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학개론]4공통)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발음 수업에서 경음화와 격음화 현상이 무엇인지 두 발음 현상을 각각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교육학개론]4공통)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발음 수업에서 경음화와 격음화 현상이 무엇인지 두 발음 현상을 각각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경음화와 격음화 현상이 무엇인지 두 발음 현상을 각각 설명하시오.
1) 경음화 현상
2) 격음화 현상

2. 경음화와 격음화 현상 중 한 가지를 선택하고, 그 발음 현상의 연습 활동을 3가지 이상 설명하시오.
1) 경음화 현상의 연습활동 1
2) 경음화 현상의 연습활동 2
3) 경음화 현상의 연습활동 3

3.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습자가 그 차이를 입으로 재현하게 한다.
바야흐로 이 활동은 단어 수준에서 배운 규칙이 실제 문장 발화 속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보여 주는 단계다. 학습자 입장에서는 문장 전체를 말하다 보면 발음 규칙을 놓치기 쉽기 때문에, 반복 훈련을 통해 “실제 대화 상황”에서도 자연스럽게 경음화를 구사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교사는 학습자들에게 짧은 대화를 만들어 주고, 짝을 이루어 서로 읽어 보게 하면서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도 경음화를 적용하게 할 수 있겠다.
3) 경음화 현상의 연습활동 3
마지막으로 제안할 수 있는 효과적인 활동은 역할극과 녹음 후 피드백하기이다. 학습자는 단순히 교사의 발음을 따라 하기만 해서는 실제 발화에서 경음화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국밥집에서 주문하기’, ‘시장에 가서 물건 사기’ 같은 구체적인 상황을 설정하여,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경음화가 일어나는 단어를 사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예로 들자면 교사는 “당신은 손님, 당신은 종업원 역할을 맡으세요. 손님은 ‘국밥 하나 주세요’, ‘밥상 치워 주세요’ 같은 표현을 말하고, 종업원은 대답해 보세요.”라고 지시한다. 학습자가 실제 상황처럼 대화를 나누면서 [국빱], [밥쌍] 같은 발음을 연습하게 되는 것이다.
근데 바로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녹음 후 피드백이다. 학습자가 대화하는 장면을 휴대전화나 녹음기로 녹음한 뒤, 나중에 같이 들어보는 것이다. 스스로 자신의 발음을 들으면, [국밥]이라고 했는지 [국빱]이라고 했는지가 훨씬 명확히 들린다. 교사는 잘 발음된 부분을 칭찬해 주고, 부족한 부분은 “여기서는 경음화가 필요해요. 다시 한 번 [국빱]이라고 해 볼까요?”라고 수정해 준다. 이렇게 하면 학습자는 자기 발화와 교사의 발음을 비교하면서 발음 오류를 점차 줄여 나갈 수 있다.
그러니깐 이 활동은 단순한 발음 연습을 넘어서 실제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주는 효과가 있다. 단어 차원에서 경음화를 배우는 것과 달리, 학습자가 생활 속 대화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경음을 활용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이다.
3. 참고문헌
이해영 외, 한국어 교육학 개론, 도서출판 하우, 2021
강현화 외, 한국어교육학개론, 한국방송통신출판문화원, 2020
김명광,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론, 대구대학교출판부, 2012
황인권, 한국어 발음 교육의 실제, 푸른사상, 2016
양순임, 한국어 발음교육의 내용과 방법, 상지랑, 2020
  • 가격4,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5.09.21
  • 저작시기202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558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