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를 이용한 환원당의 정량 결과레포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결과
(1) 제조
(2) 그래프
(3) 흡광도의 선형화
(4) 흡광도와 투광도의 관계 , %T와 농도와의 관계

2. 고 찰

본문내용

투명한 시약이 만들어졌다. 그리고 중화적정을 했는데, 산성일 때는 주황색의 투명하니 시약이고, NaOH를 넣어 염기성으로 넘어가면 노란색 침전물이 쌓였다. 이 중간점을 찾아 DNS와 NaOH를 적절히 번갈아 가며 넣어 눈으로 pH가 7인곳을 맞춰 제조를 했다. 원래 분광광도계를 사용할 때 550nm에서 사용하여야 하는데 우리조는 400~450nm사이가 가장 잘 나온 것의 오차 이유는 DNS제조에서의 중성을 완벽하게 만들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 처음 550nm로 측정할 때 결과값이 제대로 나오지 않아 더 정밀한 기계로 180~950nm 까지의 모든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한것이 도움이 되었다. 전범위에서의 흡광도를 알 수 있음으로 해서 400~450nm 사이의 흡광도 곡선을 그림으로써 결과 값을 낼 수 있는 선을 그릴 수 있었다. 만약 미지의 시료를 만들었었더라면 이 자료를 토대로 미지 시료의 글루코스 농도를 구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400~450nm사이의 그래프를 그렸을 때 글루코스 농도가 높아질수록 흡광도가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농도가 높을수록 분자들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어 빛의 산란이 제대로 일어나지 못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3.24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55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