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 16장 혈관장애 간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 16장 혈관장애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 동맥(Artery)
• 심장에서 조직 쪽으로 혈액 운반 → 세 층[내막, 중막, 외막]
• 혈관 중막: 가장 두껍고 풍부한 평활근 세포, 탄성조직으로 구성 → 동맥벽의 탄성을 유지, 심장수축기 동안 좌심실에서 나오는 혈액을 받는 역할
• 동맥 지름은 4mm, 세동맥 지름은 30㎛
• 세동맥 벽: 평활근이 발달, 평활근 수축시 → 혈관 지름이 ↓ → 혈류 저항 ↑ ∴세동맥을 “저항 혈관”
• 평활근 수축과 이완: 중추신경계, 신경전달물질(epinephrine 등), 호르몬 등으로 조절
• 세동맥: 동맥계의 혈액량과 압력을 조절, 모세혈관으로 가는 혈류 속도를 조절

2. 정맥(Vein)
• 벽은 세 층으로 구성. but, 명확한 구분 X
• 외막(신축성 well)이 잘 발달 → 많은 혈액을 보유 가능 → 총 혈액량의 75% 보유, 동맥 수용력의 20배
• 판막: 혈액 역류 방지. 예)하지정맥

3. 모세혈관(Capillary)
• 동맥과 정맥을 이어주고 조직에 영양분 공급, 노폐물 제거
• 지름이 5~10㎛, 평활근과 외막이 X → 단일 얇은 내피 세포층으로 구성 → 물질이동이 가능. 효율적으로 세포에 영양공급, 노폐물 제거
• 모세혈관 입구에 전모세혈관조임근(평활근 커프)이 있어 → 모세혈관으로 오는 혈류를 조절

4. 림프관(Lymphatic vessel) *순환계 보조, 면역지원
• 림프관 통해 림프(혈장과 유사한 체액), 체액(미세단백질, 세포, 괴사 세포 포함)이 간질강에서 정맥으로 이동
• 작은 림프관: 조직액 속에 있는 모세혈관 통과 불가 물질(단백질 분자, 죽은 세포, 입자가 큰 분자 등) 모아서 혈관(정맥)으로 되돌려 보냄
• 시간당 120 mL의 림프액을 혈관계로 배액 → 필요시 20배까지 늘어난 림프액을 배액 가능 → 부종 예방에 중요한 기능

5. 혈류역학
• 혈액은 압력이 높은 동맥(100mmHg)에서 낮은 정맥(4mmHg)로 흐름
• 혈관 저항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혈관의 반경
  • 가격2,6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25.09.30
  • 저작시기2021.12
  • 파일형식아크로뱃 뷰어(pdf)
  • 자료번호#52577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