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동맥(Artery)
• 심장에서 조직 쪽으로 혈액 운반 → 세 층[내막, 중막, 외막]
• 혈관 중막: 가장 두껍고 풍부한 평활근 세포, 탄성조직으로 구성 → 동맥벽의 탄성을 유지, 심장수축기 동안 좌심실에서 나오는 혈액을 받는 역할
• 동맥 지름은 4mm, 세동맥 지름은 30㎛
• 세동맥 벽: 평활근이 발달, 평활근 수축시 → 혈관 지름이 ↓ → 혈류 저항 ↑ ∴세동맥을 “저항 혈관”
• 평활근 수축과 이완: 중추신경계, 신경전달물질(epinephrine 등), 호르몬 등으로 조절
• 세동맥: 동맥계의 혈액량과 압력을 조절, 모세혈관으로 가는 혈류 속도를 조절
2. 정맥(Vein)
• 벽은 세 층으로 구성. but, 명확한 구분 X
• 외막(신축성 well)이 잘 발달 → 많은 혈액을 보유 가능 → 총 혈액량의 75% 보유, 동맥 수용력의 20배
• 판막: 혈액 역류 방지. 예)하지정맥
3. 모세혈관(Capillary)
• 동맥과 정맥을 이어주고 조직에 영양분 공급, 노폐물 제거
• 지름이 5~10㎛, 평활근과 외막이 X → 단일 얇은 내피 세포층으로 구성 → 물질이동이 가능. 효율적으로 세포에 영양공급, 노폐물 제거
• 모세혈관 입구에 전모세혈관조임근(평활근 커프)이 있어 → 모세혈관으로 오는 혈류를 조절
4. 림프관(Lymphatic vessel) *순환계 보조, 면역지원
• 림프관 통해 림프(혈장과 유사한 체액), 체액(미세단백질, 세포, 괴사 세포 포함)이 간질강에서 정맥으로 이동
• 작은 림프관: 조직액 속에 있는 모세혈관 통과 불가 물질(단백질 분자, 죽은 세포, 입자가 큰 분자 등) 모아서 혈관(정맥)으로 되돌려 보냄
• 시간당 120 mL의 림프액을 혈관계로 배액 → 필요시 20배까지 늘어난 림프액을 배액 가능 → 부종 예방에 중요한 기능
5. 혈류역학
• 혈액은 압력이 높은 동맥(100mmHg)에서 낮은 정맥(4mmHg)로 흐름
• 혈관 저항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혈관의 반경
• 심장에서 조직 쪽으로 혈액 운반 → 세 층[내막, 중막, 외막]
• 혈관 중막: 가장 두껍고 풍부한 평활근 세포, 탄성조직으로 구성 → 동맥벽의 탄성을 유지, 심장수축기 동안 좌심실에서 나오는 혈액을 받는 역할
• 동맥 지름은 4mm, 세동맥 지름은 30㎛
• 세동맥 벽: 평활근이 발달, 평활근 수축시 → 혈관 지름이 ↓ → 혈류 저항 ↑ ∴세동맥을 “저항 혈관”
• 평활근 수축과 이완: 중추신경계, 신경전달물질(epinephrine 등), 호르몬 등으로 조절
• 세동맥: 동맥계의 혈액량과 압력을 조절, 모세혈관으로 가는 혈류 속도를 조절
2. 정맥(Vein)
• 벽은 세 층으로 구성. but, 명확한 구분 X
• 외막(신축성 well)이 잘 발달 → 많은 혈액을 보유 가능 → 총 혈액량의 75% 보유, 동맥 수용력의 20배
• 판막: 혈액 역류 방지. 예)하지정맥
3. 모세혈관(Capillary)
• 동맥과 정맥을 이어주고 조직에 영양분 공급, 노폐물 제거
• 지름이 5~10㎛, 평활근과 외막이 X → 단일 얇은 내피 세포층으로 구성 → 물질이동이 가능. 효율적으로 세포에 영양공급, 노폐물 제거
• 모세혈관 입구에 전모세혈관조임근(평활근 커프)이 있어 → 모세혈관으로 오는 혈류를 조절
4. 림프관(Lymphatic vessel) *순환계 보조, 면역지원
• 림프관 통해 림프(혈장과 유사한 체액), 체액(미세단백질, 세포, 괴사 세포 포함)이 간질강에서 정맥으로 이동
• 작은 림프관: 조직액 속에 있는 모세혈관 통과 불가 물질(단백질 분자, 죽은 세포, 입자가 큰 분자 등) 모아서 혈관(정맥)으로 되돌려 보냄
• 시간당 120 mL의 림프액을 혈관계로 배액 → 필요시 20배까지 늘어난 림프액을 배액 가능 → 부종 예방에 중요한 기능
5. 혈류역학
• 혈액은 압력이 높은 동맥(100mmHg)에서 낮은 정맥(4mmHg)로 흐름
• 혈관 저항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혈관의 반경
추천자료
건강사정 [분석/조사]
국가고시대비 [모성간호학] 정리
성인간호학 간경화(Liver cirrosis) case study 간호과정
2019 4-1 성인간호학
2021 성인간호학]경장영양 지원방법의 유형과 영양액 종류,보관 및 오염 예방 방법, 성인간호...
2021년 성인간호학] 1.경장영양 지원방법의 유형과 영양액 종류,성인간호학 보관 및 오염 예...
1.경장영양 지원방법의 유형과 영양액 종류,보관 및 오염 예방 방법,주입방법 및 합병증,성인...
경장영양 지원방법의 유형과 영양액 종류, 보관 및 오염 예방 방법, 주입방법 및 합병증,성인...
2024년 1학기 성인간호학 중간과제물- 영양지원방법의 유형을 비교하고 각각의 적응증, 장단...
성인간호학 정리, 혈관장애 대상자 간호, 혈액계 장애 대상자 간호, 구조와 기능, 자료수집,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