계층 내의 유체흐름은 잘 정돈되어 있으며, 따라서 입자들이 이루고 있는 유선들을 확인할수 있다.
<그림4>
3. 실험장치 및 시약
비이커 (300ml) , 스톱워치, 수은온도계, 둥근플라스크, 공기 송풍기,
가열기 (500W),
4. 실험방법
① 300ml의 비이커에 물과 온도계를 넣고 가열기에 올려놓아 약 80℃까지 가열한다.
② 온도계를 급히 꺼내어 수건으로 온도계 구에 물기가 없도록 깨끗이 닦는다.
③ 자연대류에 의한 온도 강하를 시간에 따라 읽는다.
④ 온도계의 구를 송풍기 출구에 노출시키고 구의 온도 강하를 시간의 함수로 읽는다.
⑤ 송풍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여러 유속에서 위 ④항의 실험을 한다.
강제대류
자연대류
5. 참고문헌
(1) 단위조작입문, 박창호 외 4명, 지인당, 2001년, p.86~95
(2) 열전달, 김태국 외 4명, 인터비젼, 2001년, p.296~303 , p 34~39
(3) Heat and Mass Trasnsfer, David P. Dewitt, 교보문고, p.6~9
(4) 단위조작, 고완석 외 4명, 보문당, 2003년, p.376~378, p.604
(5) www.naver.com
<그림4>
3. 실험장치 및 시약
비이커 (300ml) , 스톱워치, 수은온도계, 둥근플라스크, 공기 송풍기,
가열기 (500W),
4. 실험방법
① 300ml의 비이커에 물과 온도계를 넣고 가열기에 올려놓아 약 80℃까지 가열한다.
② 온도계를 급히 꺼내어 수건으로 온도계 구에 물기가 없도록 깨끗이 닦는다.
③ 자연대류에 의한 온도 강하를 시간에 따라 읽는다.
④ 온도계의 구를 송풍기 출구에 노출시키고 구의 온도 강하를 시간의 함수로 읽는다.
⑤ 송풍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여러 유속에서 위 ④항의 실험을 한다.
강제대류
자연대류
5. 참고문헌
(1) 단위조작입문, 박창호 외 4명, 지인당, 2001년, p.86~95
(2) 열전달, 김태국 외 4명, 인터비젼, 2001년, p.296~303 , p 34~39
(3) Heat and Mass Trasnsfer, David P. Dewitt, 교보문고, p.6~9
(4) 단위조작, 고완석 외 4명, 보문당, 2003년, p.376~378, p.604
(5) www.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